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ighborhood Park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26초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스쿨존 안전관리 시스템 (A WSN-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School-Zone)

  • 이창복;이진관;박상준;이종찬;박기홍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교 주변에서 발생하는 범죄 사고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쿨존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어린이들에게 부착되는 센서들과 학교 주변의 일정 공간에 펼쳐진 고정된 센서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환경 및 위치 센싱 정보들을 공간 지식화하여 어린이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학교 주변의 스쿨존 망을 벗어나는 경우 기회주의적 네트워크를 통한 전략적 안전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현재 GPS를 통하여 개개인이 서비스를 받는 시스템에서 발전하여 많은 학생들이 적은 비용으로 쉽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근린공원 퍼골라 시설의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Pergola Facilities in Neighborhood Parks)

  • 안득수;허준;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2-194
    • /
    • 1995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design of pergola facilities located in neighborhood parks. The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methods : Physical measures and questionnaires. Physical treasures were taken of certain environmental attributes such as pergola sizes, structures, materials, etc. Questionnaires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pergola users on the same day on which physical measures were scheduled. All data were collected in 1994 during the season of pergola use, September 3 to October 9.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Of the 508 respondents to the question about use motivations, approximately 32% were a shady place, 18% seating arrangements suitable for conversation, 15% unconsciously, 13% a lack of bench in the park, 9% good view, and 13% other. 2.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est predictors of pergola user' satisfaction were : harmony with surroundings, accessibility, aesthetics of pergolas and benches, function of benches, and climbing plants. 3. Pergola design needs to be developed because pergola user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ir pergola than with the park.

  • PDF

보행접근성 분석에 기반한 근린공원의 공원서비스 평가 - 성남시 분당구를 대상으로 - (Evaluation of Park Service in Neighborhood Parks based on the Analysis of Walking Accessibility - Focused on Bundang-gu, Seongnam-si -)

  • 황해권;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9-70
    • /
    • 2024
  •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공원녹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공원녹지는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옥외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어 중요한 공간이다. 공원서비스 권역은 거리를 기반으로 어느 범위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이다. 이 과정에서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중요하게 작용하며 특히 보행은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이동수단으로서 공원 이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원서비스 권역 분석은 소외지역을 발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수혜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접근성을 바탕으로 공원서비스 권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공원서비스는 이용자가 직접 공원을 방문함으로써 발생하는 서비스로서 접근성이 이용 가능성으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보행네트워크의 정량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통합도 값을 바탕으로 보행접근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합도 값은 보행네트워크의 접근성 정도를 수치화하여 보여주는 지표로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도 값이 높을수록 공원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당구의 공원서비스 권역은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보행접근성이 높은 구간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지만 일부 보행접근성이 좋은 구간은 제외되어 있다. 이는 도시계획 과정에서 주거지역과 상업 및 업무 지역이 우선적으로 지정되고 그 후에 공원녹지 지역이 선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분당구를 기준으로 공원서비스 권역 및 공원서비스 권역 내 보행접근성을 법정동별로 분류하였다. 개별 법정동 별로 차이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공원에 대한 이용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같은 도시계획 과정에서 만들어진 지역이라도 보행접근성에 따른 공원서비스 권역의 평가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생활권 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개별 동 단위의 평가가 가능하며 추후 이를 반영한 공원녹지 정책에서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야외체력단련기구 이용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동탄신도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es of Outdoor Exercise Equipment and Improvement Research - Focused on the Neighborhood Park of Dongtan New Town -)

  • 김도경;김승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4-9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원을 조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공원을 재정비할 때 생활체육시설인 야외체력단련기구에 대한 전반적인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탄 신도시에 소재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에 설치된 야외체력단련 기구를 이용하는 남 녀 150명을 대상으로 이용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동탄신도시의 공원 중 야외체력단련기구가 설치된 6개의 공원에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에 해당하는 개나리공원, 손바닥공원, 큰재봉공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이용만족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그 내용은 주 시설 요인(공원내 적절한 위치 공원과의 연계 배치 야외체력단련기구의 종류 수량), 차양 요인(차양시설, 식재), 관리 요인(관리상태 보수상태), 부대시설 요인(포장 조명시설)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전체만족도와 요인의 회귀분석 결과, 주 시설 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주 시설 요인이 근린공원 야외체력단련기구 만족도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대상지별 요인에 대한 차이 검증을 통해 주 시설 요인인 공원내 적절한 위치 공원과의 연계 배치 야외체력단련기구의 종류 수량에서 종류와 수량이 많다고 야외체력단련기구의 전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주 시설 요인에 포함된 공원내 적절한 위치 공원과의 연계 배치의 만족도 또한 높아야 전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감안하면 추후 계획되는 공원의 야외체력단련기구에서는 종류와 수량의 보충뿐만 아니라 공원내 적절한 위치, 공원과의 연계성, 배치를 고려한 공원 계획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도보권 근린공원의 내·외부 환경을 고려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화랑공원과 관음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with Consideration for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s - Focusing on the Case Study Hwarang and Gwanum Park, Daegu -)

  • 정성관;이슬기;강동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10-123
    • /
    • 2014
  • 최근 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도보권 근린공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보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내부 및 접근환경이 공원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와 GIS를 활용하여 공원 내 외부 환경을 자료를 구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된 환경들과 비교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환경들이 공원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화랑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시설과 안전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관음공원은 녹지 공간과 그늘 양 등 자연적인 요소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음공원은 시설의 노후화로 시설적인 측면의 만족도가 낮았고, 두 공원 모두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과 볼거리 측면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까지의 접근 환경을 평가한 결과, 보행과 관련된 쾌적성 및 접근성과 관련된 환경은 화랑공원이 관음공원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이 만족도 또한 전반적으로 화랑공원이 높게 평가되었다. 공원까지의 접근에 있어 두 공원 이용자 모두 볼거리 측면의 만족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용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접근로의 환경', '공원시설', '산책공간'이 도보권 근린공원 이용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랑공원의 경우 내부적 환경보다 접근로의 환경개선이 이용만족도를 높이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보권 근린공원의 개선에 있어 내부환경뿐만 아니라, 접근환경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이용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심지역 녹지의 국지적 대기환경영향에 관한 연구 (Impacts of Urban Green Spaces on Air Quality)

  • 주현수;김석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386-393
    • /
    • 2009
  • 본 연구는 도심녹지의 대기질 영향을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심의 '근린공원 녹지'가 가스상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녹지의 대기환경영향평가 모델링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모델링은 서울 도심의 대표적 근린공원이라 할 수 있는 종로구의 파고다 공원 인근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모델링 결과, 도시 근린공원의 수목은 자체적으로 오염물질을 흡수 제거하여 대기질을 개선시키는 기능이 크다고는 볼 수 없지만,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토지이용형태(배출원이 거의 없고, 해당지역 및 주변지역에서 원활한 기류소통 촉진)를 유지함으로서 대기환경 악화를 억제하는 효과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지역에서의 대기정책은 오염원 추가건설 제어를 위한 녹지보호정책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춘천시 봉의산근린공원의 식생관리방안을 위한 식물군집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of Bonguisan Neighborhood Park, Chuncheon City)

  • 이은석;한봉호;김종엽;이학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7-33
    • /
    • 2024
  • 본 연구는 춘천시가지 중심에 위치하고 시민들의 휴식 및 여가공간으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봉의산근린공원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활용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봉의산은 삼국시대부터 춘천의 중심으로 산림이 지속적으로 훼손되었으며 현대에는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생태계의 고립과 단절이 심화되었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비율을 보면, 신갈나무는 28.5%, 신갈나무-졸참나무는 2.1%, 소나무는 15.6%, 소나무-신갈나무는 15.9%, 박달나무는 1.6%, 아까시나무는 5.9%, 잣나무는 1.6%이었다. 신갈나무는 남서, 북서, 남동사면에 분포하고 소나무는 동쪽과 남동사면 능선부에 분포하고 박달나무는 북동쪽의 계곡부, 충원사 북쪽 급경사지에 분포하였다. 식물군집은 총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나무군집(군집 I)과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군집(군집 V)은 장기적으로 참나무류림으로 천이가 예상되었고, 신갈나무군집(군집 II)과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군집 III), 박달나무군집(군집 IV), 잣나무군집(군집 VI)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고려한 목표식생 및 관리방안은 ① 자연경관 보전 및 개선형(소나무군집) ② 생태적 천이 순응형(낙엽참나무류군집) ③ 특이군락 보전형(박달나무군집) ④ 휴양 및 체험형(잣나무군집) 등 4가지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특히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소나무군집과 박달나무군집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관리해야 할 것이다.

서울 S지역에서 발생한 영아 메트헤모글로빈혈증 1례의 원인구명을 위한 역학조사 (Epidemiologic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Cause of an Infant Methemoglobinemia)

  • 김영열;최보율;박항배;김민영;여인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2호
    • /
    • pp.192-201
    • /
    • 1993
  • Epidemiologic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January, 1993 in Seoul to identify the cause of an infant methemoglobinemia. Field investigation of the area of outbreak, survey of household and family members, analysis of ground water, and blood tests of involved family members were perform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On analyzing the quality of the ground water on patient's household high levels of nitrate was found indicating contamination of water as the cause of a methemoglobinemia outbreak. On analysing the quality of the ground waters on seven other places within the neighborhood five were contaminated by nitrate in concentration that exceeded the permissible limit implying presence nearby source of contamination. Sources of contamination were thought to be originating from human waste in conventional bathroom facilities, chicken manure used in nearby orchards and plant fields or fertilizers. But the results of water analysis with presence of bacteria or E.coli, concentration of potassium, phosphate and the past history of diarrhea among family members, chicken manure suggested the most possible source of contamination. To evaluate the health status of members in the neighborhood past history was reviewed revealing no prior existence of patient with cyanosis and 65 people in the neighborhood had normal levels of methemoglobin concentration in their blood. Conclusively, the ground water on patient's household was contaminated with nitrate and despite provision of adequate water supply,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 along with their distrust in the water supply system had used ground water as their source of drinking water resulting of methemoglobinemia. Many suburban area of Seoul and country side thought to be having similar problems concerning contaminated ground water supply and dormant outbreak of patients as a result of the drinking of the contaminated water. Epidemiologic investigation and water analysis of ground waters are advised.

  • PDF

철도 운영관리 효율화를 위한 이웃해 탐색기법을 사용한 승무다이아 생성방안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Crew Scheduling Diagram Using Neighborhood Search Method for Improving Railway Operation Management)

  • 이재희;박상미;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42-51
    • /
    • 2019
  • 철도운영기관은 수송수요예측과 열차차량의 수송능력을 토대로 수송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른 열차운행계획을 수립한다. 열차운행계획을 통해 열차 운행간격이 조정되어 열차운행시간표(열차다이아)가 작성되고, 열차운행에 사용되는 열차의 차량운영계획이 수립된다. 열차운영기관에서는 열차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이아에 편성되어진 열차들의 승무인원을 판단하고 배치하는 승무일정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승무일정계획 문제인 승무다이아 작성단계에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이웃해 탐색기법을 적용하여 승무 계획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생성된 승무 다이아는 실제 운영하는 열차시간표를 대상으로 기존 승무다이아와 결과 값을 비교하여 제시된 방법론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A Study on Transitions in Neighborhood Planning Element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 case study of apartment complex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the 1970s to 1980s

  • Won Woo Choi;Youn Kyung Lee;Bum Chan Park;Do Nyun Kim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61-72
    • /
    • 2023
  • The main factors that made Seoul's rapid population accommodation and urbanization possible in the mid-to-late 20th century were the ex-pansion of urban infrastructure, completion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and housing supply.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resi-dential development occurred simultaneously, and in particular, apartment complexes,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area in Seoul, were most influenced by Perry's neighborhood uni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partment complexe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response to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 the mid-to-late 20th century. The analysis sites are Jamsil Apartment Complex(1974), Dunchon Apartment Complex(1979), Mok-dong New Town(1983), Sanggye New Town(1985), Bundang New-town(1990) and Ilsan Newtown(1990), which were planned at the turning point of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actively reflect the neigh-borhood unit theory.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nalyzing the status of transportation when the plan was established, deriv-ing the planning elements, and classifying the planning elements into walking, bus, car, and subwa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ransportation. The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completing the legal system and expanding the related infrastructure are essential. Secondly, in contrast to the increase in traffic volume, the pedestrian environment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Thirdly, despite the emergence of new mode of transportation, there was a tendency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transpo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