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logism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2초

사회문화적 양상에 따른 한중 [+사람] 신어의 비교 연구 - 2010년대의 'OO족(族)'계열 신어의 구조적과 의미 양상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Person] Neologisms According to Sociocultural Aspects : Focusing on the Structural and Meaningful Aspect of the 'OOjok(family)' line Neologisms in the 2010s)

  • 맹상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25-136
    • /
    • 2021
  • 본 연구는 한·중 [+사람] 신어를 조어하는 데에 공통으로 사용된 'OO족(族)' 계열 신어를 대상으로 하여 2010부터 2019년까지 10년간의 출현 양상을 살펴보고, 'OO족(族)' 계열 신어의 구조적과 의미 양상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출현 양상에 있어서 'OO족'의 한국 신어는 10년 간에 꾸준히 생성되었고, 'OO족(族)'의 중국 신어는 2017년에 형성되지 않았다가 2018년과 2019년에 적은 양으로 다시 나타났다. 'OO족(族)' 계열 신어는 구조적 특징에 차이점이 보인다. 가장 활발히 형성된 합성의 경우 한국 'OO족' 신어의 선행요소는 다양한 어원의 요소와 결합 유형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OO족(族)'으로 생성된 중국 신어는 고유어 합성만이 활발하여 제한된 조어 양상을 보여 주었다. 파생도 이러한 차이점을 나타냈다. 한·중 'OO족(族)' 계열 신어의 의미 자질로 분류하고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은 보여주는 특성이 다르지만, 모두 다양한 영역의 문화와 현상, 그리고 새로운 표현 의미들을 선행요소로 수용한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다양함이 신어 생성에서 작용하여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신어의 언어 문화적 고찰 (A Study on the Language Culture of the Neologisms)

  • 유경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17-22
    • /
    • 2020
  • 빠르게 변화하는 것은 기술 발전만이 아니다. 언어도 세대별 계층별로 다양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급속으로 만들어지고 확산되어 간다. 그러므로 신어는 시기마다 생성되는 문화사의 한 부분으로서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신어는 언어공동체의 공인 속에서 재미와 편리함, 친밀감 이상의 대체 불가능성을 지니고 있어 규범 언어에서 그 사용을 자제하도록 한다 해도 그 파급 속도를 막을 수가 없다. 그것이 얼마나 오래 살아남을 것이냐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언어를 중심으로 작은 공동체가 만들어지고 기존 공동체를 파편화시켜 보이지 않는 벽을 세우는 것이 신어 향유자들에게는 오히려 흥미로운 언어 생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한 글자를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으로 읽거나 거기에 담긴 다의적인 연상을 의도적으로 오독하는 시각적 유희, 즉 문자 유희를 중심으로 신어를 연구한다. 신어의 특성은 간섭 받기 싫어하고, 기존의 질서에 기발함을 더하는 것을 즐기는 젊은 세대의 성향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시대에나 신어는 만들어졌고, 형태는 다르지만 신어 생성의 원리는 오래된 방식이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신어 생성의 역사적 특성에 대해서도 고찰할 것이다.

중국어 신조어에 나타난 색채어 의미 분석 - 검은색, 흰색, 회색을 중심으로 - (Semantic Analysis of Color Terms in Chinese Neologisms: Focusing on Black, White, and Gray)

  • 이명아;한용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47권
    • /
    • pp.241-260
    • /
    • 2017
  •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중국 사회를 반영하는 수많은 신조어가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에는 색채어와 관련된 다양한 단어의 출현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색채어 중에는 새로운 의미 또는 문화적 상징 의미 등을 나타내어 현대 중국어와는 다른 쓰임을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는 중국어 신조어에 나타난 무채색 색채어를 분석하여 다음의 몇 가지 사실을 관찰할 수 있다. 첫째, 중국어 신조어에 나타난 무채색 색채어는 '흑(黑), 백(白), 회(灰)' 등이 있다. 신조어 색채어에 주로 사용되는 의미항은 현대 중국어 색채어의 의미항 중 일부만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중국어 신조어에 나타난 색채어 의미항의 사용빈도는 검은색과 흰색 색채어의 의미항 유형이 서로 상대적인 분포를 보인다. 신조어에 나타난 검은색 색채어는 확장의미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며, 그 다음은 기본의미의 사용이 높다. 그러나 흰색 색채어는 기본의미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며, 그 다음은 확장의미의 사용이 높게 나타난다. 셋째, 중국어 신조어에 나타난 무채색 색채어 중 '흑(黑)', '회(灰)'는 의미 확대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예로, 신조어 중 '흑(黑)'은 '재난 지역의', '사회적 차별을 받는' 등을 비유하며, '회(灰)'는 '사교적인 방면'을 비유한다.

신조어를 활용한 사회적 현상 아카이빙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rchiving of a Social Phenomenon through Neologism)

  • 김환;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52호
    • /
    • pp.315-342
    • /
    • 2017
  • 언어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매개체인 동시에 그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시대에 따른 사회 문화의 변화와 발전과 함께 언어 또한 변하고 발전한다. 이처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신조어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소셜네트워크와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신조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렇게 인터넷상에서 유행하는 신조어를 살펴보면 시대의 세태와 갈등, 사람들의 심리, 사상, 문화 등 사회 현상을 함축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시적인 기간 동안 사회적 현상을 반영하고 있는 신조어와 함께 관련 기록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신조어 아카이빙'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신조어 아카이빙이 기존에 존재하는 사전의 개념과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 비교를 통해 신조어 아카이빙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세대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의 불평등 해소 등 국민 언어생활에 편의와 당대의 사회상을 기억하고 더 나아가 전문가들의 신조어 또는 사회 현상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Social Media Neologisms: A Borrowed Affix as a Case of Pseudo-Anglicisms

  • Yoon, Junghyo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86-93
    • /
    • 2021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novel affix prevalently and productively used in social media, which is assumed to be borrowed from English into Korean loanblens. The novel affix is composed of a prefix-like and a suffix-like elements, but it seem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regular combinations of a prefix and a suffix. In analyzing the affix, we attempt to highlight its peculiarities of the affix with empirical data. First, the seemingly borrowed affix does not behave like affixes found in the donor language (English) or the recipient language (Korean)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Both languages have circumfixation rarely available in productive word-formation processes. Second, no regular assimilation rules of Korean apply to the affix boundary, which would otherwise be mandatory to such syllable contact contexts. Last but not least, the affix form has no correspondence to the donor language, and therefore it is claimed to be derived through secretion and taken as a case of pseudo-anglicisms.

한국어 차용 중국어 신조어의 언어융합 현상 고찰 (A Contemplation on Language Fusion Phenomenon of Chinese Neologism Derived from Korean)

  • 정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61-268
    • /
    • 2022
  • 어떤 언어도 다른 언어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언어는 외래문화와 접촉하게 되면 서로 끊임없는 영향을 미치고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90년대 이후 세계 과학기술 및 정보화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한국의 드라마, K-POP으로 파생된 한류 붐은 중국 언어에도 영향을 미쳐 중국 온오프라인에서 한국어 차용 신조어가 교류 상용어이자 사회 유행어가 되고 있다. 한국어 차용 신조어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접촉의 영향과 결과를 반영한 것으로 우리는 한국어 차용 중국어 신조어의 발생 배경과 원인을 사회문화요인과 심리적 필요성을 근거로 살펴보고, 신조어를 음역, 의역, 한국한자어 차용, 기타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신조어는 조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규범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중국어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하며, 언어적인 면에서도 새로움과 변화,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것을 추구하는 중국 세대의 견해와 이해를 반영하는 사회문화의 거울이 된다. 우리는 한·중 양국 젊은이들이 상대언어와 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여 서로 우호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는 인식 변화의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향후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한·중 언어융합의 응용을 통한 교수 및 학습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신조어 정보 제공 시스템 (System for Neologism Information Support in Real-Time Streaming Service)

  • 이승용;김능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03-207
    • /
    • 2023
  • 최근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가 MZ 세대의 각광을 받고 있으며 시장 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사전에 촬영된 영상, 편집된 동영상은 단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의 모습만 보여주지만 이와 달리 양방향 통신인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는 사용자의 질문이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데에 강점이 있다. 또한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대면 문화에서 비대면 문화로 전환됨에 따라 수업, 회의, 기타 여가 활동 등을 실시간 영상으로 소통하는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가 활성화되며 다양한 세대가 참여함에 따라 신조어를 포함하여 서로 간의 언어 차이에 의한 갈등 상황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할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위키피디아 API 를 활용하여 신조어의 뜻을 수집 후 출력하여 서로에게 확인시켜주는 방법을 통해 서로에게 의도를 파악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한국어 방송 뉴스 인식 시스템을 위한 OOV update module (Korean broadcast news transcription system with out-of-vocabulary(OOV) update module)

  • 정의정;윤승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33-36
    • /
    • 2002
  • We implemented a robust Korean broadcast news transcription system for out-of-vocabulary (OOV), tested its performance. The occurrence of OOV words in the input speech is inevitable in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LVCSR). The known vocabulary will never be complete due to the existence of for instance neologisms, proper names, and compounds in some languages. The fixed vocabulary and language model of LVCSR system directly face with these OOV words. Therefore our Broadcast news recognition system has an offline OOV update module of language model and vocabulary to solve OOV problem and selects morpheme-based recognition unit (so called, pseudo-morpheme) for OOV robustness.

  • PDF

한국의 온라인 종교문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온라인 종교활동과 종교적 표현상의 특이 사례를 중심으로 - (Online Religious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Religious Activities and Special Cases of Religious Expression)

  • 심형준;이원섭;오준혁;이유나
    • 대순사상논총
    • /
    • 제45집
    • /
    • pp.187-226
    • /
    • 2023
  •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일상을 살아가는 시대에 종교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서구의 디지털 종교나 디지털 원주민의 종교활동에 대한 연구를 보면 전통적인 종교활동이 퇴조하고 가볍고 쉬운 형태의 종교활동이나 관념이 부상한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바로 그러한 의문을 가지고 온라인 환경에서 한국 사람들의 종교적 활동과 표현 양상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네 가지의 종교(적) 활동 및 종교적 표현에 주목한다. ①교단 종교(개신교, 불교, 가톨릭)의 온라인 종교활동, ②비교단 종교(사주, 타로 등)와 관련된 온라인 종교활동, ③온라인 성지와 소원 댓글(채팅), ④ 유행했던 종교적 신조어(지름신, 갓생).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에 종교적 관념과 실천 양상이 제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한 형태의 종교적 관념과 활동의 부상이 디지털 미디어 및 디지털 콘텐츠 소비 특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정치 도메인에서 신조어휘의 효과적인 추출 및 의미 분석에 대한 연구 (Study on Effective Extraction of New Coined Vocabulary from Political Domain Article and News Comment)

  • 이지현;김재홍;조예성;이민구;최혜봉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149-156
    • /
    • 2021
  • 정치적 사안에 대한 대중의 의견과 인식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존 어휘 사전에 기반한 텍스트 마이닝 알고리즘은 신조어와 같이 사전에 수록되지 않은 어휘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나타난다. SNS를 통해 나타나는 사용자들의 의견은 많은 경우 신조어와 비속어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어휘들을 효과적으로 분석하지 못한다면 정확한 대중의 인식과 의견을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본 논문은 정치 섹션의 뉴스 댓글로부터 정치적 의미성을 지니는 신조어와 비속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추출한 신조어휘들의 의미와 맥락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