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town development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5초

프랑스 신도시개발 및 관리에서 꼬뮌협력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the Commune's Cooperation in the French New Town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 최상희;김두환;윤인숙;서진원;김륜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369-378
    • /
    • 2012
  • 프랑스는 신도시개발과 관리를 위해 꼬뮌간 상호협력성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꼬뮌협력체를 운영하고 있다. 꼬뮌간 상호협력의 목적은 대규모 재원이 필요한 공공서비스(상 하수도, 쓰레기 처리 등)를 통합 운영함으로써 더 체계적이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다수 이해당사자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1차 목표인 도시개발을 달성한 이후에도 지역차원의 협력적 운영-발전으로까지 이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프랑스의 협력적 도시개발과 관리를 위한 꼬뮌협력체의 설립과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그 특징과 의의를 도출하였으며, 신도시개발법인(EPA), 신도시조합(SAN) 그리고 도시화 공동체(CA)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EPA 설립과 도시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공동의 목표를 실천해 나갈 수 있는 의사결정구조는 도시개발 목표를 다수 지자체가 공유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신도시조합(SAN) 방식은 기존 꼬뮌공동체 운영시 보장되지 못하였던 꼬뮌의 자율성을 확보하면서 더 유연하게 협력과 연대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협력체가 이해당사자간 협력의 범위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연성을 높였다는 의미가 있다. 셋째, 도시 개발 이후 효율적 관리를 위해 기존의 신도시조합에서 도시화공동체(CA)로 협력의 형식과 내용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상호협력이 개발에 기반한 특수목적의 행정법인에서 출발하여 도시가 성숙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신도시와 주변지역을 포함한 지역계획과 관리로 전환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꼬뮌협력체는 해당 꼬뮌의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협력적 주체로 진화하고, 개발 효과를 지역에 정착시키고 안정적 행정운영까지 할 수 있게 된다. 프랑스 꼬뮌협력체가 한국 신도시개발에 주는 시사점은 첫 번째는 다수 지자체간 협력적 계획체계와 운영을 통해 개발의 효과가 개발예정지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개발지구를 포함한 모도시 지역까지 공통의 목표 설정과 확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러한 확산효과를 촉진하고 효율적 도시관리를 위해서는 기존 지방자치법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행정협의회, 조합등의 조직을 공간계획 단계에서부터 참여시킬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 구축과 도시관리의 범위와 내용이 단순히 물리적 계획 뿐만 아니라 지역간 연대와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베트남 신도시 아파트의 내·외부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호치민 푸미흥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ned New Town Apartments in Vietnam - Focusing on the Ho Chi Minh City the Phu My Hung Area -)

  • 김도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01-111
    • /
    • 2016
  • As globalization proceeds, transnational property development is increasing. Vietnam has began to experience a serious housing shortage throughout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they try to solve this housing problem in the city by development of New Town with an excellent technique. Of these, New city, Phu My Hung (PMH) is known as a very successful example.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145 plan of 15 Apartment complexes which were completed after 2008 to analyse the plan characteristic of internal-external of Apartment in PMH New city in Ho Chi Minh City which effected the housing development in Vietnam. We collected the data from Internet and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 of complex and an individual unit by visiting 6 Apartment complexes directly on Aug, 2014. In PMH, apartment has pattern of Mixed-use Apartment. There are stores on the 1st ad 2nd floor and consisted of 2 or 3 small complexes. They secure enough Green Space and Community Space and control visitor access for the safety of residents. Inside space organization is mainly consisted of 3LDK+2BATH and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is placed separately. Also, placed the Kitchen independently and it is quiet interesting that the entrance entry into the house directly from the external space.

GIS를 이용한 신도시개발 가능지역 선정 연구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Selection of New Town Area Using GIS -in Mongolia -)

  • 최병길;나영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73-28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몽골지역의의 신도시 가능 지역에 대한 공간설계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현재 몽골 지역의 경우 수도인 울란바토르 주변으로 신도시 개발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마땅한 관련근거나 공간설계기법이 적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신도시 개발가능지역을 추출하고, 주거단지, 정수장, 하수처리장, 발전소, 종합공원, 쓰레기 소각장 등에 대한 공간설계 방안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대상지역에서 주거단지는 하천 및 도로주변에, 식수원인 정수장의 경우 양질의 수질이 확보된 하천 상류 지역에, 하수처리장의 경우 오염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하류지역에, 발전소는 상류지역에 입지하고, 생활 문화 공간인 공원단지는 기존 시설을 보수, 확장하도록 설계 하였다. 교통망의 경우 신도시개발과 더불어 수요예측을 통하여 확충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공간 설계에 대한 타당성 및 경제성 조사를 통하여 설계 변경을 위한 탄력적인 면도 반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단지 개발로 인한 우수 유출량 변화 예측 및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은평뉴타운 13, 14단지(못자리골)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ainwater Overflow by Housing Development and Overflow Decrease Method - Focused on the 13, 14 Districts (Motjarigol) of the Eun-pyung New Town in Seoul -)

  • 성종상;이은석;김대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6-128
    • /
    • 2006
  • This study focuses on hydrological changes caused by developments in the 13th, 14th (Motjarigol) district in Eun Pyoung New Town, Seoul on the basis of the Land Use Planning of development plan. Through analyses from the hydrological experiments about rainfall outflow using universal equation and amounts of infiltration through soils, the changes in amounts of overflows were estimated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a urban ecological point of view. As a result, it has been predicted that the amount of rainfall outflow at post-development was drama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pre-development. Installing of Derbris Dams and infiltration facilities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 plan to meditigate these changes. If we apply these alternatives, the rainfall outflow would be reduced up to 30% compared to the development plan without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once the ecological principles were considered during development planning process, we can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developments to our environments.

인천 경제자유구역이 인천시 자치구(군)간 지역불균형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Impact of the Incheon Free Economic Zones on Regional Disparities in Incheon)

  • 김보라;최진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6-97
    • /
    • 2014
  • 인천 경제자유구역은 2003년 우리나라에서 처음 지정된 경제자유구역으로서, 3개 지구 즉, 송도, 청라, 영종지구를 포함한다. 기존연구에서는 경제자유구역에 대해 국가경제적인 차원에서의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방안이나 외자투자유치 문제점 등이 주요 논점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경제자유구역 개발로 인한 지역경제와의 연관성이나 배후지와의 연계발전, 지역균형발전 등의 관점에서의 연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 경제자유구역 법률제정(2003년)을 기점으로 전기(1996~2002년)와 후기(2003~2009년) 총 14년 동안의 인천시 자치구(군)간의 지역불균형의 원인과 특성을 분석하여 인천 경제자유구역이 인천시 지역불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천 경제자유구역 개발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구도심 파급효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경제자유구역 내 대규모 아파트건설이나 기반시설건설은 구도심과의 불균형을 더욱 커지게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자원순환적 지역개발의 해외 벤치마킹사례 연구 (What is Missing from Korea's New Regional Development Policy - An Overseas Case Studies Toward an Eco-Oriented Society -)

  • 문석웅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5권2호
    • /
    • pp.355-386
    • /
    • 2006
  • 일본과 미국은 순환형 사회의 구현을 국가 정책의 최상위 목표로 설정하고 폐기물 제로의 사회로 향하여 구체적인 진전을 나타내고 있다. 기업차원에서 청정생산구축을 통하여 산업경쟁력을 강화하는 단계를 넘어서 지역경제개발에서도 자원순환적 접근을 체계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에코타운 프로젝트는 지역경제 개발과 환경기술 개발을 위한 R&D 지원을 병행함으로써 환경산업의 육성, 그리고 지역개발과 환경문제의 개선을 동시에 추구하는 통합적 정책의 본보기가 된다. 미국의 사례에서는 생태적 산업개발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울이는 세심한 기획과 지속 가능한 건물의 설계, 협력적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물질순환에 대한 엄밀한 연구, 그리고 협조와 조정의 모형을 보게 된다. 순환형 시스템의 구축은 에너지와 자원의 사회 전체적 효율을 향상시키고, 환경과 경제, 산업경쟁력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함으로써 기후변화 문제를 비롯한 지구환경 문제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이다. 국내에서도 모든 국가 정책의 디자인 자체가 자원순환의 비전에 의거하여 친환경적으로 설계되도록 하는 혁신이 필요하다.

  • PDF

신도시 개발 후 도시하천의 장래수질 평가 (Estimation of Stream Water Quality Changes Brought by a New Town Development)

  • 박지영;임현만;윤영한;정진홍;김원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6
    • /
    • 2014
  • 도시화 및 산업화 등의 영향으로 인한 도시하천의 수질오염 문제가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신도시의 개발로 인하여 유역 내 물순환 특성이 급격하게 변화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에 영향을 받는 도시하천의 장래수질에 대해서도 많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신도시의 장래수질을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합리적인 방안은 현 시점까지도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가 장기간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제시한 토지계 지목별 발생부하 원단위를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에 연계 적용함으로써 장래 신도시 내 도시하천의 수질을 거시적으로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한편, 현재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G 신도시 내 대상유역의 장래수질 예측을 위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그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연단위 유량가중 평균농도 (Y-EMC; Yearly based Event Mean Concentration)' 개념을 도입하여 신도시 개발 이후의 장래수질을 예측한 결과, BOD 18.7 mg/L, T-N 16.2 mg/L 및 T-P 0.85 mg/L로 산정되어 목표수질인 하천생활기준 III등급의 달성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계 배출부하량을 80% 이상 저감시켰을 때 이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도시 개발에 따른 장래 토지이용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여 도시하천의 수질을 효율적으로 예측 관리하기 위한 기초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이용을 고려한 주차분석존(Parking Analysis Zone) 기반 주차 공급 및 운영 계획 모형 (PAZ-based Parking Supply and Operation Planning Model Considering Land Use)

  • 유정훈;허겸;류인곤;전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659-669
    • /
    • 2022
  • 최근 주차문제는 구도심의 주택지역에서만이 아니라 계획도시인 신도시의 점포겸용 단독주택지, 근린생활시설, 상업지역 주변 등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차문제를 신도시 지구계획 단계에서 검토하여 신도시 건설 전에 주차문제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주차문제는 공급기반과 운영기반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른 해결전략을 공급 및 운영측면에서 검토하여 효과성과 적용용이성의 정도에 따라 해결전략 적용 절차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문제 검토 단위를 보다 세분화하는 PAZ (Parking Analysis Zone)를 분석 기초 단위로 제안하였으며, 하남 교산지구 토지이용계획을 기본으로 공급기반 주차난 우려지역을 검토하고, 하남 교산지구에 맞게 수립된 적용 절차에 따라 해당 PAZ별 주차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루이 드 스와송의 에워싼 주택배치 유형 해석 (An Analysis of the Enclosed Housing Cluster Type of Louis de Soissons)

  • 손세욱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9-36
    • /
    • 2006
  • Welwyn Garden City benefits from the greater design cohesion and management of development which gave it a more distinctive 'brand image' almost from the outset than its older garden city(Letchworth, Hampstead). Its planner, Louis de Soissons, brought a more obvious sense of traditional formal urbanism to the design of the second garden city. This was rather different to the distinctive but rather more informal arts and crafts approach of Raymond Unwin. Here it attempts to analyze how they greatly and firmly established the concept of Housing Group in the residential design, and what similar elements between Unwin and de Soissons in the New Town planning. It is pointed out that the Housing Group theory is composed of recognizing urban life as totality, and group planning theory, and that they definitely originated a new technique in the residential area. It is analyzed that the syntactic relations between the group planning theory and enclosed housing cluster designs in the English garden city are epitomized in Welwyn Garden City.

신시가지형 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Metropolitan Area by the Development of the New Town-type Innovation City: A Case Study of the Daegu Innovation City in South Korea)

  • 박정일;김지혜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55-68
    • /
    • 2018
  • 본 연구는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신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7~2016년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와 국내인구이동통계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 및 주변 시군의 인구변화를 자연적 증가와 사회적 증가(인구이동)로 분해하여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구광역시의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경향을 보이는 반면, 도시외곽 혁신도시개발지가 위치한 동구는 해당지역으로의 인구유입에 따라 인구성장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2014년 이후 동구로의 높은 순 인구이동의 발생은 대구혁신도시 개발의 준공과 공공기관 이전 시기와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2007~2016년 사이 동구로 이동 인구의 전출지역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으로부터 유입은 전체의 6.9%인 반면 동구 내부이동(34.5%)과 더불어 대구 내 7개 구군(35.8%)과 주변 4개 시군(8.2%)에서 유입된 인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대구혁신도시가 위치한 동구로의 전입인구는 동구 인접지역인 수성구, 북구, 경산시로부터 유입인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시가지형 혁신도시개발은 도시의 외연적 확산을 심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