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iCd

검색결과 806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토양의 중금속 배경농도 및 특성 조사

  • 김동호;김태승;윤정기;전성환;정일록;김종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6-8
    • /
    • 2005
  • The forest soils of 92 sites in Korea were analyzed to survey heavy metal background levels using aqua regia digestion method and 0.1N HCl extraction method. From these results, the average natural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Cd 0.287, Cu 15.26, Pb 18.43, Cr 25.36, Zn 54.27, Ni 17.68mg/kg for aqua regia method, and Cd 0.040, Cu 0.48, Pb 3.06, Cr 0.09, Zn 1.54, Ni 0.27mg/kg for 0.1N HCl extraction method. The rang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heavy metal contents obtained from two methods(aqua regia and 0.1N HCl) was significant as $0.24{\sim}0.88$,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decreased in order of Cd, Pb, Cu, Ni, Cr, Zn.

  • PDF

Complexes of Polyvalent Metal Ions (Ⅵ). Complexes of Nickel and Cadmium with Dibasic Organic Acids in Aqueous, Ethanol-Water and Acetone-Water Solutions$^*$

  • Sang-Up Choi;Joon-Kil Kang;Young-Il Pa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권2호
    • /
    • pp.49-54
    • /
    • 1980
  • Solutions of $Ni^{2+}$ and $Cd^{2+}$ were mixed with the solutions of various dibasic organic acids in the presence of cation exchange resin at room temperature. The distribution ratios of the metal ions between resin and solution were measured, using radioactive metal ions as tracer. From the observed variation of the distribution ratios with acid anion concentrations, it was concluded that $Ni^{2+}$ and $Cd^{2+}$ formed one-to-one complexes with succinate, malonate, o-phthalate and tartarate ions in aqueous, 20 % ethanol-water and 20 % acetone-water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ve stabilities of the complexes in solution increased generally in the order : $Ni^{2+}$ < $Cd^{2+}$ complexes. Succinate < malonate < o-phthalate < tartarate complexes. Aqueous < mixed solvent systems.

Sequential Copolypeptides (Ⅲ).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 ($\gamma$-benzyl-L-glutamyl-$\gamma$-benzyl-L-glutamyl-glycine)

  • Choi, Sang-Up;Kang, Joon-K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권3호
    • /
    • pp.78-82
    • /
    • 1980
  • Solutions of $Cd^{2+}$, $Co^{2+}$ and $Ni^{2+}$ were mixed with the solutions of hydroxycarboxylic acids such as salicylic, lactic and mandelic acids in the presence of cation exchange resin at room temperature. The distribution ratios of the metal ions between resin and solution were measured, using radioactive metal ions as tracer. From the observed variation of the distribution ratios with the acid anion concentrations, it was concluded that $Cd^{2+}$, $Co^{2+}$ and $Ni^{2+}$ formed the one-to-one complexes with salicylate, lactate and mandelate ions in aqueous, 20 % ethanol-water and 20 % acetone-water solu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ve stabilities of the metal-acid complexes in solution increased in the order: $Cd^{2+}$ <$Co^{2+}$ <$Ni^{2+}$ complexes. Salicylate

Organic Precipitate Flotation of Trace Metallic Elements with Ammonium Pyrrolidinedithiocarbamate (II). Application of Solvent Sublation for Determination of Trace Cd, Co, Cu and Ni in Water Samples

  • 김영상;정용준;최희선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호
    • /
    • pp.50-56
    • /
    • 1998
  • A solvent sublation was studi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Cd, Co, Cu and Ni in water samples.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 (APDC) was used as a complexing agent.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pH of solution, amounts of APDC, the type and amount of surfactant, the type of solvent, etc. were optimized for the effective sublation of analytes. After metal-PDC complexes were formed in sample solutions of pH 2.5, the precipitate-type complexes were floated in a flotation cell with an aid of sodium lauryl sulfate as a surfactant and by bubbling with nitrogen gas. The precipitates were dissolved and separated into the surface layer of methyl iso-butyl ketone (MIBK). The analytes preconcentrated were determined by a graphite furnac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GF-AAS). Extractability of each element was 88% for Cd(Ⅱ), 86% for Co(Ⅱ), 95% for Cu(Ⅱ) and 76% for Ni(Ⅱ), respectively. And this procedure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real samples. From the recoveries of more than 92%, it was concluded that this method could be simple and applicable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various water samples of a large volume.

폐니켈-카드뮴 전지 침출액으로부터 아연 분말을 이용한 카드뮴의 치환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ementation Reaction of Cadmium by Zinc Powders from Leaching Solution of Waste Nickel-Cadmium Batteries)

  • 김민준;박일정;김대원;정항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1호
    • /
    • pp.23-31
    • /
    • 2019
  • 폐전자제품 내에 포함된 유가금속 또는 유해금속자원의 재활용 기술 중 치환법(Cementation)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전력을 나타내는 금속을 첨가함으로써 용액 내의 금속이온을 침전시키는 전기화학적 석출 방법으로 금속이온의 회수기술 중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재활용 기술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니켈-카드뮴 전지 내에 포함된 카드뮴 회수의 최적 조건을 선정하기 위하여 0.1 M 황산카드뮴($CdSO_4$) 용액과 Ni-Cd 침출액에서 pH, 온도, 아연의 입자크기, 아연의 투입량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니켈과 카드뮴이 포함된 용액에서 아연의 입자크기와 온도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700 um의 아연을 이용하여 $25^{\circ}C$의 온도를 나타내는 용액에서 카드뮴 대비 2.6배의 화학당량 비의 아연을 투입할 때 최적의 카드뮴의 회수율 및 니켈의 회수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중부지역 과수원 토양중의 중금속 함량 평가 (Assessment on the Content of Heavy Metal in Orchard Soils in Middle Part of Korea)

  • 정구복;김원일;이종식;신중두;김진호;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1
    • /
    • 2004
  •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1998년 $3{\sim}5$월에 과수원 토양 164지점(경기 48, 강원 36, 충북 36, 충남 44지점)을 대상으로 표토($0{\sim}20\;cm$)와 심토($20{\sim}40\;cm$)로 나누어 채취하여 토양내 중금속함량과 분포특성,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 및 토양 이화학성과의 관계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수원 토양중 0.1N-HCl 침출성 평균함량은 Cd 0.080, Cu 4.23, Fb 3.42 mg/ks 1N-HCl 침출성 As 평균함량은 0.44 mg/kg, 중금속 총함량은 Zn 78.9, Ni 16.09 및 Hg 0.052 mg/kg 이었다. 과수원 토양내 중금속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우려기준(Cd 1.5, Cu 50, Pb 100, Zn 300, Ni 40, Hg 4 mg/kg)과 비교하여 $1/2.5{\sim}1/76.9$ 수준으로 안전하였다. 토양의 중금속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은 Cd $5.4{\sim}9.2$, Cu $27.9{\sim}47.8$, Pb $12.6{\sim}21.8$, Zn $15.8{\sim}20.3$, Ni $5.3{\sim}6.3$, Cr $0.7{\sim}3.6%$ 이었고, 특히 0.05 M-EDTA 침출성 Cu 및 Pb의 침출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Cd, Pb 및 Ni의 총함량은 모래함량과 부의상관, 미사와 점토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토양의 중금속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은 점토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Zn과 Ni의 함량비율은 토양 pH값, 유기물 및 유효인산 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과수원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기준보다 매우 낮아 안전하였으나 영농활동에 의한 영향으로 볼 수 있는 농도수준이 검출된 일부 토양에서 조사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친환경농업 측면으로 볼 때 영농형태별 중금속의 분포 및 농업자재에 의한 농경지내 중금속 부하량에 근거하여 중금속 오염유무를 평가할 수 있는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에 있어서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중금속(重金屬)의 영향(影響) (Effects of heavy metals on the degradation of fenitrothion, IBP, and butachlor in flooded soil)

  • 문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38-142
    • /
    • 1990
  •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살균제(殺菌劑) IBP, 살충제(殺蟲劑) fenitrthion, 살초제(殺草劑) butachlor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각종중금속(各種重金屬) Cd, Cu, Cr, Ni, Zn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하였다. 토양중(土壤中) 3농약(農藥)의 분해(分解)는 5종(種)의 중금속첨가(重金屬添加)에 의하여 현저히 억제(抑制)되었으며, 억제(抑制)된 정도(程度)는 butachlor>IBP>fenitrothion순(順)이었다. MPN법에 의하여 계측(計測)한 fenitrothion과 butachlor 분해균(分解菌)의 균수(菌數)은 중금속(重金屬) 첨가(添加) 토양(土壤)에서가 무첨가토양(無添加土壤)에서보다 적었다. 토양중(土壤中) 3농약(農藥)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정도(影響程度)는 중금속(重金屬)의 종류(種類) 및 농도(濃度), 농약(農藥)의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어, fenitrothion의 분해(分解)를 Cr>Zn>Cd>Ni>Cu순(順)으로 억제(抑制)시켰다. IBP의 분해(分解)는 $Cr>Cu{\geqq}Zn{\geqq}Cu$순(順)으로 억제(抑制)받았으나, Ni는 분해(分解)에 거의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그리고 butachlor의 분해(分解)는 Cr>Cu>Cd>Ni>Zn순(順)으로 억제(抑制)되었다.

  • PDF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Greenhouse Soils of Gyeongnam Province

  • Son, Daniel;Cho, Hyeon-Ji;Heo, Jae-Young;Lee, Byeong-Jeong;Hong, Kwang-Pyo;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83-390
    • /
    • 2017
  •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oil might be a cause of serious concern due to the potential health impacts of consuming contaminated products. In this study, the total content of heavy metals (Cd, Cr, Cu, Ni, Pb, Zn, As, and Hg) in soils was analyzed, and the difference of heavy metal contents depending on crops, soil characteristics, and topography was compared in 169 greenhouse soils obtained from Gyeongnam Province. The concentrations of the heavy metals were $0.25mg\;kg^{-1}$ (ranged 0.01~0.44) for Cd, $28.94(0.53{\sim}72.63)mg\;kg^{-1}$ for Cr, $26.03(0.5{\sim}166.13)mg\;kg^{-1}$ for Cu, $14.91(1.27{\sim}33.22)mg\;kg^{-1}$ for Ni, $15.76(0.43{\sim}57.1)mg\;kg^{-1}$ for Pb, $119.72(6.33{\sim}239.39)mg\;kg^{-1}$ for Zn, $2.54(0.01{\sim}23.57)mg\;kg^{-1}$ for As, and $0.049(0.012{\sim}0.253)mg\;kg^{-1}$ for Hg in topsoils. The concentrations of Pb and As in topsoil were highest in green pepper and those of Cd, Cr, and Ni were highest in melon.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s of Cr and Ni were highest in diluvial terrace compared with the other topographies. Higher concentrations of Cd, Cr, and Ni were found in silty clay loam and silt loam soils than sandy loam and loam soils.

온산공단 주변 산림토양과 인동덩굴의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of Forest Soil and Lonicera japonica near Onsan Industrial Region)

  • 박은희;조민기;양재경;김종갑;문현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2-228
    • /
    • 2006
  • 본 연구는 온산 공단지역 산림토양과 그곳에 우점하고 있는 인동덩굴의 기관별 중금속(As, Cd, Cr, Cu, Fe, Mn, Ni, Pb, Zn) 함량을 분석하고 산림토양과 식물체간 중금속 함량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덩굴식물인 인동덩굴을 중금속 오염지의 토양 정화 및 식생복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토양중금속 중 As, Cd, Cu, Pb, Zn은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Fe, Mn 및 Ni 함량은 산림지역이 공단지역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중 Cd, Cu, Pb과 Zn은 인동덩굴의 잎, 줄기, 뿌리에 있어서 공단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체의 함량이 산림지역의 함량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토양의 As, Cd, Cu, Pb, Zn 함량과 인동덩굴 기관별 함량은 높은 정의 혹은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으며, Cu가 산림토양과 인동덩굴의 기관간에 $0.93{\sim}0.99$의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식물체의 기관 내 높은 중금속 함량과 산림토양과의 높은 상관계수를 고려하면, 인동덩굴은 공단지역과 같이 중금속(특히 Cd, Cu, Pb와 Zn)에 오염된 산림토양에서 정화식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흰쥐에서 카드뮴과 니켈이 혈압에 미치는 효과 (Separate and Combined Effect of Cadmium and Nickel on Blood Pressure in Rats)

  • 차봉석;왕승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27-130
    • /
    • 2001
  • 카드뮴과 니켈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복합적 노출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250 g 정도의 흰쥐를 대조군과 노출군(두 농도의 카드뮴 노출군, 니켈 노출군, 복합노출군)에 각각 10마리씩 할당하고 염화카드뮴과 염화니켈을 생리식염수에 녹여 일주일간 매일 복강 내에 투여한 후 1, 5, 10, 20, 30일 경과 후 혈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각 5회씩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최고치와 최저치를 제외한 3회 측정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각 시간대에서 각 물질간에 혈압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간을 반복측정요인으로 보고 반복측정된 이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혈압의 변화에 있어서 0.1 mg/kg bw의 염화카드뮴 투여 후 1, 5, 10일 째에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같은 농도의 염화니켈은 전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못했다. 이 농도에서 동시 노출시 대조군과는 1, 5, 10일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여 주었으며 염화카드뮴 투여군과는 5일째에서, 염화니켈 투여군과는 5, 10일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1.0 mg/kg bw의 염화카드뮴 투여 후 1, 5, 10, 20일째에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같은 농도에서 염화니켈의 경우, 1, 5일째에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 농도에서 동시 노출시에는 대조군과 전 시간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염화카드뮴 투여군과는 10, 20, 30일째에서, 니켈 투여군과는 5, 10, 20, 30일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이 니켈에 비하여 혈압의 상승효과가 크며 복합 노출시 혈압의 상승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