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twork Externalit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4초

자동차 대체연료의 상호호환성 연구 (A Study on Compatibility of Vehicle Using Alternative Fuels)

  • 이택희;강승진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1권2호
    • /
    • pp.74-8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model for protecting the economic and social loss from the current alternative fuel vehicle which is developed without compatibility and senseless one's own through verify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t by method of measuring analysis. The market scale of alternative fuel vehicle depends on customer's and station's expectation about the number of potential vehicle users. It is very difficult for vehicle manufacturer to make a decision on the standard alternative fuel vehicle as it might reduce profit and market share.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fuel vehicle should have manufacturer confident on the potential profit in the future. Moreover, if we decide to use the non-standard fuel after we started to use the standard fuel, it would take a huge cost comparing with starting to use the standard fuel only. As a result, once one of companies starts to provide the non-standard fuel service, it is getting more difficult to use the standard fuel going forward. Consequently, we may review the possibility of choice on the standard fuel before the vehicle manufacturer starts service with non-standard fuel.

인터넷전문은행 수용 의도와 저항에 관한 연구: 소비자, 혁신, 환경 특성을 중심으로 (Consumers' acceptance and resistance to virtual bank: views of non-users)

  • 김효정;이승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171-183
    • /
    • 2019
  • Convergence between technology and financial services is ubiquitous and widespread. Virtual banks represent an important aspect of financial markets that can generate value added for consumers and enhance the quality of financial services.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and perceived risk), consumer characteristics (status quo bias), and social mechanisms (network externality: complementarity, numbers of peers) on consumers' adoption intention and resistance to virtual banks. This study adopted an innovation resistance model with two dependent variables: adoption intention and resistance to virtual banks. An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and 532 or non-users of virtual banks aged 20 to 69 years old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status quo bias, relative advantage, perceived risk, complementarity, and number of peers insignificantly influence the adoption intention regarding virtual banks. Furthermore, status quo bias, relative advantage, perceived risk, and number of peers in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sistance to virtual banks. Female respondents have a lower adoption intention and higher resistance to virtual banks than male respond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can be useful in understanding consumers'adoption and resistance behavior as well as reveal that innovation characteristics,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chanism are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s of the innovation adoption decision.

Analysis of Dollarization Hysteresis among North Korean Consumers

  • Jooyung Lee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6권4호
    • /
    • pp.279-304
    • /
    • 2022
  • This paper quantitativel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consumer payment instrument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292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2010s, it was found that the payment experience ratio of domestic currency cash and grain decreased, while the payment experience ratio of foreign currency cash increased. The use of foreign currency reached a stage where it was spread not only as a store of value but also as a medium of exchange. However, the most frequently used payment instrument by North Korean consumers was still domestic currency cash. By region, in inland urban areas both domestic currency cash and U.S. dollars are used and in the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both domestic currency cash and Chinese yuan are used, while in inland rural areas dollarization does not occur because both domestic currency cash and grain are used. Meanwhile, despite the stable price trend during 2013-2019, the dollarization hysteresis effect is appearing, and both the purchasing power risk theory and the network externality theory are considered to have explanatory power for the cause.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as dollarization is intensifying, it is expected that more costs such as shortages of commodities will be incurred than in the past if North Korea's de-dollarization policy is reimplemented. Also, in the case of domestic currency cards, whic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introduced in 2015 as part of a means of financial reform, this paper suggests that it may continue to be difficult for domestic currency cards to normalize official finance under the dollarization hysteresis.

인터넷 포털의 경쟁과 진화 : 서비스 품질과 대인 상호작용 관점에서 (The Competition and Evolution of Internet Portals: In the Perspective of Service Quality and Interpersonal Interactivity)

  • 오상조;안중호;김미혜;김용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10
    • /
    • 2005
  • 1997년 야후코리아 출범으로 시작된 국내 포털 서비스는 2000년 대 들어서면서 포털의 인수 및 합병, 새로운 서비스 출시 등으로 인해 경쟁이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상위 포털의 순위는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현재 네이버 등 1-5위 포털이 국내 포털 시장을 꾸준히 과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볼 때 네트워크 외부성은 포털에서 적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포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 포털이 어떻게 발전하여 왔는지, 그리고 상위 포털 경쟁력의 원천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국내 포털의 발전 과정은 4단계 순환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즉, 1) 서비스 경쟁, 2) 임계 수준의 고객 기반 확보, 3) 대인 상호작용을 통한 고객 유지, 4) 혁신적 서비스 제공 등이다. 상위 포털의 경쟁력은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확보한 고객들에게 활발한 대인 상호작용의 장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 PDF

디지털컨텐츠산업의 서비스혁신 패턴 분석: 온라인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Service Innovation in Digital Contents Industry: A Case of Korean Online Games)

  • 남영호
    • 기술혁신연구
    • /
    • 제17권1호
    • /
    • pp.119-148
    • /
    • 2009
  • 최근에 서비스산업의 혁신 구조와 유형을 연구하기 위하여 서비스혁신 모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컨텐츠산업을 분석하여서 서비스 제공자, 컨텐츠 개발자, 사용자 및 네트워크 제공자 사이의 연계성을 연구할 수 있는 혁신시스템의 모형을 제시하였고, 서비스적인 면과 제조업적인 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컨텐츠산업 혁신시스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allouj and Weinstein(1997) 및 Gallouj(2002)이 제시한 서비스혁신시스템 모형의 바탕 위에서 디지털컨텐츠산업의 특성인 사용자 참가 및 네트워크 외부효과( network externalities) 등을 추가하여서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혁신시스템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 모형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온라인게임산업의 혁신 과정 사례를 분석하였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디지털컨텐츠산업의 혁신 유형의 분석, 서비스혁신(service innovation)과 제조혁신(manufacturing innovation)과의 관계, 정부정책의 유효성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혁신시스템 모형은 디지털컨텐츠산업의 역동성을 이해하는데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컨텐츠 개발자, 플랫폼 제공자 및 네트워크 제공자 사이에 일어나는 제조혁신과 서비스제공자와 사용자 사이에 일어나는 서비스혁신을 분리하였으므로 양 혁신 간의 상호작용을 모형 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제조혁신과 서비스혁신의 분리를 통하여 디지털컨텐츠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 또는 촉진 정책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모형 내에 네트워크의 외부효과를 내생변수화 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외부효과가 혁신의 선 순환을 일으키는 방식과 구조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서비스혁신의 유형은 제조혁신의 유형과 상이하며 그 효과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나는 점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비 파생적 혁신의 하나인 재조합적 혁신은 제조업에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서비스산업에서는 핵심역량을 구성 한다. 서비스산업의 복제방지 제도가 미비함에도 불구하고 복제가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는 서비스산업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핵심역량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컨텐츠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의 기초가 되는 여러 유형의 혁신을 촉진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시차분석을 통한 정보통신산업 연군개발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Time Lag Analysis of R & D Effect ell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 이경석;박명철;이덕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2B호
    • /
    • pp.154-163
    • /
    • 2006
  • 산업시대에서 지식기반경제시대로 패러다임이 변화해 오면서 연구개발투자와 정보통신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1980년부터 2003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러다임의 변화속에서 국내 정보통신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타 산업에 비해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속도가 빠르다는 사실을 시차(Time Lag)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총요소생산성에 빠른 영향을 미치는 산업은 정보통신산업 그리고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산업(2년)으로 나타났으며, 이 2개산업을 기여도 측면에서 비교분석한 결과 정보통신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대한 기여도는 0.24로 0.13의 기여도를 보여준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산업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통신산업의 규모의 경제, 짧은 라이프사이클(life cycle) 그리고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y)을 바탕으로 한 임계량(critical mass) 등의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IT 선진국의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정보통신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단기 및 중장기 R & D전략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동통신서비스 확산패턴 - 유럽국가 자료를 중심으로 (Diffusion Patterns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 the European Countries)

  • 김진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43-1261
    • /
    • 2017
  • 이동통신시장은 지난 10년 동안 괄목할 만한 가입자 증가로 인해 급격하게 성장했다. 서비스의 확산패턴은 그러한 새로운 서비스를 준비하는 이동통신사에게 주요 관심사이다. 우리는 이러한 서비스의 확산패턴이 이전의 모바일 서비스와 유사할 것으로 가정하며, 이러한 서비스의 확산패턴을 확인하는 것은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사에게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통신서비스의 유사한 확산패턴을 보여 주는 국가를 분류하였다. 전통적인 확산모델을 사용하여, 25개의 서유럽 국가들의 이동통신 확산패턴을 추정한다. 1993년부터 2004년까지 이들 국가들의 월 보급률 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이동통신 확산패턴측면에서 상위 모방국가와 하위 모방국가의 두 그룹을 분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동통신서비스의 상이한 확산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인과모형을 개발하거나 차세대 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를 계획할 때 그 기초를 제공한다.

온라인검색광고시장의 시장획정에 관한 연구 - 검색포털사업자 네이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evant market definition of online search advertising - Focusing on Naver, Korean Search & Portal service provider -)

  • 조대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09-119
    • /
    • 2017
  • 본 연구는 온라인검색광고 기반의 사업모델을 가진 대표적인 포털사업자 네이버의 광고관리시스템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라인검색광고시장이 양면시장이 아닐 수 있음을 실증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한 적절한 동 시장의 시장획정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두 가지 연구 질문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온라인검색광고 사업모델과 학문적 의의가 큰 로체-티롤의 양면시장 정의 간에 일관성이 있는가, 둘째, 온라인검색광고시장에 간접네트워크외부효과가 존재하는가이다. 특히 후자의 경우 간접네트워크외부효과가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 실증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구글과 같은 온라인검색광고서비스가 단면시장일 수 있다는 Luchetta의 이론적 주장에 기반을 두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 및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온라인검색 광고비는 직접네트워크외부효과 독립변수인 광고주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약 50원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간접네트워크외부효과 측정을 위해 설정한 독립변수인 검색횟수와 종속변수인 온라인검색광고비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 및 회귀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검색광고시장에는 양면시장의 필요조건인 간접네트워크외부효과가 존재하지 않거나 유의적이지 않아 양면시장이라기 보다는 단면시장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온라인검색광고시장에 전통적인 시장획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본원적인 경쟁요소를 모색하는데 유리하며, 경쟁상황에 대한 설명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양면시장에 대한 시각차를 보여 온 경제학자들과 규제실무자를 포함한 법학자들의 간극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회적 영향력과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확산, 그리고 지속적 사용 및 상표 전환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Influence, Use-Diffusion, Continued Usage and Brand Switching Intention of Mobile Services)

  • 김상훈;박현정;이방형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1-24
    • /
    • 2010
  • 본 연구는 혁신적인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확산 관점에서 혁신적인 서비스의 사용량과 사용의 다양성에 사회적 영향력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모형에 포함된 사회적 영향요인은 크게 두 가지인데 이는 네트워크 요인과 상표 동일시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요인은 사회적인 규범과 네트워크 효과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상표 동일시는 소비자 개인의 자아정체성과 서비스 브랜드와의 일치성을 의미한다. 먼저 네트워크 요인의 경우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지속사용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서비스 사용의 다양성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표 동일시의 경우에는 사용량과 사용의 다양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지속사용의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충성도 지표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모바일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이고 또 하나는 상표애호도 즉 상표 전환의도이다. 이 두 가지 변수 중 전자는 서비스 카테고리에 대한 충성도이고 후자는 상표에 대한 충성도인데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 만큼 연구 결과도 다르게 나왔다. 즉,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량과 사용의 다양성은 모두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상표 전환의도에의 경우에는 사용량만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가설과 반대로 사용량이 높을수록 오히려 상표 전환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혁신 서비스를 사용해 본 얼리어답터 고객들이 다양한 사업자의 서비스를 이용해 보고자 하는 니즈가 있음을 보여 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PDF

사회규범과 크리티컬 매스가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ocial Norm and Critical Mass on Online Game User's Word of Mouth)

  • 배정호;김문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55-367
    • /
    • 2014
  •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의 기존 이용자 유지 및 신규 이용자 유치 방안을 제시하고자 온라인 게임 이용자들의 긍정적 구전에 미치는 요인과 그 구조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게임의 속성이나 이용자의 속성이 온라인 게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을 동반하는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개별 소비자의 이용뿐만 아니라 확산을 통한 일정 수준의 소비자 확보가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 성공의 핵심 요인이다. 즉, 게임 이용자가 증가할수록 게임 이용자가 얻게 되는 가치가 증가할 것이라는 네트워크 외부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의 사회규범적 특성 및 크리티컬 매스의 특성이 온라인 게임에 대한 태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규범적 특성과 크리티컬 매스의 특성은 온라인 게임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회규범적 특성과 태도는 이용자의 구전의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력을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자 확보를 위해 긍정적 구전 확산을 원하는 온라인 게임 기업들에게 사회규범 및 크리티컬 매스의 활용 방안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