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earance patterns of the 'OOjok(family)' line, which is commonly used to abbreviate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from 2010 to 2019, and to identify the structural and Meaningfu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OOjok(family)' line Neologisms. In terms of appearance, the Korean Neologisms of the 'OOjok' was constantly created for 10 years, and the Chinese Neologisms of the 'OOfamily' was not formed in 2017 but reappeared in small quantities in 2018 and 2019.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of the 'OOjok(family)' show differences in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most actively formed compound, the preceding elements of the Korean 'OOjok' Neologisms showed various etymological elements and types. However, the Chinese Neologisms produced by 'OOfamily' showed a limited linguistic aspect due to the active compound of native languages. Derivative also showed these differences. By Classifying 'OOjok(family)' line in Korean and Chinese Neologisms as meaningful qualities,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both of them were found to have accepted colorful culture and phenomenon in various areas, and new expression meanings as their precedence element. These diverse cultures appear to have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new language.
본 연구는 한·중 [+사람] 신어를 조어하는 데에 공통으로 사용된 'OO족(族)' 계열 신어를 대상으로 하여 2010부터 2019년까지 10년간의 출현 양상을 살펴보고, 'OO족(族)' 계열 신어의 구조적과 의미 양상인 공통점 및 차이점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출현 양상에 있어서 'OO족'의 한국 신어는 10년 간에 꾸준히 생성되었고, 'OO족(族)'의 중국 신어는 2017년에 형성되지 않았다가 2018년과 2019년에 적은 양으로 다시 나타났다. 'OO족(族)' 계열 신어는 구조적 특징에 차이점이 보인다. 가장 활발히 형성된 합성의 경우 한국 'OO족' 신어의 선행요소는 다양한 어원의 요소와 결합 유형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OO족(族)'으로 생성된 중국 신어는 고유어 합성만이 활발하여 제한된 조어 양상을 보여 주었다. 파생도 이러한 차이점을 나타냈다. 한·중 'OO족(族)' 계열 신어의 의미 자질로 분류하고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은 보여주는 특성이 다르지만, 모두 다양한 영역의 문화와 현상, 그리고 새로운 표현 의미들을 선행요소로 수용한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다양함이 신어 생성에서 작용하여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