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ighborhood Satisfac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에서 유학하는 중국 대학생의 주거실태 및 주거만족도 - 전북대학교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 (The Housing Condition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 Focus on Chinese Students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최병숙;박정아;노정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235-1250
    • /
    • 2012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using condition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in S. Korea, and identified effective factors for related housing design. Chinese students at CBNU participated in this survey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11.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200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ith 147 surveys providing useful data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d the data with SPSS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 1) Many Chinese students received housing information from discussion with acquaintance. They lived together 2 students in one-room or dormitory. Monthly rental was about 240,000 won, and they found the living conditions a burden. 2) They are unsatisfied with food, the lack of a refrigerator, and non availability kitchen facilities. These factors are considered in planning for Chinese students housing. 3) For the most par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housing environment, although there is a need to improve health related housing environment factors, including sunlight, noise, and indoor air. The effective residential factors to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are dwelling space and size, space organization and floor plan, kitchen toilet bathroom facilities, sunlight, and safety from natural disasters. The effective neighborhood factors identified include access to natural environment, community facilities, parks, noise, and commuting time. 4) Subjective factors played a larger role in overall housing satisfaction than did objective factors such as gender and types of house.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 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지역 만족도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COVID-19 Anxiety and Stress: Focus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 이래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1-8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 A지역에서 실시된 지역사회 복지욕구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81명의 응답자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36.9%가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하였고, 51.5%가 코로나19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결과, 여성인 경우, 청년이나 노년에 비해 중장년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거주지역 만족도가 낮을수록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할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노년에 비해 청년이거나 중장년인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높은 범주에 속할 위험성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사람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전략에 대해 다양한 제언을 하였다.

Fort Wayne시 근린공원에 관한 연구 (Neighborhood Park (Fort Wayne) : A Study For Better Environment)

  • Kwon, Hong-Sung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79
    • /
    • 1986
  • 본 연구는 인디아나주 Fort Wayne시에 있는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이용과 비이용의 이유를 밝히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연구 대상지로는 이용이 잘되는 2개 공인과 이용이 잘 안되고 있는 2개 공원이 Fort Wayne시 공원국장과의 면담으로 결정되었다. 설문지와 직접 관찰법이 주요 연구 수단이었으며, 나이, 성별, 소득, 인종별로 자료를 분석해 이용이 잘 되고 있는 공원과 잘 안되고 있는 공원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원 이용빈도 차이는 각 공인의 시설 및 각 공인주변의 인구조성이 가장 큰 결정요인으로 밝혀졌으며 (1) 환경 및 사회적인 요소, (2) 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이라는 2가지 측면으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 PDF

울산시 신주거지의 아파트 계획을 위한 거주자 주거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Choice Behavior of Residents the Plan of Apartment in New Housing Area, Ulsan)

  • 김선중;권명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1-13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housing choice behavior by using the factor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mobility motivation, and housing needs of potential purchasers in Bukgu New Housing Area, Ulsan. The survey used questionnaire from 326 households living in Bukgu and nearby area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low degre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storage space and neighborhood. The mobility motivations wer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education environment, walking road, view and lighting. The housing needs for indoor spaces showed to want more functional arrangement than the room size. The housing needs for outdoor spaces showed to want neighborhood 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 or hospital facilities, the welfare facilities for pre-kindergarten children and elders and the leisure facilities. And the housing needs for facilities were floor furnishing for health, crime prevention system for safety needs, housekeeping appliance against environmental pollution, additional function for energy saving. The housing needs for common spaces showed that the residents preferred playing facilities by age group, exercise facilities, the community hall and the rest room which can do games or meetings.

중형 임대아파트 거주자의 거주 후 평가 (Tenants'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the Mid-sized Rental Apartment)

  • 이상운;박경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9-18
    • /
    • 2006
  • This study analyzes relevant data based on the mid-sized rental unit. It focuses on how we can set up appropriate mid-sized rental unit plan as its supply has been accelerated over time.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ver a series of categories including site environment, unit plan, neighborhood, economy, and management. The 342 respondents are from the 3-year old apartments at Cheongju.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the average indices including number of family, life cycle, and income under the survey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 rental unit sizes between 20 and 30 pyeongs. 2) In general, residents present comparatively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erm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eir evaluation on the site environment unit plan, and neighborhood is around the average. In contrast, the economic and management efficiency categories are under the average. This study suggests residential guidelines should be derived from tenant differentiation policies dealing with divers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3) In terms of improvement priority, residents present, higher preference on the management system and site environment. This study advises to establish an appropriate alternative to guarantee effective tenant participation. Considering the lower satisfaction level in the green space, common facilities, and resting space, this study also urges to secure quality control for desirable planning of the mid-sized rental apartments.

반려견 산책 및 운동을 위한 근린환경 인식 및 만족도 연구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s for Dog Walking and Exercise)

  • 송진경;이정연;이형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3-62
    • /
    • 2022
  •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주거지 주변에서 반려견을 산책시키거나 가까운 공원을 찾아 운동하는 반려인들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인들을 대상으로 근린생활권 내에서의 반려견 산책활동 현황 및 물리적 환경 만족도를 파악하고, 반려견 운동공간인 반려견 놀이터에 대한 지불의사를 조사하는 것이다. 총 249명의 온라인 설문 응답자 중 47.8%가 하루 최소 1회 이상 산책을 하며, 주로 집 주변 산책로나 공원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은 반려견과의 높은 애착도를 나타냈으며, 반려견 산책이 반려견뿐 아니라 양육자 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유지에도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산책로 주변 흥미로운 볼거리, 연결성 등 반려견 산책을 위한 근린생활권의 환경 만족도는 낮은 편이었으며, 목줄 없이 반려견들이 운동할 수 있는 반려견 놀이터 조성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려견 놀이터의 가치는 지불의사금액의 절단된 평균을 기준으로 할 경우 85,618원으로 추정되었다. t-검정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산책 빈도와 반려견 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견 산책을 통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서는 근린생활권 내 반려견 산책 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근린생활권의 육아환경 요소에 대한 영유아 어머니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 서울시 송파구를 대상으로 -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Early Childhood's Mothers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Elements in the Neighborhood - Focused on Songpa-gu, Seoul -)

  • 이주림;구자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on the child-rearing environment and compare the recognition of parents who live in APT and multi-family hous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thers in order to survey the level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factors for child-rearing.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s analyzed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PA by housing types,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natural environment and playground is required particularly in the multi-family housing area. the mothers need soundproofing of house and management of unwanted facilities in neighborhood in common. In the apartment, improvement of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ren's library is required. The results of IPA on the mothers of infant and toddler may be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for child-rearing environment improvement.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Seoul Public Bike)

  • 김소윤;이경환;고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75-486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자전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67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IPA분석과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공공자전거 IPA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자전거 도로설치, 자전거 도로의 연결성 개선, 자전거 도로관리상태 개선, 차도와 자전거 도로 구분, 야간주행 시 안전성 개선, 안전시설물 설치의 경우 중요도는 높은 반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지된 근린환경특성 변수를 추가함에 따라 모형의 설명력이 0.062에서 0.437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인지된 근린환경특성이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된 근린환경특성 중에서는 접근성, 편의성, 관리성, 경제성 변수가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 편의성, 관리성, 접근성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이 주거환경의 질인지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type on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ement and housing satisfaction)

  • 김미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5-66
    • /
    • 1985
  • This study is intended to compare the quality of housing envirionments between single family house and apartments. To be specific, firstly, it is to be examined as to whether there exists any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of single family house and those of highrise apartment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 Secondly, the major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housing environment may be linked to the level of housing satisfaction are to be explor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housing environment is composed of four factors such as living space, noise, neighbor environment, and structural feature.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inistered to 125 home makers living in single family house and 125 home makers in high-rise apartments in Kwangju.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in thi study: 1) Resjdents of apartments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structural feature of housing unit and less satisfied with noise than those of single family house. There are negligible differences between two housing types in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living space, and neighbor environment. 2) According to the singhle family house group, it is found that structural feature, neighbor environment, and living space predict most of the variance in the level of housing unit satisfaction. It is also turned out that neighbor environment, noise, and structural feature have impact on the level of neighborhood statisfaction. 3) the apartments group shows that structural feature is the only predictor having impact on housing unit satisfaction. It is found that neighbor environment factor predicted the level of neighborhood satisfaction.

  • PDF

도보권 근린공원의 내·외부 환경을 고려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화랑공원과 관음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with Consideration for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s - Focusing on the Case Study Hwarang and Gwanum Park, Daegu -)

  • 정성관;이슬기;강동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10-123
    • /
    • 2014
  • 최근 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도보권 근린공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보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내부 및 접근환경이 공원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와 GIS를 활용하여 공원 내 외부 환경을 자료를 구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된 환경들과 비교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환경들이 공원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화랑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시설과 안전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관음공원은 녹지 공간과 그늘 양 등 자연적인 요소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음공원은 시설의 노후화로 시설적인 측면의 만족도가 낮았고, 두 공원 모두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과 볼거리 측면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까지의 접근 환경을 평가한 결과, 보행과 관련된 쾌적성 및 접근성과 관련된 환경은 화랑공원이 관음공원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이 만족도 또한 전반적으로 화랑공원이 높게 평가되었다. 공원까지의 접근에 있어 두 공원 이용자 모두 볼거리 측면의 만족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용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접근로의 환경', '공원시설', '산책공간'이 도보권 근린공원 이용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랑공원의 경우 내부적 환경보다 접근로의 환경개선이 이용만족도를 높이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보권 근린공원의 개선에 있어 내부환경뿐만 아니라, 접근환경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이용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