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spor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각종 탄소원이 $velA^+$ 및 velA1 Aspergillus nidulans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Carbon Sources on the Development of Aspergillus nidulans with $velA^+$ or velA1 allele)

  • 한동민;한유정;채건상;장광엽;이영훈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2-337
    • /
    • 1994
  • Under standard condition (Han, et al., 1990: glucose 1%-nitrate 0.1% minimal medium, 30 ml in 9 cm plate, $10^6$ cells of inoculum per plate), wild type of Aspergillus nidulans developed both sexual and asexual organs in ballance, while velA1 mutant developed asexual ones preferentially. Increase of glucose concentr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sexual sporulation. However, development of sexual organs were largely affected. It was greatly enhanced when favorable nitrogen source, for example, casein hydrolysate was added, which is contrary to the case of Neurospora or Saccharomyces where limitation of N source induces sexual development. On most of moderate C sources asexual development in $velA^+$ strain was largely inhibited except acetate on which only asexual spores were produced, while that in velA1 mutant strain was not affected. Lactose promoted the sexual development even in velA1 mutant indicating that lactose itself or its metabolic intermediate may induce sexual development independent of allelic state of velA gene. On other moderate favorable C sources, glycerol, galactose and ethanol, asexual development was largely inhibited in $velA^+$ strain but not in velA1 mutant strain. Sexual organs were, however, never produced on acet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sexual development of wild type is largely dependent on C sources and the velA gene is involved in the repression of asexual development in not-enough-grown (non-competent) thalli resulting in preferential progression of sexual development.

  • PDF

Analysis of Biological Effect of DBD-type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on Saccharomyces Cerevisiae

  • Park, Gyung-Soon;Baik, Ku-Yeon;Kim, Jung-Gil;Kim, Yun-Jung;Lee, Kyung-Ae;Choi, Eun-Ha;Uhm, Hwan-Sup;Jung, Ran-Ju;Cho, Kwang-Sup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7-337
    • /
    • 2011
  • Application of plasma technology on microbial sterilization has been frequently studied. In spite of accumulating number of studies, many have been focused on bacteria. Reports on eukaryotic yeasts and filamentous fungi are limited. In addition, mechanism of plasma effect still needs to be clarifi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on the budd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DBD-type device. When yeast cells were exposed to plasma (at 2 mm distance) and then cultured on YPD-agar plate, number of cells survived (shown as colony) were reduced proportionally to exposure time. More than 50% reduction in number of colonies were observed after twice exposure of 5min. each. Colonies much smaller than those of control (no plasma exposure) were appeared after twice exposure of 5 min. each. It seems that small colonies are resulted from delayed cell growth due to the damage caused by plasma treatment. Microscopic analysis demonstrates that yeast cells treated with plasma for 5 min. twice have more rough and shrinked shape compared to oval shape with smooth surface of control.

  • PDF

상온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곰팡이 살균과 바이오 필름 제거에 대한 생물학적 분석과 플라즈마 장치 개발

  • 유영효;홍영준;이경애;김동우;이현철;최병서;최현식;김학현;최은하;박경순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5-335
    • /
    • 2011
  • 곰팡이에 의한 감염과 바이오 필름 형성이 우리 인간에게 매우 유해하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바이다. 일례로, 이는 우리가 먹는 음식을 오염시키고 치아를 상하게 하며 수도관을 부식시키고 또 우리 몸속에 집어넣는 의료기기에서 자라 심각한 질병을 유발시키는 등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곰팡이 감염과 바이오 필름 형성을 막기 위해 항생제 및 화학물질 등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있으나 저항성이 증가된 균주의 출현,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 따라서 좀더 지속적이고 환경친화적인 기술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강한 살균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대기압 플라즈마는 이러한 기술개발에 적용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 대기압 플라즈마를 만들어 내는 여러 타입의 장치를 이용하여 곰팡이 살균과 이스트 바이오필름 형성 저해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곰팡이 세포들의 세포학적 분자생물학적 영향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대기압 상온 플라즈마 제트는 대기중에서 방안의 온도로 플라즈마가 생성되며 이를 페트리디쉬위에 접종된 이스트(Saccharomyces cerevisiae) 위 10 mm에서 조사한 결과 2분 이상의 처리를 했을 때 바이오 필름형성을 하지 못함을 보였고 곰팡이(Neurospora crassa)포자에 처리했을 때는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발아하는 포자수가 감소하고 포자의 모양도 수축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는 대면적이 아닌 국부적 살균으로 살균력은 보이나 그 효율성이 낮아 이를 보완하기위해 DBD 형식의 플라즈마 장치를 만들었으며 이는 페트리디쉬의 모든 면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제트와는 달리 플라즈마의 생성구간이 넓고 얇아 시료와 2~3 mm 간격을 띄우고 조사하였다. 제트와 마찬가지로 살균의 효과를 보였으며 기존의 단점을 극복하여 동시에 더 많은 면적을 조사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플라즈마의 살균능력을 직접 확인하였고 앞으로 더 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일련의 과정들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PDF

Recombinant Cyanide Hydratases에 의한 시안화물 분해 (Cyanide Degradation by Two Recombinant Cyanide Hydratases)

  • 권성현;조대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87-1291
    • /
    • 2009
  • 시안화물을 포름아미드로 변환시키는 nitrilase의 일종인 시안 수화효소 (cyanide hydratase, CHT) 를 진균류인 Neurospora crassa 와 Aspergillus nidulans로부터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His에 태그 또는 언태그된 형태로 대장균에 형질변환시켜 발현하였다. 발현된 효소를 고정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들의 pH 안정성, 동력학적 매개변수의 값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N. crassa 의 CHT가 50% 정도 더 넓은 pH 안정 범위를 가졌고 3배 가량 turnover rate도 높았다. 반면 A. nidulans CHT의 Km 값 (효소포화 용량)이 N. crassa CHT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두 진균류에서 CHT의 유도발현은 질소성분과 상관없이 KCN에 의해 가능하였으며, 생분해 실험결과 N. crassa CHT에 의해 최대 82%/h의 시안분해가 가능하였다.

Genomics Reveals Traces of Fungal Phenylpropanoid-flavonoid Metabolic Pathway in the Filamentous Fungus Aspergillus oryzae

  • Juvvadi Praveen Rao;Seshime Yasuyo;Kitamoto Katsuhik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6호
    • /
    • pp.475-486
    • /
    • 2005
  • Fungal secondary metabolites constitute a wide variety of compounds which either playa vital role in agricultural, pharmaceutical and industrial contexts, or have devastating effects on agriculture, animal and human affairs by virtue of their toxigenicity. Owing to their beneficial and deleterious characteristics, these complex compounds and the genes responsible for their synthesis have been the subjects of extensive investigation by microbiologists and pharmacologists. A majority of the fungal secondary metabolic genes are classified as type I polyketide synthases (PKS) which are often clustered with other secondary metabolism related genes. In this review we discuss on the significance of our recent discovery of chalcone synthase (CHS) genes belonging to the type III PKS superfamily in an industrially important fungus, Aspergillus oryzae. CHS genes are known to playa vital role in the biosynthesis of flavonoids in plants. A comparative genome analyses revealed the unique character of A. oryzae with four CHS-like genes (csyA, csyB, csyC and csyD) amongst other Aspergilli (Aspergillus nidulans and Aspergillus fumigatus) which contained none of the CHS-like genes. Some other fungi such as Neurospora crassa, Fusarium graminearum, Magnaporthe grisea, Podospora anserina and Phanerochaete chrysosporium also contained putative type III PKSs, with a phylogenic distinction from bacteria and plants. The enzymatically active nature of these newly discovered homologues is expected owing to the conservation in the catalytic residues across the different species of plants and fungi, and also by the fact that a majority of these genes (csyA, csyB and csyD) were expressed in A. oryzae. While this finding brings filamentous fungi closer to plants and bacteria which until recently were the only ones considered to possess the type III PKSs, the presence of putative genes encoding other principal enzymes involved in the phenylpropanoid and flavonoid biosynthesis (viz., phenylalanine ammonia-lyase, cinnamic acid hydroxylase and p-coumarate CoA ligase) in the A. oryzae genome undoubtedly prove the extent of its metabolic diversity. Since many of these genes have not been identified earlier, knowledge on their corresponding products or activities remain undeciphered. In future,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enzymes may be reasonable targets for metabolic engineering in fungi to produce agriculturally and nutritionally important metabolites.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의 미생물의 분포 (Microbial Distribution as an Environmental Factor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War Memorial in Korea)

  • 최윤정;임선기;민경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41
    • /
    • 1998
  •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 미생물 분포를 낙하법과 공기포집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기념관내의 전시실 입구와 내부 그리고 수장고의 공중진균류 분포는 관람객 출입에 의한 공기의 유통이 심한 전시실이 관람객의 출입이 없는 수장고내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시실에서의 관람객이 많은 관람기간 동안의 미생물의 분포는 휴관일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미생물은 관람객의 이동에 따라 전시실내로 공기의 흐름과 함께 유입되어 들어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념관내에서 분리된 진균류는 19종이었으며, 고온성 진균은 1종인 Neurospors crassa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진균류의 대부분은 섬유소 문화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Study of the Production of Alkaline Keratinases in Submerged Cultures as an Alternative for Solid Waste Treatment Generated in Leather Technology

  • Cavello, Ivana A.;Chesini, Mariana;Hours, Roque A.;Cavalitto, Sebastian F.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7호
    • /
    • pp.1004-1014
    • /
    • 2013
  • Six nonpathogenic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alkaline soils of Buenos Aires Province, Argentina (Acremonium murorum, Aspergillus sidowii, Cladosporium cladosporoides, Neurospora tetrasperma, Purpureocillium lilacinum (formerly Paecilomyces lilacinus), and Westerdikella dispersa) were tested for their ability to produce keratinolytic enzymes. Strains were grown on feather meal agar as well as in solid-state and submerged cultures, using a basal mineral medium and "hair waste" as sole sources of carbon and nitrogen. All the tested fungi grew on feather meal agar, but only three of them were capable of hydrolyzing keratin, producing clear zones. Among these strains, P. lilacinum produced the highest proteolytic and keratinolytic activities, both in solid-state and submerged fermentations. The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for the keratinases production by P. lilacinum were optimized. Addition of glucose (5 g/l) and yeast extract (2.23 g/l) to the basal hair medium increased keratinases productio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initial pH for the enzyme production were $28^{\circ}C$ and 6.0, respectively. A beneficial effect was observed when the original concentration of four metal ions, present in the basal mineral medium, was reduced up to 1:10. The maximum yield of the enzyme was 15.96 $U_c/ml$ in the optimal hair medium; this value was about 6.5-fold higher than the yield in the basal hair med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keratinases from P. lilacinum can be useful for biotechnological purposes such as biodegradation (or bioconversion) of hair waste, leading to a reduction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leather technology with the concomitant production of proteolytic enzymes and protein hydrolyzates.

Identification of a Domain in Yeast Chitin Synthase 3 Required for Biogenesis of Chitin Ring, But Not Cellular Chitin Synthesis

  • Park Hyun-Sook;Park Mee-Hyun;Kim Chi-Hwa;Woo Jeeun;Lee Jee-Yeon;Kim Sung-Uk;Choi Wonja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45
    • /
    • 2000
  • It hab been proposed that CHS3-mediated chitin synthesis during the vegitative cell cycle is regulated by CHS4. To investigate direct protein-protein interaction between their coding products, we used yeast two hybrid system and found that a domain of Chs3p was responsible for interaction with Chs4p. This domain, termed MIRC3-4 (maximum interacting region of chs3p with chs4p), spans from 647 to 700 residues. It is well conserved among CHS3 homologs of various fungi such as Candida albicans, Emericella nidulans, Neurospora crassa, Magnaporthe grisea, Ustilago maydis, Glomus versiforme, Exophiala dermatitidis, Rhizopus microsporus. A series of mutaion in the MIRC3-4 resulted in no appearance of chitin ring at the early G 1 phase but did not affect chitin synthesis in the cell wall after cytokinesis. Absence of chitin ring could be caused either by delocalization of Chs3p to the septum or by improper interaction with Chs4p. To discriminate those two, not mutually exclusive, alternatives, mutants cells were immunostained with Chs3p-specific antibody. Some exhibited localization of chs3p to the septum, while others fail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activation Chs3p by Chs4p is required for chitin ring synthesis.

  • PDF

생강나무와 산앵두나무의 뿌리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p.의 지베렐린 생산성 (Isolation of Gibberellin-producing Penicillium spp. from the Root of Lindera obtusiloba and Vaccinium koreanum)

  • 최화열;이진형;신기선;이인중;이인구;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04
  • Gibberellins(GAs)는 식물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과 원예분야에 매우 중요한 새로운 GAs 생성미생물을 탐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와 산앵두나무(Vaccinium koreanum)의 뿌리에 존재하는 사상균을 분리하여 GAs 생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비색법으로 GA 생산량을 분석하였을 때 이들 중에서 GAs 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 두 균주에 대하여 여러 GAs 중에서 식물생장촉진 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GA_{1},\;GA_{3},\;GA_{4}$$GA_{7},\;GA_{53}$에 대하여 생산정도를 분석하고, 동정을 수행하였으며, Waito-c(난장이 볍씨)에서 Bioassay를 수행하였다. 생강나무에서는 6종의 균주, 산앵두나무에서는 4종류의 GAs 생산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중 GAs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균주들에 대하여 동정한 결과, 생강나무에서 분리한 C03 균주는 P. urticae KNUC03으로 동정되었으며, 산앵두나무에서 분리한 E03 균주는 P. griseofulvum KNUE03으로 동정되었다. 생합성된 GAs를 분석한 결과 P. urticae KNUC03 균주는 배양액 25 ml 중에 $GA_1\;7.08\;ng,\;GA_3\;30.80\;ng,\;GA_{4}\;1.27\;ng,\;GA_{7}\;0.88\;ng$$GA_{53}\;0.13\;ng$을 생산하였고 P. griseofulvum KNUE03은 $GA_1\;9.79\;ng,\;GA_3\;133.58\;ng,\;GA_4\;2.64\;ng,\;GA_7\;7.80\;ng$$GA_{53}\;0.73\;ng$을 생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두 균주 중에서 P. griseofulvum KNUE03이 GAs를 더 많이 생산함을 알 수 있었다.

진핵 미생물에서의 COP9 signalosome의 역할 (The COP9 Signalosome Network in Eukaryotic Microorganisms)

  • 천영미;이수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13
  • Cop9 signalosome(CSN)은 최초 식물 발달 과정에서의 빛에 의한 전사 조절 과정에서의 억제 유전자로 처음 분리된 이후 이들이 다양한 진핵 생물 에서 매우 잘 보존되어 있음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은 대부분 8개의 subunit으로 구성되며 26S proteasome lid와 eIF3와 구조적으로는 물론 기능적으로도 유사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특히 Cullin-Ring ubiquitin ligases(CRL)의 구성 요소인 Cullin의 deneddylation을 매개하여 ubiquitin ligase의 활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세포 주기 및 checkpoint 조절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 분열효모의 경우 CSN1 및 CSN2 결손 세포에서 S-phase로서의 진행이 지연됨이 관찰되었고 감마선 혹은 UV에 좀더 민감해지는 현상이 관찰되어 CSN이 checkpoint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곰팡이의 CSN 경우 구조적으로 더욱 상위 개체들의 그것과 더욱 유사한데, CSN이 생체 시계 리듬, 빛과 연관한 호르몬 생산, 곰팡이의 발달 과정 및 생식 주기를 조절함이 보고되었다. 또한 Aspergillus nidulans의 경우 상위개체에서 보여준 DNA 합성 및 손상, 세포 주기 조절에서의 기능이 알려지면서 CSN은 곰팡이 생활사에 필수적인 여러 과정들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식물이나 포유동물 등에서 보고되었던 CSN의 주요 기능을 미생물에서도 대부분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들이 CRL을 통한 주요 세포 활성 조절 연구에 좋은 툴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