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st Typ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낙동강하구에서 쇠제비갈매기의 번식 상황의 변화 (Changes of the Breeding State of Little Tern (Sterna albifrons) in the Nakdong Estuary, Busan, Republic of Korea)

  • 이인섭;홍순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11-1616
    • /
    • 2009
  • 본 연구는 1990년대 중 후반기(1995년, 1996년, 1998년)와 2000년대 중반기(2004년, 2005년)에 조사한 쇠제비갈매기의 번식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여 낙동강 하구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신자도와 도요등에서의 쇠제비갈매기(Little Tern Sterna albifrons)의 번식 상황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신자도에서는 1995년에 쇠제비갈매기의 둥지 638개를 조사하였는데, 한배 산란 수는 평균 2.48개이었고, 1996년에는 총 106 둥지를 조사하였는데, 한배 산란 수는 2.35개이었으며, 2004년에는 총 94 둥지를 조사하였는데 한배 산란 수는 평균 2.16개이었다. 2005년에는 총 456 둥지를 조사하였는데 한배산란 수는 평균 2.53개 이었고, 4년간의 한배 산란 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도요등에서는 1998년에 총 263 둥지를 조사하였고 한배 산란 수는 평균 2.18개이 었고, 2004년에는 총 1,023 둥지를 조사하였는데 한배 산란수는 평균 2.33개이었으며, 2005년에는 총 1,123 둥지를 조사하였는데 한배 산란 수는 평균 2.52개 이었다. 3년간의 한배 산란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신자도에서의 쇠제비갈매기의 부화 성공률은 54.5%이었으며, D형 둥지와 A형 둥지에서 높았고 C형 둥지에서 낮았다. 부화 실패 요인으로서는 범람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특히 C형 둥지에서 그러하였다. 도요등에서의 부화 성공률은 73.2%이었으며, D형 둥지와 A형 둥지에서 높았고 C형 둥지에서 낮았다. 부화 실패요인으로서는 범람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특히 C형 둥지에서의 영향이 컸다. 낙동강 하구의 사주는 앞으로도 많은 변화가 예상되지만, 쇠제비갈매기 등의 번식지로서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포식자의 퇴치와 사주의 육화 방지와 모래가 있는 나대지를 유지하기 위하여 갈대제거 등 지속적인 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중년여성의 빈둥지시기 경험 탐색과 평생교육학적 제안 (Exploring empty nest experience of middle aged women with implication on lifelong educational support)

  • 김정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47-172
    • /
    • 2018
  • 이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애사건 중 빈둥지시기의 경험에 대한 탐색을 통해 평생교육학적 의미를 찾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중년여성에게 빈둥지시기는 자신의 삶을 재검토하고 재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중년여성이 빈둥지시기를 어떻게 경험하고 이를 통해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해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생교육학적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빈둥지시기를 경험하였거나 경험하고 있는 중년여성 10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내용을 개념화하고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로 도출된 범주들을 가지고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빈둥지시기 경험과정에 대한 이야기의 윤곽을 그리면서 그들의 경험이 변화의지와 행동화의 핵심범주로 분류되어졌으며 그 결과 빈둥지시기 경험의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 4가지 유형은 자아탐색형, 역할순응형, 관계중심형 그리고 변화상실형 등으로 각 유형별로 상이한 특징과 경험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연구의 제한점과 중년여성을 위한 평생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ffordable method of video recording for ecologists and citizen-science participants

  • Yang, Eunjeong;Lee, Keesan;Ha, Jung-moon;Kim, Woojoo;Song, Ho-Kyung;Hwang, Injae;Lee, Sang-im;Jablonski, Piotr 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2호
    • /
    • pp.85-89
    • /
    • 2018
  • Observations and video document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animals living in dens, cavities, and other enclosed spaces are difficult, but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field biology, ecology, and conservation. For example, bird parents visiting nests and feeding their nestlings may provide crucial information for testing of ecological hypotheses and may easily attract attention of participants of citizen-science ecological and conservation projects. Because of the nest concealment of cavity-nesting birds, their behaviors in the nest can only be studied by using video surveillance. Professional wildlife surveillance systems are extremely expensive. Here, we describe an inexpensive video setup that can be constructed with relatively little effort and is more affordable than any previously described system. We anticipate that the relatively low cost of about 250 USD for a battery-operated system is an important feature for citizen-science type of projects and for applications in heavily populated areas where the potential for theft and vandalism may be high. Based on our experiences, we provide methodological advice on practical aspects of using this system in the field for ecological research on birds. We highlight the low cost, easiness of construction, and potential availability to a large number of observers taking part in wildlife monitoring projects, and we offer technical help to participants of such research projects.

인삼포장에서 뿌리섞음병원균의 진단을 위한 RT-PCR KIT의 개발 (Development of RT-PCR Kit for Diagnosis of Pathogenic Agent of Ginseng Root Rot in the Ginseng Field)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8
    • /
    • 2003
  • C. destructans는 인삼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섞음병을 유발하는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 현재까지 정상적인 인삼포장이나 폐포지에서도 이 병원균의 농도를 조사할 만한 방법이 없어 이를 쉽게 조사함으로서 인삼 예정지 관린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ested PCR이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의 C. destructans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2개의 universal ITS primers(ITS5F와 ITS4R)을 사 용 하 여 Cylindrocarpon spp.의 rDNA로부터 ITS영역을 증폭하였다. 이어 C. destructans의 specific primer(Nest 1 과 Nest 2)을 사용하여 최적의 PCR조건으로 재증폭시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런 2번의 과정을 4개의 prim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PCR조건도 확립하였다. 따라서 본 방법에 의해서 인삼포장의 토양에서 채취된 매우 낮은 농도의 wild type C. destructans spore로부터 성공적으로 positive band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인삼포장의 선정 및 4년생에서 6년까지(홍삼포) 재배기간등의 예측에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정신장애인의 성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The Sexual Experiences of the Mentally Disabl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최재우;오금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427-436
    • /
    • 2016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성경험에 대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사전동의서를 받고 정신장애인 14명의 인터뷰를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정신장애인의 고립감, 성욕으로부터 탈출함의 만족도는 맥락인 대상자의 태도, 경제력 및 다스림과 중재상황인 파트너, 엮어짐 및 연속성에 따라서 둥지형, 절제형, 엉킴형의 3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성경험은 자신의 몸이 존재하는 공간으로써의 현실을 인지하는 것으로 이들의 성문제에 대한 전문가 개입의 현실을 파악하여 앞으로 전문가역할을 활발히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Exterior egg quality as affected by enrichment resources layout in furnished laying-hen cages

  • Li, Xiang;Chen, Donghua;Meng, Fanyu;Su, Yingying;Wang, Lisha;Zhang, Runxiang;Li, Jianhong;Bao, J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0호
    • /
    • pp.1495-1499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richment resources (a perch, dustbath, and nest) layout in furnished laying-hen cages (FC) on exterior quality of eggs. Methods: One hundred and sixty-eight (168) Hy-Line Brown laying hens at 16 weeks of age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four treatments: small furnished cages (SFC), medium furnished cages type I (MFC-I), medium furnished cages type II (MFC-II), and medium furnished cages type III (MFC-III). Each treatment had 4 replicates or cages with 6 hens for SFC (24 birds for each SFC) and 12 hen/cage for MFC-I, -II, and -III (48 birds for each MFC-I, -II and -III). Following a 2-week acclimation, data collection started at 18 weeks of age and continued till 52 weeks of age. Dirtiness of egg surface or cracked shell as indicators of the exterior egg quality were recorded each week.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cracked or dirty egg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C type (p<0.01) in that the highest proportion of cracked or dirty eggs was found in MFC-I and the lowest proportion of dirty eggs in SFC. The results of this showed that furnished cage types affected both dirty eggs and cracked eggs (p<0.01).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not nest but dustbath lead to more dirty eggs. Only MFC-I had higher dirty eggs at nest than other FC (p<0.01). The results of dirty eggs in MFC-I and MFC-II compared with SFC and MFC-III seemed suggest that a low position of dustbath led to more dirty eggs. Conclusion: SFC design affected exterior egg quality and the low position of dustbath in FC resulted in higher proportion of dirty eggs.

중국 직물 모란무늬의 표현방법 및 구성형태에 관한 연구 (Expressio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Peony Patterns in Chinese Textiles)

  • 교단;이은진
    • 복식
    • /
    • 제60권1호
    • /
    • pp.101-116
    • /
    • 2010
  • In this study, the subjects are the expressio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peony patterns in Chinese textiles. This study represents the peony patterns which are from Ta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peony patterns in fabric, except the peony patterns which are expressed by gold foil, embroidery and kesi.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72 pieces of peony patterns. We sketched the configuration details of peony patterns through the Illustrator program. Analyze and classify the configuration accurately. Based on the 72 pieces of peony patterns, expression methods and compositions of the peony pattern are as following, firstly, we classified peony patterns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expression methods, as realistic shape, pattern shape and shape. Among these 72 fabric relics, there most of realistic shape 42 pieces(58.3%), pattern shape 25 pieces(34.7%), and shape 5 pieces(7.0%). Secondly, in the realistic shape peony, the most of pattern has petal accumulate as grape- shaped. This type is found in almost every Dynasty and was used regularly in the eras of Song and Ming Dynasty. In the era of Ming Dynasty, by using petals like the curly mushroom, Yeongji(靈芝), the pattern of symbolizing longevity was habitually used. The U-shaped flower pattern (type E) and the pattern of emphasizing the veins of petals are found only in the remains of the era of Qing Dynasty. Thirdly, in the pattern shaped peony, the most of pattern has some petals which are separated(type C). Fourthly, we classified peony patterns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compositions, as individual branch form, floral branch form, cluster branch form and floral nest form. Among these 72 fabric relics, there most of individual branch form 33 pieces(45.8%), floral branch form 18 pieces(25.0%), cluster branch form 13 pieces(18.1%), floral nest form 8 pieces(11.1%).

Bibosoop: A Unique Korean Biotope for Cavity Nesting Birds

  • Park, Chan-Ryul;Shin, Joon-Hwan;Lee, Do-W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75-84
    • /
    • 2006
  • In Korea, a bibosoop is a type of village grove fostered to complement a weak part of the village from a Feng-Shui perspective.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in remaining bibosoops in two regions, Gyeonggi-do Province and Jeollanam-do Province. We surveyed patch preferences of birds at two landscapes in Gyeonggi-do Province. One contains a bibosoop with other rural landscape elements, and the other does not have a bibosoop. The two landscapes of Gyeonggi-do Province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 elements. We observed that species rich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ite with a bibosoop, and that tits, Mandarian ducks, starlings, Eurasian scops owls, and woodpeckers utilized the bibosoop as a nesting site. Birds preferred the landscape with the bibosoop, and the internal movement of bird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landscape with the bibosoop than at the o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bibosoops serve as a unique biotope that provides nest sites for cavity nesters, especially near nest-insufficient forests, and enhance the internal movements of birds among patches in the landscape.

마라도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지 특성 (Breeding Site Characteristics of Styan's Grasshopper Warblers(Locustella pleskei) on Mara Islet, Jeju Province, Korea)

  • 김은미;김화정;최창용;강창완;강희만;박찬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28-534
    • /
    • 2009
  •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며, 동아시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섬개개비(Locustella pleskei)는 한국의 추자도, 마라도, 칠발도, 홍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구체적인 번식 정보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마라도(N $33^{\circ}$ 06', E $126^{\circ}$ 16')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 현황과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섬개개비 총 11쌍이 번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번식하는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다.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와 돈나무(Pittosporum tobira) 등 관목성 나무를 둥지목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목의 수고는 $2.77{\pm}1.10m$, 지면으로부터 둥지의 높이는 $1.75{\pm}0.56m$였으며, 둥지목의 수고는 다른 주변의 나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마라도의 강한 해풍을 피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로 억새잎이나 사초과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밥그릇 형태의 둥지를 만들었으며, 둥지의 지름은 $11.9{\pm}0.5cm$, 높이는 $11.1{\pm}1.1cm$, 깊이는 $5.8{\pm}0.4cm$로 나타났으며, 산좌지름은 6.0cm였다. 마라도에서 섬개개비는 다른 섬지역보다 번식시기가 다소 늦었으며, 한배산란수는 3개로서 보통 다른 번식지의 4-5개보다 작았다. 이는 번식시기가 늦어질수록 한배산란수가 적어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마라도 곰솔숲의 솎아베기와 관목층 제거는 밀집된 관목층을 둥지로 선호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섬개개비 번식 생태 및 서식지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요구되며, 숲가꾸기 수행에 있어서도 섬개개비의 보전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도시녹지 유형별 박새과 둥지 재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idae Nesting Material by Urban Green Area Type)

  • 김경태;이현정;김휘문;김성열;송원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6-264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진행된 급속한 도시화는 조류를 비롯한 야생동물 서식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였다. 도시에 정착한 야생조류는 변화한 주변 환경에 적응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박새과 조류는 도시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하여 둥지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도시에 설치된 인공새집을 이용하는 박새과 조류의 둥지 재료를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연구진은 충남 천안시에 있는 도시공원(22개)과 산림(11개) 내 총 33개의 인공새집을 설치하였다. 도시공원에서 4개(18.19%), 도시산림에서 5개(45.46%)의 인공새집이 이용되었으며, 둥지를 수거해 둥지 재료를 둥지별, 종별, 도시녹지 유형별로 비교했다. 이소 전 둥지를 포기한 박새 한쌍을 제외한 8개의 둥지가 재료 분석에 활용되었고 수거한 둥지는 건조과정을 거친 후 자연재료(식물성재료, 동물성재료, 이끼, 흙)와 인공재료(솜, 종잇조각, 플라스틱, 비닐 및 합성 섬유)로 분류한 뒤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분류 결과, 모든 둥지에서 이끼(50.65%)의 구성 비율이 높았고 흙(21.43%), 인공재료(13.95%), 식물성재료(5.78%), 동물성재료(4.57%), 기타(3.59%) 순서로 파악되었다. 도시녹지 내 모든 둥지에서 인공재료가 사용된 특징이 있었다. 또한, 박새는 곤줄박이보다 식물성 재료를 약 5.16% 더 사용했으나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t=2.17, p=0.07). 도시산림에서는 식물성 재료와 흙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도시공원은 이끼, 동물성, 인공 재료 순으로 이용되었다. 이 중 식물성 재료 사용은 도시공원과 도시산림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07, p<0.05*). 도시지역과 같이 인공재료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서식환경에서는 일부 자연재료의 역할을 인공재료가 대체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인공새집 내 둥지 재료 유형을 분석한 기초연구로 박새과 종 보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