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Records

검색결과 1,580건 처리시간 0.027초

학교도서관 DLS의 목록입력 규칙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ndment of DLS Cataloging Rule)

  • 노진영;변우열;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23
    • /
    • 2014
  • 학교도서관에서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인 Digital Library System(DLS)의 목록입력 규칙을 이용해 서지레코드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DLS 목록입력 규칙은 규칙 자체가 상세하지 않고, 규칙 상호 간에 모순이 있고, KCR4에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서지레코드 구축시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생산하는 서지레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표준화된 서지레코드 구축을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LS 목록입력 지침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을 KCR4와 비교 분석하고, 3년 이상 경력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LS 목록입력 규칙에서 사용한 용어가 KCR4와 일치하도록 수정이 필요하고, 기술영역별로 목록규칙의 개정이 요구되었다.

고려초 복식기록에 관한 고찰 - 광종.경종.성종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rds of Costume of the Early Koryo Period - Focus on the Reign of King Gwangjong.King Gyeongjong.King Seongjong -)

  • 전혜숙;김혜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9-15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kinds and features of costume and fabrics of the early Koryo period which are mentioned in the records of costume system, royal presents and diplomatic articles at that time ranging from the reigns of king Gwangjong to king Gyeongjong and to king Seongjong.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11th year of king Gwangjong's reign, the official costume system was established, which reflected the royal will to independence as an imperial nation. That system also became the basis of the official wage system in king Gyeongjong's reign. In the reigns of king Gwangjong and king Gyeongjong, the monarch granted official uniforms to persons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directly connecting with new bureaucrats and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Those uniforms were usually worn at a banquet where the monarch and subjects participate together in the early Koryo period.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 costume and fabrics were positive means of realizing political Confucianism as they were used for bureaucrats who advanced to official position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Records issued at that time explain that the monarch presented costume and fabrics in an effort to getting along with officials and civilians of different classes as the state and the royal authority stabilized. Found in the records released in the reigns of king Gwangjong to king Seongjong, the kinds of costume or fabrics at that time include jikseongeuio, gap, yongeui, seupeui, gyegeum baekcheop, geumeunseon gyegeumpoyok and po. The techniques of manufacturing armors in the early Koryo period were probably advanced since the item was a craftwork presented to the court in the reigns of kings Gwangjong and Gyeongjong. Presumedly, baekcheop was a kind of hemp and po. Koryo's native hemp cloth.

  • PDF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의 임상 사례에 대한 연구 - 『경보신편(輕寶新篇)』의 의안(醫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inical Case of Shihosamul-tang (柴胡四物湯, Bupleurum Four Substances Decoction) - Focusing on case records (醫案) of KyungBoSinPyun (輕寶新篇, New Treatise of Light Treasure) -)

  • 구민석;차웅석;김남일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59
    • /
    • 2017
  • Shihosamul-tang (柴胡四物湯, Bupleurum Four Substances Decoction) is a very effective and widely utilized prescription in Korean medicine.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clinical example written in the classical literature of Korean medicine that deals with Shihosamul-tang and the delicate and changeable clinical use of Shihosamul-tang remains unknown. This study tries, for the first time, to show the clinical practice of Shihosamul-tang through review of KyungBoSinPyun (輕寶新篇). KyungBoSinPyun is a medical book containing 143 case records in the tradition of the East Asian practice of describing clinical encounters and the therapies employed. This study examines eight examples of case records within KyungBoSinPyun highlighting use of Shihosamul-tang.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how Shihosamul-tang is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compared to the description of Shihosamul-tang in Donguibogam (東醫寶鑑). Different descriptions about the symptoms and transformation methods of the prescription have been found in the eight examples of Shihosamul-tang case records contained in KyungBoSinPyun.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a typical description in medical books should be overcome by medical virtuosity and the potential for change for each clinical case, which is gained when seeing beyond the text of medical books.

의무기록의 다각적 활용을 통한 충실도 높은 병원 암등록 체계의 구축: 서울아산병원의 경험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Hospital-Based Cancer Registry Using Various Health Records to Detect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Cancer: Experience at Asan Medical Center)

  • 김화정;조진희;유용만;이선혜;황경하;이무송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3호
    • /
    • pp.257-264
    • /
    • 2010
  • Objectives: An accurate estimation of cancer patients is the basis of epidemiological studies and health services. However in Korea, cancer patients visiting out-patient clinics are usually ruled out of such studies and so these studies are suspected of underestimating the cancer patient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more complete, hospital-based cancer patient registry using multiple sources of medical information. Methods: We constructed a cancer patient detection algorithm using records from various sources that were obtained from both the in-patients and out-patients seen at Asan Medical Center (AMC) for any reason. The medical data from the potentially incident cancer patients was reviewed four months after first being detected by the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these patients actually did or did not have cancer. Results: Besides the traditional practice of reviewing the charts of in-patients upon their discharge, five more sources of information were added for this algorithm, i.e., pathology reports, the national severe disease registry, the reason for treatment, prescriptions of chemotherapeutic agents and radiation therapy reports. The constructed algorithm was observed to have a PPV of 87.04%. Compared to the results of traditional practice, 36.8% of registry failures were avoided using the AMC algorithm. Conclusions: To minimize loss in the cancer registry, various data sources should be utilized, and the AMC algorithm can be a successful model for this.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apply novel and innovative technology to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in order to generate new signals from data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used.

개화기 방한 서양인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ing Digital Archives from the Records of Westerners who visited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Chosun)

  • 정희선;김희순;송현숙;이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35-154
    • /
    • 2015
  • 본 연구는 개화기 방한 서양인 기록물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지역문화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대상 자료는 서양인 기록물 11권이고, 주제분류체계로부터 10개의 대주제와 120개의 소주제를 추출하였다. 37개 메타데이터 항목에 맞추어 텍스트 내용의 분석과 입력자료 유형을 분류하고 엑셀로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모델과 5개의 메뉴로 구성된 홈페이지 구축(안)을 제시하였다. 추후연구를 위해 아카이빙 구축을 위한 데이터의 지속적인 발굴과 아카이브 확대 방안, 아카이브 시스템간의 활발한 연계, 시스템 표준화, 시스템 호환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시스템 설계를 제언하였다.

기록콘텐츠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rchive Exhibitions using Archival Contents)

  • 서은경;박희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9-93
    • /
    • 2019
  • 아카이브 전시는 아카이브의 가치를 높이고 이용자의 관심 및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아카이브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지만, 아직까지도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기록콘텐츠를 이용하여 일방적인 정보전달식의 아카이브 전시에서 벗어난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전시방안을 시도하고 모색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전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하여 기록콘텐츠를 활용한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록콘텐츠를 통하여 기록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증진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개발 전략은 3-way 콘텐츠 기반 전시, 체험 기반 전시, 디지털 환경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vent Archives)

  • 임지훈;오효정;김수정
    • 기록학연구
    • /
    • 제51호
    • /
    • pp.175-208
    • /
    • 2017
  • 본 연구는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기록을 수집 관리하는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을 정립하고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건 아카이브의 정의를 내린 후, 사건 아카이브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의 민간 기록물 아카이빙 연구방법인 공동체 아카이브와 로컬리티 도큐멘테이션과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사건 아카이브는 인물, 공간, 시간으로 구성되며, 다른 연구방법과 비교하여 시간적 요소를 특히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을 축으로 나머지 요소를 접목한 팽이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건 아카이브 구축 시 세 가지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건 발생 시기에 따라 사건 아카이브의 구축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였다. 둘째, 사건 아카이브의 세 요소인 인물, 공간, 시간에 따라 기록 수집 및 관리 영역을 제안하였다. 셋째, 오픈 아카이브로 발전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브를 지향할 것을 제안하였다.

현용기록의 활용성 증진을 위한 지능형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한국중부발전 사례중심으로 (Case Study of Intelligence Record Management System Focus on Improving the Use of Current Record: The Case of Korea Midland Power Company (KOMIPO))

  • 주현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1-230
    • /
    • 2019
  • 본고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과는 차별화하여, 전자결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기록관리 보조도구로 인공지능, 챗봇 등의 지능형서비스를 접목한 한국중부발전의 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준비과정을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록관리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것은 물론이고, 현용기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실시간 이관 및 기능분류체계 활용에 대해 심도있게 검토하여 설계하였으며, 폭증하는 전자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도입하였다. 기록관리행위의 첫 단추이자 가장 중요한 시작인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기계학습을 통한 기록물분류를 추천하여 처리과에서의 무분별한 오분류를 사전에 차단했으며, 업무관련 규정 및 기록의 활용을 위하여 챗봇을 도입하는 등 기록관리 분야에서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였다. 또한 시스템 간 이관에 따라 생기는 열람권한 문제를 전자결재시스템 및 기록관리시스템의 열람권한을 모두 확인하여 권한을 부여하는 등 기록물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인삼 뷰티 모노그래프: 인삼의 역사와 피부 효능 연구에 관한 고찰 (Ginseng Beauty Monograph: A Study on the History of Ginseng and Research on Skin Efficacy)

  • 박준성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6-174
    • /
    • 2020
  • 화장품 기능성 원료는 감성 융합 기술의 산물이다. 의약품과는 다르게 효능을 발휘하는데 제한이 있는 생활용품이기 때문에 원료에 감성적인 매력 요소가 담겨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인삼은 오랫동안 인류 건강을 위해 동양의학의 주요 처방으로 활용됐다. 인삼의 기원 및 전파 등의 상세한 기록들은 K-뷰티의 자산으로서 인삼의 정통성과 우수성을 활용한 감성 융합 소재로서 인삼의 다양한 제품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인삼 활용 최초의 기록들이 중국 고서에 의존하고 있다는 안타까운 현실에서 뷰티의 영역에서 활용된 기록들을 서술하여 남기고 이를 활용하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화장품 응용 연구에 필요한 일반적인 역사적 기록들과 피부 기능성 영역에서의 인삼 진세노사이드 성분에 관한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고찰해보고 신규 화장품 개발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 지평의 확장을 위한 중국 신문 사료 연구 (A Study on Chinese Newspaper Records for Broadening Intellectual Horizons of Gwangju Student Movement)

  • 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41-264
    • /
    • 2022
  • 1929년 발생한 광주학생독립운동 관련 연구는 2018년 이후로 연구주제를 다변화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광주학생독립운동의 국외 확산 과정에 관련한 연구들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사료의 부족, 새로운 방법론의 부재 측면에서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국외 전파 과정을 문헌정보학에 기반을 둔 정보 전달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새로운 중국 신문 사료를 발굴하고, 둘째, 2-모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신문 16종에서 125건의 중국 신문 사료를 발굴해냈고, 이중 104건이 신규 발굴된 사료이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주장된 최초 보도보다 더 앞선 기사가 발굴되었다. 셋째, 중국의 북경·사천·상해·천진·호남 지방에서 서울의 1·2차 확산 시위와 광주의 사건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이 연구는 광주학생독립운동 연구의 확장 및 다변화를 꾀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