• 제목/요약/키워드: Niche overlap index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업 전후 광합성 관련 개념의 지위 중복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Change of Niche Overla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hotosynthesis Concepts through Instruction)

  • 임수민;김영란;신애경;김영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1호
    • /
    • pp.72-85
    • /
    • 2015
  • Conception in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has a niche as species in eco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niche overlap of photosynthesis concept through instruction. The photosynthesis concepts were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Selected concepts were in 4 areas: Location of photosynthesis, reactants, product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subjects consisted 304 elementary students. The respondent marked the relevance between the presented concepts and each area on a scale of 1~30 points. The analysis of niche overlap in concepts was performed by changing in niche overlap graph, niche space size, and overlap index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whole understanding level and relevance of the scientific concepts was increased through instruction as a result of learning.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concepts in the form of chunking concepts through classifica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uggestion.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and niche analyz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material for development of instruction strategy.

점봉산(點鳳山) 일대(一帶)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의 주요(主要) 구성(構成) 수종(樹種)에 대한 생태지위(生態地位) 평가(評價) (Evaluation of Ecological Niche for Major Tree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Chumbong)

  • 김광택;김지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80-387
    • /
    • 2001
  • 점봉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의 17개 주요 구성 수종을 대상으로 수직적 구조에서의 광선의 강도를 주요 환경경사로 할 경우와 수평적 분포에서의 다차원의 자원을 환경경사로 할 경우의 생태지위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직적 생태지위폭은 물푸레나무가 가장 크고, 다릅나무가 가장 작으며, 수평적 생태지위폭은 당단풍이 가장 크고, 거제수나무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종별 두 가지 생태지위폭 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수종의 내음성 지수가 높을수록 수직적 생태지위폭과 수평적 생태지위폭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의 내음성 지수 순위에 따른 수직적 및 수평적 생태지위폭 순위에 대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을 분석한 결과, 수직적 생태지위폭에 대한 순위상관계수는 $r_s=0.432$($P{\leq}0.1$)로 산출되어, 95% 확률수준에서 유의성이 없었는데, 아교목성 생육형을 지닌 까치박달을 제외하면,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는 $r_s=0.650$($P{\leq}0.01$)로 산출되어 고도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수평적 생태지위폭에 대한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는 $r_s=0.797$($P{\leq}0.01$)로 산출되어 고도의 유의성이 있는 관계가 성립되었다. 수평적 분포에서의 수종간 생태지위중복도를 바탕으로 cluster분석을 하여 분류된 4가지 수종군은 입지 요구도가 비슷한 수종들로 이루어졌으며, 수종간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수종들의 연결 양상과 상당히 부합되었다.

  • PDF

Aspergillus ochraceus와 다른 저장균간의 in vitro 상호작용 및 Niche Overlap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in vitro Interactions and Niche Overlap between Aspergillus ochraceus and other Storage Fungi)

  • 이향범;;유승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83-288
    • /
    • 1999
  • 옥수수에서 분리한 ochratoxin생성균인 Aspergillus ochraceus와 다른 균류 6종과의 in vitro 생장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 $a_w$)와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 ochraceus를 6종의 균류와 각각 대치 배양한 후 그들의 상호작용에 수리점수(numerical score)를 주어 각 종의 우점지수($I_D$)를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A. ochraceus는 다른 종에 대하여 매우 경쟁력이 있는 우점종이었다. 그러나 높은 $a_w(0.995\;a_w)$에서는 Alternaria alternata와 A. niger에게 우점당하였으며, 낮은 $a_w(0.9\;a_w)$에서는 Eurotium amstelodami와 E. rubrum과 상호 길항 관계를 보였다. 공시균들의 생장율에 미치는 $a_w$와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a_w$와 온도에 따라 생장율은 많은 차이가 있었다. 높은 온도($30^{\circ}C$)에서 A. ochraceus는 $0.95\;a_w$에서 가장 생장이 빠른 반면에 A. flavus, A. niger 및 A. niger 및 A. alternata는 $0.995\;a_w$에서 가장 빠른 생장을 보였다. 낮은 온도($18{\sim}25^{\circ}C$) 높은 $a_w(0.995\;a_w)$에서는 A. alternata가 가장 생장이 빨랐으며 A. candidus, E. amstelodami 및 E. rubrum은 생장이 매우 느렸다. Biolog plates를 이용하여 옥수수 유래의 탄소원 이용패턴에 미치는 $a_w$와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 ochraceus의 niche중복지수(NOI)를 구하였고 각각의 상호작용 균들의 NOI와 비교하였다. 높은 $a_w(0.995\;a_w)$에서는 A. ochraceus의 NOI 값이 보통 0.9 이상으로서 다른 종들과의 공존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8^{\circ}C$에서 E. amstelodami와 E. rubrum과 비교할 때는 A. ochraceus의 NOI 값이 0.8이하로서 별도의 niche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a_w(0.95\;a_w)$에서 A. alternata 및 A. niger와 비교할 경우 A. ochraceus의 NOI 값이 0.8 이하로서 역시 서로 다른 niche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환경인자에 따른 소나무림의 생태적 지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logical Nich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 서동진;오창영;우관수;이재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3-160
    • /
    • 2013
  • 본 연구는 온대 남부, 중부, 북부지역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기상인자, 생육인자에 대해 생태적 지위폭(ecological niche breadth)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기후 변화에 따른 소나무림 분포에 미치는 환경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0년 9월부터 10월까지 강릉, 정선, 평창, 함양, 봉황, 영양, 울진, 의성 보성 9개 지역에 $20{\times}2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수고, 흉고 직경, 지하고, 수관폭, 흉고단면적을 생육인자로 이용하였으며, 기상인자는 최저기온, 평균기온, 최고기온, 습도, 강수량을 조사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의 측정값을 이용하였다. 5가지 기상인자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은 습도를 제외한 기상인자에서 생태적 지위폭이 낮게 나타났으며, 기상변화에 따른 소나무의 분포역이 한정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강수량과 기온변화가 소나무림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최고기온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지역에서 0.4이하의 낮은 생태적 지위폭을 보였다. 하지만 5가지 생육인자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은 모든 조사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나무가 환경변화에 적응하여 분포역이 넓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상인자와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생육인자의 경우 과거 안정된 환경에 적응하여 지속적으로 생장하였기 때문에 생육 내성의 범위가 커 소나무의 생태적 지위폭이 넓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기상인자의 경우 지속적인 지구온난화의 결과로서 소나무가 생육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변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향후 기온상승으로 인한 소나무림의 분포지역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DNA metabarcoding을 이용한 이매패류 공식 전후 먹이원 분석 (Analysis of Food Sources of Pre- and Post-diet in a Bivalve Using DNA Metabarcoding)

  • 고봉순;박재원;지창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360-36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이매패류 3종인 대칭이, 펄조개, 말조개의 위 내용물을 DNA metabarcoding으로 분석한 결과, 공식 전 먹이원은 22문, 35강, 51목, 71과, 87속으로 나타났다. 3종의 공식 전 공통 동식물플랑크톤은 좁쌀공말목, 유글레나목, 유영목, 스파이로플레아목, 고리돌기돌말목으로 조사되었다. 공식 후에는 대부분의 동식물플랑크톤이 검출되지 않아 소화 및 흡수, 배출된 것으로 보여진다. 먹이원 폭 분석 결과, 펄조개의 Bi 지수가 0.3으로 대칭이(0.14)와 말조개(0.21)에 비해 높아 다양한 먹이원을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칭이의 생태지위중첩(niche overlap)은 펄조개(0.78)와 말조개(0.7)와 다른 이매패류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먹이원 정보를 바탕으로 계산된 대칭이, 말조개, 펄조개의 영양 단계는 각각 2.0, 2.0, 2.5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안전동위원소 문헌조사 연구에서도 이매패류의 영양 단계가 1.8~2.4로 나타나 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동식물플랑크톤을 주로 섭식하는 이매패류의 먹이원 분석에 DNA metabarcoding이 적용이 효과적이며 섭식생태 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lternaria in Food: Ecophysiology, Mycotoxin Production and Toxicology

  • Lee, Hyang Burm;Patriarca, Andrea;Magan, Naresh
    • Mycobiology
    • /
    • 제43권2호
    • /
    • pp.93-106
    • /
    • 2015
  • Alternaria species are common saprophytes or pathogens of a wide range of plants pre- and post-harvest. This review considers the relative importance of Alternaria species, their ecology, competitiveness, production of mycotoxins and the prevalence of the predominant mycotoxins in different food products. The available toxicity data on these toxins and the potential future impacts of Alternaria species and their toxicity in food products pre- and post-harvest are discussed. The growth of Alternaria species is influenced by interacting abiotic factors, especially water activity ($a_w$), temperature and pH. The boundary conditions which allow growth and toxin production have been identified in relation to different matrices including cereal grain, sorghum, cottonseed, tomato, and soya beans. The competitiveness of Alternaria species is related to their water stress tolerance, hydrolytic enzyme production and ability to produce mycotoxins.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nuissima and other phyllosphere fungi has been examined and the relative competitiveness determined using both an Index of Dominance ($I_D$) and the Niche Overlap Index (NOI) based on carbon-utilisation patterns. The toxicology of some of the Alternaria mycotoxins have been studied; however, some data are still lacking. The isolation of Alternaria toxins in different food products including processed products is reviewed. The future implications of Alternaria colonization/infection and the role of their mycotoxins in food production chains pre- and post-harvest are discussed.

경남 고성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갯장어(Muraenesox cinere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Daggertooth Pike Conger Muraenesox cinereus in the Coastal Water off Goseong, Korea)

  • 안영수;박주면;김현지;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6-81
    • /
    • 2012
  • The feeding habits of daggertooth pike conger Muraenesox cinereus were studied using 380 specimen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f Goseong, Korea, from June to September, 2011. The M. cinereus ranged from 10.0-23.7 cm in anal length (AL). M. cinereus is a piscivore that consumes mainly fish. Engraulis japonicus was the preferred prey, but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numbers of crabs, shrimps, cephalopods, and bivalves. The feeding strategy graphical method revealed that M. cinereus is a specialized feeder with a narrow niche width. All size classes of M. cinereus consumed fish and M. cinereus did not show significant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The diet overlap index between size classes was >0.96, indicating high diet similarities. The prey siz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M. cinereus size.

우리나라 연안-하구에 서식하는 어류의 식성 관련 연구 현황 (A Literature Review of Fish Feeding Research in the Coast - Estuary Areas of Korean Peninsula)

  • 조현빈;김동균;박기연;이완옥;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2권2호
    • /
    • pp.126-135
    • /
    • 2019
  • 본 연구는 지난 50년간 (1969~2018년) 우리나라 연안 - 하구에서 수행된 어류먹이원 분석과 관련된 논문을 수집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확인된 연구논문은 총 101편 이었으며, 이 중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81편, 보고서는 6편 그리고 국제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은 14편이었다. 발표된 연구 논문을 10년 단위로 나누어 보면, 1990~1999년에 21편(19.4%; 2.1편${\pm}$3.0/년 [평균${\pm}$표준 편차]), 2000~2009년에 26편(24.1%; 2.6편${\pm}$2.3/년) 이후 크게 증가하여 2010~2018년에는 52편(48.1%; 5.8편${\pm}$2.3/년)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국내 연안-하구에서 어류먹이원 분석을 수행한 조사수역의 해역을 방위(남해, 남-동해, 동해, 서해)로 나누어보면, 남해에서 65편(69.1%)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 뒤를 동해가 13편(13.8%), 서해와 남-동해에서 각각 8편씩(8.5%)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의 분포를 보면 광양만에서 18편(24.3%)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가덕도에서 8편(10.8%)으로 그 뒤를 이었다. 출간된 논문의 방법론적 특성을 보면, 먹이원 중요도나 생태적 지위의 범위를 나타내주는 지표를 계산하는 방법은 총 14가지가 사용되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지수는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와 Pi (Prey-specific abundance)였으며, E (electivity index)와 Bi (dietary breadth index)가 그 뒤를 이었다. 총 11가지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중 correlation analysis와 Bray-Curtis similarity matrix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생태학적 연구 주제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 논문들은 계절적 또는 조사 지점별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2000년도 이후부터는 국제 학회지에 출판되기 시작한 논문들은 종간 경쟁(competition), 동소성(sympatric), 생태직위중첩(niche overlap) 등과 같은 세부적인 생태학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국내 학회지에 출판된 논문들의 경우 다소 정형화된 형태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으며 조사되지 않은 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향후 국내 학회지에 발표되는 연구논문에서도 종간 경쟁, 먹이망 구조 파악 등과 같은 생태학적 주제를 반증할 수 있는 연구 방향이 지향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