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 of Jeong, Sin-bo(鄭臣保論) -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to Korean Dynasty from Southern Song Dynasty

정신보론(鄭臣保論) - 남송 성리학의 고려 전래와 관련하여 -

  • Received : 2013.02.12
  • Accepted : 2013.03.02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article is on the introduction and origin of Korean Neo-Confucianism. In this article, it is verified and clarified that a scholar named Jeong, Sin-bo (鄭臣保) from Southern Song settled on today's Seosan Ganwoldo (看月島) in the year of 1237 (24th year of the king Gojong in Korean Dynasty) and he introduced the Neo-Confucianism both by Jeong, Myung-do (程明道) and Jeong, Yi-cheon (程伊川) who are also called Double Jeong to Korean scholars. Based on these facts, it overturns the history that Anhyang (安珦) first introduced Neo-Confucianism to Korean Dynasty in the year of 1290 even with 35 years ahead. When this gains official approval by the academia,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seems to be rewritten. This article first examines changes in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with three stages and then concentrates on the life of Jeong, Sin-bo. It presents that Jeong, Sin-bo was a descendant of a Southern Song's noble family named Pogang Jeong (浦江鄭氏) and he committed to Chunqiu thoughts (春秋思想) and spirit of loyalty (義理精神) naturally as the posterity of Pogang Jeong. Lastly, it also infers the transmission of Jeong, Sin-bo's scholastic mantle and his influence on the posterity.

본고는 한국 성리학의 전래와 기원에 관한 것이다. 고려 고종 24년(1237)에 남송(南宋) 출신의 학자 정신보(鄭臣保)가 오늘의 서산 간월도(看月島)에 정착하여 고려 학인들에게 이정(二程)의 성리학을 전파하였다는 자료를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이에 따르면 안향(安珦)에 의해 성리학이 처음으로 고려에 전해졌다고 알려진 1290년보다 53년 앞선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학계에서 공인을 받으면 성리학사는 고쳐 써야 할 것으로 본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고려 유학사의 변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어 정신보의 생애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정신보가 남송의 명문 포강정씨(浦江鄭氏) 가문의 후예라는 점과 포강정씨의 후손답게 춘추사상(春秋思想)과 의리정신에 투철하였음을 부각시켰다. 이밖에 정신보 학통의 전승 과정과 후세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해서도 추론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