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line Religious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Religious Activities and Special Cases of Religious Expression

한국의 온라인 종교문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온라인 종교활동과 종교적 표현상의 특이 사례를 중심으로 -

  • Shim Hyoung-june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Won-sub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Oh Joon-hyeok (Department of Religious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a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3.01.25
  • Accepted : 2023.06.07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In contemporary society, digital media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daily life that shapes how people interact with the world around them. This phenomenon has also influenced religious activities and practices. Studies on digital religion and religious practices among digital natives in the Western world have indicated that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are on the decline. Instead, more accessible and flexible forms of religious activities and beliefs are emerging. Give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ether similar trends are occurring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igious activities and expressions of Korean individuals in the online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four main areas: ①the online religious activities of established religions such as Protestantism, Buddhism, and Catholicism; ②the online religious activities related to divination belief systems such as the Four Pillars of Destiny (四柱 saju) and Tarot; ③online holy sites and wish comments or chats; and ④popular religious neologisms such as jileumshin (지름神 a god with the power to justify consumption) and gatsaeng (갓[God]生 one's best life). Through this review, it can be ascertained that religious ideas and practices are restricted by the attributes of digital media. This implies that the emergence of simplistic forms of religious ideas and activities is associated with the features of digital media and the 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서 일상을 살아가는 시대에 종교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서구의 디지털 종교나 디지털 원주민의 종교활동에 대한 연구를 보면 전통적인 종교활동이 퇴조하고 가볍고 쉬운 형태의 종교활동이나 관념이 부상한다고 한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바로 그러한 의문을 가지고 온라인 환경에서 한국 사람들의 종교적 활동과 표현 양상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네 가지의 종교(적) 활동 및 종교적 표현에 주목한다. ①교단 종교(개신교, 불교, 가톨릭)의 온라인 종교활동, ②비교단 종교(사주, 타로 등)와 관련된 온라인 종교활동, ③온라인 성지와 소원 댓글(채팅), ④ 유행했던 종교적 신조어(지름신, 갓생).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에 종교적 관념과 실천 양상이 제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한 형태의 종교적 관념과 활동의 부상이 디지털 미디어 및 디지털 콘텐츠 소비 특성과 상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B5A16076820).

References

  1. 그레천 매컬러, 「인터넷 때문에: 인터넷은 우리의 언어를 어떻게 바꿨을까?」, 강동혁 옮김, 서울: 어크로스, 2022.
  2. 김동규, 「현대 무속 세계관의 설득구조: '운세'와 '신령'의 결합」, 「한국학연구」 61, 2017. https://doi.org/10.17790/kors.2017..61.41
  3. 김준형, 「사이버 선교」, 「선문대학교 신학대학논문집𰃜, 2002.
  4. 김흡영, 「사이버 공간의 본질과 영성, 그 종교적 대안」, 「조직신학논총」 9, 2003.
  5. 로빈 던바 외, 「사회성: 두뇌 진화의 비밀을 푸는 열쇠」, 이달리 옮김, 서울: 처음북스, 2016.
  6. 마샬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박정규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7. 박수호, 「Cyber 신앙으로 본 한국불자 네티즌의 특성」,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32, 2006.
  8. 배국원, 「사이버스페이스의 기독교적 의미」, 「종교연구」 23, 2001.
  9. 박재양, 「일상어 속의 불교 유래어 연구」, 「어원연구」 3, 2000.
  10. 신광철, 「성지순례 개념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 콘텐츠 투어리즘의 사례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32, 2019.
  11. 신광철, 「신화-제의 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BTS 성지순례 현상」, 「신종교연구」 47, 2022. https://doi.org/10.22245/jkanr.2022.47.47.1
  12. 신재식, 「새로운 신앙공간으로서의 가상세계」, 「종교문화비평」 6, 2004.
  13. 심형준, 「사회성의 진화와 종교논의로 본 근미래의 종교문화: i세대/90년 대생 담론과 새로운 종교문화 트렌드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33, 2019.
  14. 심형준, 「종교와 사회성의 진화에 관한 최근 연구의 주요 쟁점과 종교학 분야에의 시사점」, 「종교연구」 81-3, 2021. https://doi.org/10.21457/kars.2021.12.81.3.7
  15. 아라 노렌자얀, 「거대한 신,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 홍지수 옮김, 파주: 김영사, 2016.
  16. 유기쁨, 「사이버공간: 새로운 기술환경과 종교적 욕망의 발현」, 「종교문화 비평」 6, 2004.
  17. 유명기.성시정, 「사이버 문화와 종교: 전자 종교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3-1, 2000.
  18. 이동철, 「디지털 문명, 사이버스페이스 그리고 후천개벽」, 「종교문화비평」 6, 2004.
  19. 조현범, 「디지털 니르바나: 사이버 공간과 초월의 상상력」, 「종교연구」 30, 2003.
  20. 지용근 외, 「한국교회 트렌드 2023」, 서울: 규장, 2022.
  21. 진 트웬지, 「#i세대: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자란 요즘 세대 이야기」, 김현정 옮김,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2018.
  22. 최화선, 「기억과 감각: 후기 고대 그리스도교의 순례와 전례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17, 2011. http://uci.or.kr/G704-SER000002978.2011..17.007
  23. 홍태한, 「무속사회 홍보의 콘텐츠 활용: 자서전 출판과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19, 2009. http://uci.or.kr/G704-001496.2009..19.004
  24. Christian Smith & Melina Lundquist Denton, Soul Searching: The Religious and Spiritual Lives of American Teenagers, Edited by Melinda Lundquist Dent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5. Dimitris Xygalatas, Ritual: How Seemingly Senseless Acts Make Life worth Living, New York: Little, Brown Spark, Hatchette Book Group, 2022.
  26. Douglas E. Cowan and Jeffrey K. Haddon, Religion on the Internet: Research Prospects and Promises, New York: JAI, 2000.
  27. Gabriel Faimau and William O. Lesitaokana, eds, New Media and the Mediatisation of Religion: An African Perspective, Newcastle upon Tyne, UK: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8.
  28. Giulia Evolvi, "Religion and the internet: digital religion, (hyper) mediated spaces, and materiality," Zeitschrift fur Religion, Gesellschaft und Politik 6, 2022.
  29. Greg G. Armfield & R. Lance Holber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Internet Use," Journal of Media and Religion 2:3, 2003.
  30. Harold A. Innis, The Bias of Communication,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51.
  31. Heidi Campbell, Digital Religion: Understanding Religious Practice in New Media Worlds, New York: Routledge, 2012.
  32. Kara Rogers, "meme," Encyclopedia Britannica, 4 Oct. 2022, Retrieved 4 Jan. 2023, from: https://www.britannica.com/topic/meme.
  33. Paul K. McClure, "The buffered, technological self: Finding associations between Internet use and religiosity," Social Compass 67:3, 2020.
  34. Pauline Hope Cheong, "Religion and the Internet: Understanding Digital Religion, Social Media and Culture," In Religion and American Cultures: An Encyclopedia of Traditions, Diversity and Popular Expressions, edited by Gary Laderman & Luis Leon, Santa Barbara, CA: ABC-CLIO, 2014.
  35. Robin I. M. Dunbar, "Religion, the social brain and the mystical stance," Archive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 42:1, 2020.
  36. Walter J. Ong,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London: Routledge, 1982.
  37. 김동진, 「길융화복 점치는 '디지털 점술 콘텐츠' 약진...국내 점술시장 37억달러 규모」, 《더스탁》 2022. 04. 19.
  38. 김선경, 「(알고 쓰는 말)글푸닥거리」,《경향신문》 2016. 5. 12.
  39. 김종준, 「성명서- "종교집회 전면금지 긴급명령"」,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통합)》 2020. 3. 12.
  40. 김희연, 「[MZ위키] 1020이 매일 밤 다짐한다는 '갓생'이 정확히 뭐야?」, 《Careet》, 2021. 5. 13.
  41. 목회데이터연구소, 「한국 개신교인의 온라인 신앙 생활」, 《numbers》 2022. 7. 5.
  42. 박지훈, 「'은혜 소통'에 참 좋은데 vs '불청객' 악성 댓글 무방비...댓글창 딜레마」,《국민일보》 2022. 8. 11.
  43. 복숭아맛, 「오늘 산 중저가형 모델 싸게 팝니다.」, 《HIT갤러리/디시인사이드》 2001. 7. 17.
  44. 서정민, 「(밀레니얼 트렌드 사전)갓생」,《중앙일보》2021. 5. 20.
  45. 이수진, 「'종교집회 자제 촉구 결의' 유감」,《한국기독공보》2020. 3. 16.
  46. 이우연, 「"오늘부터 갓생" ...Z세대가 코로나 블루를 견디는 법」,《한겨레》 2021. 8. 22.
  47. 이종구, 「"온.오프 점술시장 4조원" ...운세시장 전성시대」,《한국일보》 2019. 1. 29.
  48. 정상섭, 「재미로 占 본다? 시장규모 4조, 영화산업보다 크네」,《부산일보》 2018. 12. 27.
  49. 조명의, 「언택트 사주.타로 플랫폼 등장에 점술시장도 '쑥쑥'」,《테크월드뉴스》 2021. 12. 17.
  50. 《BBS불교방송》; 《cpbcTV》; 《Damascus tv》; 《SereneSky[적천]》; 《굿엔트》; 《대한불교조계종봉은사》; 《랜선신학교》; 《명동대성당》; 《민필름》; 《베짱이엔터테인먼트》; 《불교음악》; 《성필립보생태마을》; 《쌍문동애기선녀TV》; 《엠마오 연구소》; 《오늘의 신학공부》; 《용군TV》; 《운플러스》; 《유튜브불교대학》; 《종리스찬tv》; 《푸하하TV》; 《한국의 불교음악》; 《해인사TV》; 《홍진호TV》
  51. 《나무위키》 https://namu.wiki
  52.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
  5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54. 《nate 판 톡톡》 https://pann.nate.com/talk
  55. 《가톨릭사전/굿뉴스》 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
  56. 《네이버 데이터랩》 https://datalab.naver.com
  57.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썸트렌드》 https://some.co.kr
  58. 《카카오 데이터트렌드》 https://datatrend.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