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o-Confucianism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6초

중국의 현대신유학 수용과 이해 - 1980년대 현대신유학 연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Modern Neo-Confucianism in China : Accepting and Understanding Modern Neo-Confucianism in China)

  • 박영미
    • 한국철학논집
    • /
    • 제23호
    • /
    • pp.349-392
    • /
    • 2008
  • 현대신유학은 5.4운동 이후 중국사상의 근본정신 계승을 토대로 서양사상을 받아들여 중국의 현실적 문제를 해결할 것을 주장하며 형성된 학파이다. 중국의 학술계는 현대신유학을 마르크스주의, 자유주의와 함께 중국근(현)대 3대사상으로 지칭한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후 현대신유학자들은 대부분 홍콩, 대만 등지로 옮겨 활동하면서 그들의 철학과 문화보수주의를 이어갔다. 1978년 이전에는 금기시되었던 이들 사상은 1980년대 중반 현대신유학자들이 중국에서 활발한 강연, 저술 활동을 펼치면서 다시 주목받게 된다. 그리고 현대신유학에 대한 대규모의 연구가 1987년 국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다. '전통과 현대화'의 문제를 고민하고 있던 중국은 현대신유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통의 고양과 현대적 전화의 가능성을 찾고자 했던 것이다.중국의 현대신유학 연구는 학술적으로는 단절되었던 전통사상을 계승하고 그 현대적 전화를 모색하는 것, 사회적으로는 이를 통해 자본주의의 폐단을 차단하고 통제하는 것, 정치적으로 사회주의의 중국화를 강화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1980년대 현대신유학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초보단계로 주로 현대신유가의 사상을 소개, 정리, 이해하는 것에 집중된다. 그리고 이는 마르크스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고, 마르크스주의의 입장, 관점, 방법을 견지하며 진행된다.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진 수용과 이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1980년대 현대신유학 연구는 현대신유가 사상을 보급하고, 전통의 비판적 계승에 관한 논의를 확대하고, 현대화가 곧 서구화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인식을 제고하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

명재 윤증의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變轉) (A Study on Acceptance and Modification in Yulgok Neo-Confucianism by Myungjae Yoon Jeung)

  • 이영자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39-70
    • /
    • 2014
  • 명재 윤증의 성리학은 율곡의 성리학을 그대로 계승하거나 변형하는 형태로 전개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율곡성리학의 수용과 변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율곡성리학의 수용에서는 율곡성리학의 특징인 '이기지묘(理氣之妙)', '이통기국(理通氣局)', '기발이승일도(氣發理乘一途)'의 측면에서 명재가 이러한 논리를 철저히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었다. 하지만 명재는 율곡성리학을 자신만의 독창적인 설법을 제시하며, 율곡의 학설을 변전 계승하고 있다. 첫째, 명재는 리의 주재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이용사(理用事)'라는 용어를 통해 도심, 인심, 인욕을 세 단계로 이해하는 데서 분명히 드러난다. 둘째, 명재의 격물치지설(格物致知說)은 주자나 율곡의 격물치지의 큰 틀 안에서 말하고는 있지만, 그 논법에 있어서는 양명학적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명재는 도심의 '기발'이나 인심의 '기발', '기용사'를 모두 부정적인 의미로 보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것은 그가 리의 주재성을 고려하여 '기용사(氣用事)'를 이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명재는 기호유학자로서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와 '이기지묘'적 입장에서 성리설을 더욱 정합화하고자 하였던 의도로 율곡성리학을 변전하여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가 사변적인 성리논변 자체를 꺼리고, 실심에 기반하여 실공을 추구하고자 한 인생철학과, 선현들의 학설은 이미 풍부하므로 그 책들을 읽고 진지를 실천할 일이지, 그와 관계없이 저술에 힘쓰는 것은 무실의 학문이 아니라고 말했던 학문관과 일치한다. 다만 그 성향이 율곡학파 내에서도 '리'의 주재성을 가장 많이 강조한 학자군으로 분류되면서, 기호 소론이라는 새로운 학맥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것이 기호성리학에서 명재성리학이 갖는 가장 중요한 의의이다.

현대 부모-자녀관계와 조선시대 부모-자녀관계의 관계 (Neo-Confucianism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Chosun Dynasty and the Present)

  • 백혜리
    • 아동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5-89
    • /
    • 1999
  • Children's textbooks and women's manuals were used to investigate parent-child relationships under the Neo-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compared with the present. Current practices of filial piety (Hyo) have changed but are still based on Neo-Confucianism. In present-day child rearing, parents aim to love their children (Ja-Ae) and to teach them Neo-Confucian values.

  • PDF

Confucianism in Vietnam: A Hauntology-based Analysis of Political Discourse

  • LINH Trinh Ngoc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3권1호
    • /
    • pp.87-108
    • /
    • 2023
  • From the time it was propagated to Vietnam until it was forced to relinquish its leadership position in both politics and philosophy, Confucianism in Vietnam was never orthodox Confucianism. This study employs the theory of invented tradition to examine how Confucianism penetrated the ethnic Vietnamese community at the turn of the first millennium and points out its vital requirement: the construction of a Chinese-style centralized administrative government based on Neo-Confucianism. This requirement unfolded during the Le So Dynasty in the fifteenth century. Moreover, the theory of invented tradition can also be applied to discover the motivation behind Neo-Confucianism's process of manufacturing orthodoxy to speed up the goal of Sinicization. Somehow, the launching of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meant to fulfill a system of bureaucracy, ended up resolving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of medieval times. It is to seek the ruler's uncritical submission to the ruled. This article applies hauntology to analyze two forms of Confucianism discourse in Vietnam. In doing so, this study determined that Confucianism evolved into its own unique system of thought in Vietnam and in the end, was not even recognizable as Confucianism. Throughout Vietnam's turbulent history, Confucianism shifted from a symbol of progress to one of backwardness. This culminated Vietnam's preoccupation with the de-Sinicization during the early twenty-first century.

정신보론(鄭臣保論) - 남송 성리학의 고려 전래와 관련하여 - (Theory of Jeong, Sin-bo(鄭臣保論) -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to Korean Dynasty from Southern Song Dynasty)

  • 최영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36호
    • /
    • pp.7-42
    • /
    • 2013
  • 본고는 한국 성리학의 전래와 기원에 관한 것이다. 고려 고종 24년(1237)에 남송(南宋) 출신의 학자 정신보(鄭臣保)가 오늘의 서산 간월도(看月島)에 정착하여 고려 학인들에게 이정(二程)의 성리학을 전파하였다는 자료를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처음으로 고려에 전해졌다고 알려진 1290년보다 53년 앞선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학계에서 공인을 받으면 성리학사는 고쳐 써야 할 것으로 본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고려 유학사의 변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어 정신보의 생애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정신보가 남송의 명문 포강정씨(浦江鄭氏) 가문의 후예라는 점과 포강정씨의 후손답게 춘추사상(春秋思想)과 의리정신에 투철하였음을 부각시켰다. 이밖에 정신보 학통의 전승 과정과 후세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도 추론하였다.

소수서원(紹修書院) 건립의 문화적 토대 연구 - 회헌(晦軒) 안향(安珦)의 선비정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oundations of culture established the Sosu Seowon)

  • 이정화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41-63
    • /
    • 2012
  • 회헌(晦軒) 안향(安珦)은 우리나라 선비들이 성현(聖賢)의 학문을 잘 실천하여 수기(修己)의 공을 이룰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준 선지자(先知者)였다.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은 선비의 학문을 좋아하여 오래도록 배움과 교육에 힘썼는데, 특히 백운동서원을 건립하여 선비들의 마음을 학문으로 진작(振作)시켰다는 점에서 학자의 소임에 충실하였다. 또한 서원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조정에 상소를 올림으로써 백운동서원의 입지를 최초의 사액(賜額) 서원인 소수서원으로 재정립한 퇴계(退溪) 이황(李滉) 역시 학자의 소임에 충실하였다. 회헌은 생전에 왕명에 의해 초상화를 갖게 되는데, 가문에서 소장해오다가 백운동서원이 건립되면서 이곳에 봉안하게 된다. 후학들이 영정에 찬문(贊文)과 시를 헌정(獻呈)하기 시작하면서 회헌의 학문정신을 근간으로 한 소수서원의 선비문화가 구축된다. 회헌의 시대는 장기간의 무인(武人) 집권과 몽고군의 침입 등으로 인하여 국운이 쇠망하고 있었다. 태평성세를 간절히 염원하였던 회헌은 도탄에 빠진 백성들의 힘겨운 삶에 주목하게 된다. 궁핍한 백성들이 오가는 사찰이 황금과 보석 등으로 치장한 것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형상화한 것이 회헌시에 나타난 사실주의적 기법이다. 회헌은 백성들의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이것이 곧 주자학을 국내에 수입한 까닭이다. 나라와 백성의 안녕을 염려한 회헌의 충심(忠心)이야말로 실천하는 선비상(像)의 발로였다. 회헌은 우리나라 지성사에 획기적인 역할을 한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그가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의 임무를 띠고 합포에서 공무를 수행할 때 조정에서 지공거(知貢擧)를 맡으라는 명이 내려진다. 회헌의 염원은 태평성세가 이루어지는 것인데, 빼어난 자질과 학문을 갖춘 선비들을 기르는 것도 태평성세를 실현하기 위함이었다. 이로써 보면 회헌에게 있어 '교학(敎學)이란 인재를 기르는 힘의 원천이며 백성들을 구제하여 나라를 살릴 수 있는 원동력이다.

송대(宋代) 유학(儒學)과 금(金)·원대(元代) 의학(醫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ong Dynasty Confucianism and the Oriental Medicine from Geumwon Dynasty)

  • 김용훈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1-134
    • /
    • 2016
  • Objectives : This thesis analyzes how Song Dynasty(宋代) Confucianism(儒學) has influenced the Oriental Medicine during Geumwon Dynasty(金元代). Methods : This paper will compare with the literature of Zhuxi and the Oriental Medicine scholars of Jin(金) Yuan(元), and search for the correlation of the Confucianism(儒學) and the Oriental Medicine(東洋醫學). Results : During the era of Jin(金) Yuan(元), Confucian physicians(儒醫) were met a new phase of Medicine(醫學) by systematizing the clinical medicine and theory based on the Neo-Confucianism. Conclusions : This study recognizes how the era of Jin(金) Yuan(元) Confucian physicians(儒醫) medically perceived and reinterpreted the aspect of Zhuxi's Neo-Confucianism and theory of Changes.

조선조 의학 텍스트의 정치사상적 함의 : "동의보감"과 "동의수세보원"을 중심으로 (Significances on Political Thoughts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Texts- with Special References to "Dong-uibogam(東醫寶鑑)" and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 정복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35-255
    • /
    • 2010
  • Previous studies "Dong-uibogam(東醫寶鑑)" or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Korean medical text written in the 16th/19th century, have focused mainly on his theories of Daoism and Neo-Confucianism or Post-Confucianis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ong-uibogam" and "Dong-uisusebowon" were the scholarly products of the Early Modern Neo-Confuci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se Early Modern Neo-Confucians ruled the dynasty rationally, and edited books on medical science, one of which were the "Dong-uibogam" or "Dong-uisusebowon". In these books, religious aspects of Daoism was excluded because these elements were not in agreement with medical science or Neo-Confucianism. The "Dong-uibogam" and "Dong-uisusebowon" were also translated into the Korean vernacular script based on an obligation to govern the people. This was example of Confucian enlightenment which was Early Modernity of "Dong-uibogam(東醫寶鑑)" or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thought.

<명선록(明善錄)>의 반주자학적 논거의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인장이론(四象人臟理論)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al Theory and Anti-Neo-Confucianism in Myung-Suen Lock)

  • 이항재;최승훈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89-306
    • /
    • 1996
  • This study are performed to reveal the origin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theory made by Lee-jae-ma(李濟馬), confucianist as well as famous oriental doctor, who succeeded to Han- suck-jie(韓錫地)'s Anti-Neo-Confucianism. Han wrote a book na mod Myung-Suen-Lock(明善錄) which criticized Neo-Confucianism formed at times of Song dynasty in China and proposed a new doctrine i.e Anti-Neo-Confucianism. He asserted that The Sacred and Ordinary Men are all the same in nature, and that The Acatul Mind of Universe and The Actual Mind of Human also are all the same ultimately These two assertions cleary contrasted with pre-existing Neo-confucianism led Lee-jae-ma to successively organize Sasang constitutional theoy. This study is aimed to illuminate this point : How under the effects of Han's new doctrine Lee-jae-ma could find four general constitutions due to the functional variation of the four organs. At first, Lee indicated four organs as the very general basement providing human nature for all men including The Sacred. In consequence, he justified one of the Han's assertions that The Sacred and Ordinary Men are all the same in nature. Secondly, Lee indicated the Mind as the actual center which bring forth the individual spontaneity. As far as this individual spontaneity is rightly aimed, which means harmonize his own's with the actual process of the Universe, all men could be The Sacred. So he come to justify the other of Han's assertions that The Actual Mind of Universe and The Actual Mind of Human also are all the same ultimately. Therefore, it is clearly verified that the Lee-jae-ma's Sasang doctrine is the successive achievement origined from Han-suck-jie(韓錫地)'s Anti-Neo-Confucianism abundantly represented in his own book, Myung-Suen-Lock.

  • PDF

정치유학의 사상연원과 쟁점 - 강유위康有爲와 장경蔣慶을 중심으로

  • 이연도
    • 중국학논총
    • /
    • 제61호
    • /
    • pp.323-340
    • /
    • 2019
  • As the continent's Neo-Confucianism has emerged as an issue recently, Kang You-wei has become a hot topic in Chinese thought circles. His view that the goal of Confucianism is ultimately to reformbased on the "ChunQiu Gongyang" has been drawing new attention in the 2000s with the emergence of Political Confucianism. This paper reviews Kang You-wei's study of Chun Qiu Gongyang, which could be called the ideological origin of continental Confucianism, and also analyz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problems of political Confucianism.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discussion of Confucian constitutionalism, an understanding of Kang You-wei should be preceded. Because most of the problems raised in continental political Confucianism, began with the idea of Kang, and they insist on returning to Kang You-wei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