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pathic Pain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18초

근골격계 질환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 (Opioids and Antidepressants for Pain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ease)

  • 박세진;김우섭;장태동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20
  • 고령화의 진행 및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수술적 치료 방법을 포함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이 증가되고 있으나 수술적 치료 시행 전 보존적 치료는 충분히 시행되어야 한다. 보존적 치료 중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는 오래 전부터 보존적 치료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스테로이드(steroid), 마약성 진통제(opioid),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등이 있으며 저자는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으로 인해 말초 부위에 있는 통각 수용체에 자극이 전달되면 통증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상향성 경로(ascending pathway)를 거쳐 대뇌에 전달되고 대뇌는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하향성 조절 경로(descending pathway)를 통해 엔도르핀(endorphin)과 같은 내인성 마약성 진통제를 분비하게 된다. 마약성 진통제라는 것은 마약성 진통제 수용체(receptor)에 작용하는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마약성 진통제는 세 가지의 수용체가 존재하며 조직이나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달라진다. 이와는 달리 항우울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에 작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상향성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된 기전으로 만성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적이며 이는 마약성 진통제 계열과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설에서는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와 항우울제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시 유의점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The Effect of GCSB-5 a New Herbal Medicine on Changes in Pain Behavior and Neuroglial Activation in a Rat Model of Lumbar Disc Herniation

  • Cho, Hee Kyung;Kim, So-Yeon;Choi, Mi Jung;Baek, Seung Ok;Kwak, Sang Gyu;Ahn, Sang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2호
    • /
    • pp.98-105
    • /
    • 2016
  • Objective : Lumbar disc herniation can induce sciatica by mechanical compression and/or chemical irrit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GCSB-5 (Shinbaro$^{(R)}$) and NSAIDs on pain-related behavior and on the expressions of microglia, astrocytes, CGRP, TRPV1, IL-6, and CX3CL1 in a rat model of lumbar disc herniation. Methods : 112 male Sprague-Dawley rats underwent implantation of nucleus pulposus to a dorsal root ganglion (DRG).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s follows; a saline group (the vehicle control group) (n=27), a 10 mg/kg aceclofenac group (the aceclofenac group) (n=22), and 100, 300 or 600 mg/kg GCSB-5 groups (the GCSB-5 100, 300, or 600 groups) (n=21 for each group). Rats were tested for mechanical allodynia at 3 days after surgery and at 1 day, 3 days, 7 days, 14 days, 21 days, 28 days, 35 days, 42 days, 49 days, and 56 days after treatment commencement.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microglia (Iba1), astrocytes (GFAP), CGRP, and TRPV1, and PCR for IL-6 and CX3CL1 were performed on spinal dorsal horns and DRGs at 56 days after medication commencement. Results : After 56 days of GCSB-5 300 administration, mechanical withdrawal threshol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nd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s of Iba1, GFAP, CGRP, and TRPV1 were reduced than other group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GCSB-5 reduces mechanical allodynia and downregulates neuroglial activity and the expressions of CGRP and TRPV1 in the spinal segments of a rat model of lumbar disc herniation.

Streptozotocin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성 통증시 Nitric Oxide의 역할 (Role of Nitric Oxide on the Neuropathic Pa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최진정;전병화;윤석화;이영호;김무강;김광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1호
    • /
    • pp.12-18
    • /
    • 2001
  • Background: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he change in nitric oxide (NO) expression in the dorsal root ganglia (DRG) may be responsible for developtment and/or maintenance of painful diabetic neuropath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ole of NO in the pathogenesis of painful diabetic neuropathy. Methods: The effect of L-nitroargine methylester (L-NAME) or sodium nitroprusside (SNP) on allodynia was measur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NO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the cerebrospinal fluid (CSF) and plasma of the diabetic rats. NADPH-diaphorase (NADPH-d) 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the DRG and spinal cords of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Results: L-NAME,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alleviated allodynia, while SNP, a nitric oxide donor, aggravated allodynia in diabetic rats. Plasma NO level in the diabetic ra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rats. NO level in the CSF of diabetic rats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control rats. NADPH-d positive cells were decreased in the DRG of diabetic rats. However, NADPH-d histochemistry in the diabetic spinal cord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rats. Conclusions: Downregulation of NO expression in the diabetic rats may not be causal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or maintenance of painful diabetic neuropathy.

  • PDF

A randomized, open labeled study comparing the serum levels of cobalamin after three doses of 500 mcg vs. a single dose methylcobalamin of 1500 mcg in patients with peripheral neuropathy

  • Sil, Amrita;Kumar, Hrishikesh;Mondal, Rahul Deb;Anand, Sidharth Sankar;Ghosal, Anirban;Datta, Ashis;Sawant, Sandesh V;Kapatkar, Vaibhavi;Kadhe, Ganesh;Rao, Sameer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1권3호
    • /
    • pp.183-190
    • /
    • 2018
  • Background: Vitamin B12 deficiency has been associated with peripheral neuropathy, loss of sensation in the peripheral nerves, and weakness in the lower extremities. Methylcobalamin is the most effective analogue of vitamin B12 used to treat or prevent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vitamin B12 deficiency. The current study aimed to compare the serum cobalamin levels after administration of two different regimes of methylcobalamin in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a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ative study. The study consisted of two parallel groups, group A (methylcobalamin $500{\mu}g$ injection intramuscularly three times a week) and group B (methylcobalamin $1500{\mu}g$ injection intramuscularly once a week). A control group of healthy volunteers was also included. Results: A total of 24 patients (12 in each group) were included in the study. Five healthy volunteers were also included as a control in each group. At the end of treatment, serum cobalamin levels were significantly (P = 0.028) higher in group A ($1892.08{\pm}234.50$) as compared with group B ($1438.5{\pm}460.32$). The serum cobalamin levels in Group A healthy volunteers were also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group B (P = 0.056). Both the LANSS scale and DN4 questionnaire reported similar results at end of treatment. Conclusions: The $500{\mu}g$ methylcobalamin thrice weekly regime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erum cobalamin levels as compared to the $1500{\mu}g$ methylcobalamin once weekly regime.

줄기세포를 이식한 척수손상 흰쥐에서 반복자기자극의 효과 (The Effect of Repetitive Magnetic Stimulation in an SCI Rat Model with Stem Cell Transplantation)

  • 배영경;박해운;조윤우;김수정;이준하;권정구;안상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1호
    • /
    • pp.67-73
    • /
    • 2010
  • Purpose: We tested whether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improved recovery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CI) in rats with transplant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stromal cells (ATSCs). Methods: Twenty Sprague-Dawley rats (200-250 g, female) were used. Moderate spinal cord injury was induced at the T9 level by a New York University (NYU) impactor. The rat ATSCs (approximately $5{\times}10^5$ cells) were injected into the perilesional area at 9 days after SCI. Starting four days after transplantation, rTMS (25 Hz, 0.1 Tesla, pulse width=$370{\mu}s$, on/off time=3 sec/3 sec) was applied daily for 7 weeks. Functional recovery was assessed using the Basso, Beattie, and Bresnahan (BBB) locomotor rating scale as well as pain responses for thermal and cold stimuli.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milar, gradual improvement of locomotor function. rTMS stimulation decreased thermal and cold hyperalgesia after 7 weeks, but sham stimulation did not. Conclusion: rTMS after transplantation of ATSCs in an SCI model may reduce thermal hyperalgesia and cold allodynia, and may be an adjuvant therapeutic tool for pain control after stem cell therapy in SCI.

Synthesis and In vivo Evaluation of 5-Methoxy-2-(phenylethynyl)quinoline (MPEQ) and [11C]MPEQ Targeting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5 (mGluR5)

  • Kim, Ji Young;Son, Myung-Hee;Choi, Kihang;Baek, Du-Jong;Ko, Min Kyung;Lim, Eun Jeong;Pae, Ae Nim;Keum, Gyochang;Lee, Jae Kyun;Cho, Yong Seo;Choo, Hyunah;Lee, Youn Woo;Moon, Byung Seok;Lee, Byung Cheol;Lee, Ho-Young;Min, Sun-J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8호
    • /
    • pp.2304-2310
    • /
    • 2014
  • The synthesis and in vivo evaluation of 5-methoxy-2-(phenylethynyl)quinoline (MPEQ) 3 as a potential mGluR5 selective radioligand is described. We have identified MPEQ 3 exhibiting the analgesic effect in the neuropathic pain animal model. The effect of mGluR5 on neuronal activity in rat brain was evaluated through FDG/PET imaging in the presence of MPEQ 3. In addition, the PET study of [$^{11}C$]MPEQ 3 proved that accumulation of [$^{11}C$]MPEQ 3 in rat brain was correlated to the localization of the mGluR5.

이상감각과 통증을 호소하는 당뇨병 환자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분석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in Diabetic Patients with Abnormal Sensation and Pain)

  • 양지원;이영배
    • 감성과학
    • /
    • 제19권4호
    • /
    • pp.111-118
    • /
    • 2016
  • 당뇨병 환자들은 말초신경 손상의 합병증으로서 이상감각과 통증을 느낄 수 있는데 이는 날카로운 느낌, 차갑고 시린 느낌, 무딘 느낌, 살갗이 벗겨진 듯한 예민한 느낌, 화끈거리는 느낌, 따끔하고 가려운 느낌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 여러 선별검사와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병통증척도와 미시간 신경병증 선별도구 및 신경전도검사를 통해 이상감감/통증을 호소하는 당뇨병 환자 11명과 호소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 10명 간에 차이점 및 특징을 분석하였고, 세부 감각양상과 신경전도검사 지표간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상감각/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군에서 신경병통증척도와 미시간 신경병증 선별검사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신경전도검사에서는 주로 정중신경 운동신경과 비골신경이 의미 있는 기능 변화를 보였다. 세부 감각양상에 따른 신경전도검사 지표는 주로 정중신경 운동신경, 후경골신경, 장딴지신경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감각이상과 통증이 실제 말초신경 이상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많은 수의 대상자를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actors Associated with Ketamine Use in Pancreatic Cancer Patient in a Single Hospice Center

  • Kwon, Kyung Min;Lee, Yong Joo;Choi, Chang Jin;Kim, Chul Min;Yoon, Jo Hi;Kim, Min Hee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3호
    • /
    • pp.249-255
    • /
    • 2016
  • 목적: 췌장암 환자의 90% 이상이 신경성 통증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말기 췌장암 환자에서는 통증조절이 매우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이다. 케타민은 NMDA 수용체 길항제로서 신경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약성 진통제의 요구를 감소시켜주는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앞서 진행된 바 있는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화병동에 입원한 췌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케타민의 사용과 관련된 항목들을 알아보고 마약성 진통제를 줄여주는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진행한 연구이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서울성모병원완화의학과에 입원한 췌장암 환자 111명에 대한 의무기록을 통하여 케타민을 사용한 그룹(34명)과 사용하지 않은 그룹(77명)에 대해 케타민 사용과 관련된 요인 및 사용 후 모르핀을 포함한 마약성 진통제의 용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케타민을 사용한 군에서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총 기본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P value 0.001), 하루에 사용한 마약성 진통제의 용량(P value<0.001), 평균 구제 약물의 용량(P value 0.001), 하루 평균 구제 약물 사용 횟수(P value 0.001), 하루 평균 구제 약물을 용량(P value<0.001)이 더 높게 나타났다. 케타민 사용 전후를 비교한 결과 마약성 진통제는 케타민 사용 전(76.1 (${\pm}64.5$))에 비하여 후(89.6 (${\pm}80.9$))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후향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는 더 많은 용량의 마약성 진통제를 요한 환자들이 케타민을 사용한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케타민을 사용함으로 인해 마약성 진통제 요구량이 감소하는 경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차후 더 많은 환자들과 다양한 종류의 암성 통증을 대상으로 한 완화의료적 목적의 케타민 사용에 대한 연구가 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케타민의 사용에 관련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논의가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근관 충전제의 과충전에 의한 하치조 신경손상에 관한 비수술적 치료 증례 (Case Report : Non-surgical Treatment of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as a Result of Overinstrumented Root Canal Treatment)

  • 배국진;안종모;윤창륙;조영곤;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99-205
    • /
    • 2011
  • 근관치료 중 수동 또는 엔진구동파일을 사용하다 과도한 기구 조작을 하게 되면, 근관충전제, 드레싱제 그리고 근관세척제가 근관에서 나와 하악관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 때 환자는 통증, 지각과민, 지각감퇴, 무감각, 이상감각 등을 호소하게 될 것이다. 이런 문제들은 근관충전제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생체적합성이 떨어지는 물질들에 의한 비가역적인 손상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해결되어야 한다. 비록 근관치료와 관련하여 발생한 하치조신경의 손상을 치료하는 진료지침이 비교연구 되어 있는 것이 없으나, 이 합병증에 대한 통상의 치료는 통증과 염증을 조절하는 것이고, 가능하다면 수술적인 치료로 근원을 처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수술적인 치료로 통증을 완전히 개선하거나 감소시키고 또는 감각이상을 치료하는 것이 보고되어왔다. 가바펜틴(gabapentin) 또는 프리가발린(pregabalin) 같은 항간질제는 신경병증 통증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이번 논문에서는 하악 우측 제 2대구치의 근관치료 후의 하치조신경의 손상과 이에 대해 프레드니솔론과 가바펜틴으로 비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것과 임상적으로 신경감각검사와 신경전류인지역치검사(Neurometer)를 통해 경과관찰을 시행하였다.

만성 구강안면통증의 사회심리적 영향 (Psychosocial Impact of Chronic Orofacial Pain)

  • 양동효;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397-407
    • /
    • 2009
  • 본 연구는 6개월 이상의 만성 비치성 구강안면통증(orofacial pain, OFP) 환자들을 대상으로 통증으로 인한 사회심리적 영향을 평가하고, 대학병원의 구강안면통증 전문클리닉에 내원한 OFP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유발사건, 이전 치료병력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08년 9월부터 6개월간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 구강안면통증클리닉에 내원한 초진환자 중 OFP 환자들의 초진시 진료기록과 면담 전 대기실에서 작성한 만성통증척도(Graded Chronic Pain Scale, GCPS) 설문지를 조사분석하였다. 본원에 지난 6개월간 내원한 다양한 비치성 구강안면통증 572 명의 환자들 중 63%는 이전 치료 경험이 있었고 약물치료, 상담, 물리치료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고, 전문과목은 일반치과와 정형외과의 순서였다. 환자들의 89.2%는 턱관절장애였고 6.4%는 삼차신경통을 포함한 신경병성동통, 4.5%는 2가지 이상의 OFP가 공존하는 복합성 안면통증(mixed OFP)이었다. 통증의 발생과 관련한 유발요인에 대해서는 환자들의 약 35%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외상, 치과치료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OFP 환자의 약 반 정도(46%)는 만성 통증을 가진 환자였으며, 이 중 40%에 이르는 많은 환자들이 구강안면통증으로 인하여 일상적인 활동과 사회적 활동 및 업무능력에 상당히 제한(high disability)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여성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통증병력이 길수록(>5년) 그리고 턱관절장애보다는 신경병성 통증과 복합성 구강안면통증 환자들이 더 심한 사회심리적 활동제한을 보였다.(p=0.000) 이러한 연구결과는 환자가 자신의 만성통증에 수반되는 사회적, 심리적 장애(disability)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사회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며, 가능한 한 조기에 전문가에게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