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ificances on Political Thoughts in Traditional Korean Medical Texts- with Special References to "Dong-uibogam(東醫寶鑑)" and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조선조 의학 텍스트의 정치사상적 함의 : "동의보감"과 "동의수세보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09.12.21
  • Accepted : 2010.01.12
  • Published : 2010.01.25

Abstract

Previous studies "Dong-uibogam(東醫寶鑑)" or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Korean medical text written in the 16th/19th century, have focused mainly on his theories of Daoism and Neo-Confucianism or Post-Confucianis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ong-uibogam" and "Dong-uisusebowon" were the scholarly products of the Early Modern Neo-Confucian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se Early Modern Neo-Confucians ruled the dynasty rationally, and edited books on medical science, one of which were the "Dong-uibogam" or "Dong-uisusebowon". In these books, religious aspects of Daoism was excluded because these elements were not in agreement with medical science or Neo-Confucianism. The "Dong-uibogam" and "Dong-uisusebowon" were also translated into the Korean vernacular script based on an obligation to govern the people. This was example of Confucian enlightenment which was Early Modernity of "Dong-uibogam(東醫寶鑑)" or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thought.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원. 정약용의 '醫零'.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pp.15-20.
  2. 김상준. 주자와 스피노자는 왜 비슷한가?- 한형조 교수가 <주자신학논고 시론>에서 제기한 화두에 답함. 정신문화연구. 2009. 32(3). p.412.pp.388-389, 395-399, 401-408.
  3. 김상준. 잊혀진 세계화 송원연간의 세계변화와 '사건'으로서의 정주학. 2007 후기사회학대회발표논문집, 2007. pp.943-958.
  4. 김상준. 중층근대성. 대안적 근대성 이론의 개요. 한국사회학. 2007. 41(4). p.243, 264. pp.249-251.
  5. 김상준. 남인 예론과 근대 주권론. 다산학. 2003. 4. pp.184-185.
  6. 김세서리아. 유가철학의 몸 은유 방식을 통해 본 여성 이해, 여성의 몸에 관한 철학적 성찰. 철학과 현실사. 2000. 여름호. p.48.
  7. 김태희. 宋代醫學의 學術的 特徵.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p.11.
  8. 김호. 조선중기 사회와 허준의 동의보감. 역사 비평. 1994. 27. pp.193-194.
  9. 김홍균, 박찬국. 朝鮮 中期 醫學의 系統에 관한 硏究.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1. 5. p.262.
  10. 나대웅. 대체의학 관점에서 본 東醫寶鑑의 신체관. 한국정신과학학회지 2009. 13(1). pp.13-21.
  11. 류근성. 맹자 도덕철학에서 이성과 감성의 문제. 동양철학연구. 2007. 52. p.285.
  12. 박주홍. 고대 서양의학 체질론과 사상체질론의 형성과정 및 내용 비교 연구. 의사학. 2009. 18(1). pp.34-38.
  13. 박찬국. 東醫學의 成立에 대한 硏究.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1. 5. p.146.
  14. 박현모. 정조의 탕평정치 연구(2). '醫國論'의 관점에서 본 정조의 리더십. 정신문화연구. 2007. 26. pp.153-156.
  15. 백민정. 정약용 인성론에서 '천명지성' 개념이 갖는 의미. 본연지성. 도의지성. 천명지성에 대한 다산의 관점을 중심으로. 동양철학. 2007. 28. p.111.
  16. 백상룡. 東武 李濟馬의 醫學思想에 대한 연구. 대한원전의사학회지. 2000. 13(1). pp.118-119.
  17. 백유상. 四象醫學이 가진 韓國 韓醫學的 特性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9. 22(1). pp.132-133, 137-141.
  18. 백유상. 東武 李濟馬의 性情論에 대한 해석. 四七理氣論辨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2009. 26. pp.230-231.
  19. 성민규. 東醫寶鑑 身形臟腑圖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p.40.
  20. 여인석. 몸의 윤리학, 스피노자와 이제마에 있어 몸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고찰. 의사학. 1998. 7(2). p.193.
  21. 이광영, 박찬국. 傷寒論과 四象醫學의 病機에 대한 硏究.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8. 11(1). p.715.
  22. 전병술. 명대 양명학에 있어서의 이성과 욕망. 중국학보. 2002. 45. pp.456-457.
  23. 정면. 金元四大家醫學이 朝鮮朝醫學에 미친 影響.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5. 9. p.540.
  24. 정복철. 이제마의 四象哲學과 생활세계[몸-공동체] 패러다임.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08. 21(4). p.210. pp.213-214.
  25. 정창현. 鬼神에 대한 黃帝內經의 입장.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7. 10(2). p84, 90.
  26. 한자경. 사단칠정론에서 인간의 性과 情. 철학연구. 2005. 68. pp.174-179.
  27. 강신익. 몸의 역사. 의학은 몸을 어떻게 바라보았나. 서울. 살림. 2007. pp.71-72, 91-92.
  28. 김두종. 韓國醫學史. 서울. 탐구당. 1981. p.178, 235.
  29. 김석진 역해. 대산 주역강의(3). 서울. 한길사. 1999. p.186.
  30. 김희정. 몸.국가.우주 하나를 꿈꾸다. 서울. 궁리.2008. pp.240-241.
  31. 맹자 저. 박경환 역. 맹자. 서울. 홍익출판사. 2005. p.86.
  32. 박찬국 역저. 懸吐國譯 黃帝內經素問注釋(上). 서울. 경희대학교출판국. 1998. p.154.
  33. 신영복. 강의. 서울. 돌베개. 2004. pp.23-24.
  34. 야마다 케이지 저. 김석근 역. 주자의 자연학. 서울. 통나무. 1991. pp.26-32, pp.139-143.
  35. 이제마 저. 한동석 역. 東醫壽世保元註釋. 서울. 대원출판. 2006. p.670. pp.104-105, 109-111,113-114.
  36. 장현근 편저. 맹자. 서울. 살림. 2006. p.71,p.265.
  37. 張其成 著, 정창현, 백유상, 장우창, 정우진 공역. 한의학의 원류를 찾다: 역학과 한의학. 서울. 청홍. 2008. pp.487-506.
  38. 장현근 편저. 맹자. 서울. 살림. 2006. p.71,265.
  39.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편. 사상의학. 서울. 집문당. 2005. p.44, 64.
  40. 한형조. 왜 조선유학인가. 서울. 문학동네. 2008. p.174, 251.
  41. 허준 저. 동의과학연구소 역. 東醫寶鑑. 서울. 휴머니스트. 2002.
  42. 홍승직 역해. 呂氏春秋. 서울. 고려원. 1996. p.62.
  43. 홍원식. 中國醫學史. 동양의학연구원. 1984. p.13, 40.
  44. Otto, Rudolf. The Idea of the Hol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50. pp.12-24.
  45. Pomeranz, Kenneth. The Great Divergence. China. Europe.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Political Economy.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p.81, pp.99-101
  46. Sivin, Nathan. Science and Medicine in Imperial China. Journal of Asian Studies. 1988. 47. p.53.
  47. Lovejoy, Arthur. The Great Chain of Being. Cambridge. Harvard UP. 1936. pp.315-316.
  48. 박석준. 박석준의 의학철학 이야기(1)-(4). 참세상. 2005. [검색일: 2009. 10. 25]; http://www.newscham.net.
  49. 국민일보. 2009.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