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Parenting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35초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and Parenting Stress on Infant's Basic Daily Life Habits)

  • 한영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98-409
    • /
    • 2020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영아와 그들의 부모 155명이다.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온정·격려, 한계설정 양육방식은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과보호·허용, 거부·방임 양육방식은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수면습관과 식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변인인 양육방식과 양육스트레스가 영아기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영아기 사회화 및 사회적 발달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지역사회참여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Community Participation Affects Marriage Immigrant Women's Parenting Efficacy)

  • 이아민;이채원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237-264
    • /
    • 2017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참여에 주목하여 지역사회참여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결혼이주여성 396명이 응답한 "경기교육복지패널"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어실력, 거주기간, 양육스트레스, 가족관계가 결혼이주여성의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참여수준은 이러한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활동의 다양한 유형의 참여여부를 보았을 때 자녀학교 관련 모임에 참여하는 경우 양육효능감이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특정유형의 지역사회활동에 대한 참여여부보다는 다양한 지역사회참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수록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주민의 양육효능감은 지역사회참여를 통한 사회통합감 및 주체성의확립과의 관련성 속에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y)

  • 설염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20-43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 학습된 무기력,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93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는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 스트레스는 학습된 무기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는 문화적 차이와 새로운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환경 속에서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는 것이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년 여성의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Adolescent Parenting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 Aged Women)

  • 성경미;이승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67-27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를 둔 중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청소년 양육 스트레스를 경험한 중년 여성 197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일부터 2018년 9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28.0으로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외상 후 성장은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청소년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반복연구를 통해 향후 중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외상 후 성장을 돕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헬리콥터 부모역할이 고등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패귀인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ternal and Maternal Helicopter Parenting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School Students: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Attribu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김윤서;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01-414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attribu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effect of paternal and maternal helicopter parenting on high-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total of 285 (119 male and 166 female) Korean high-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Kim, 1997), Helicopter Parenting Scale (LeMoyne & Buchanan, 2011), Attribution Questionnaire (Weiner, 1979),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 Form (Betz et al., 1996).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v4.2) Model 6. The results revealed no correlations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academic failure attribution. However, higher paternal and maternal helicopter parenting were found to indirectly reduce high-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lower internal academic success attribution (effort and ability) and higher external academic success attribution (task difficulty and luck), which reduc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se findings can be employed to develop mor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comprising career guidance for adolescents, which emphasizes the negative effect of helicopter parenting. This study expands the research field, as previous findings on helicopter parenting mostly focus on college students.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가 아동의 놀이형태발달에 미치는 영향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Emotional-Behavioral Problem on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Children's Play)

  • 정길정;배윤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5-37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children'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patterns. For this study, we observed 81 5-year-old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in Southern Chungcheon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mothers felt more parenting stress, the children showed more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his means that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Second, aggression, oppositional defiance, and attention deficit among the children'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frequency of non-play and parallel play, while they had a significant, affirmative effect on the frequency of group play.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ffect the development of child's play pattern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 PDF

아동의 개인 및 가족변인과 교실의 심리사회적 환경변인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 (The Individual, Family and Classroom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Self-Control)

  • 이경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33-845
    • /
    • 2004
  • This study examines different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self-control. For an analysis, locus of control, perceived compet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all included in individual variables. For family variables, mothers' parenting and patents' marriage conflict were examined. For classroom psycho-social environment,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hip, class involvement, and teachers' supervision were used. The sample consisted of 548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locus of control, perceived compet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self-control. Second, mothers' affective parent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self-control. However,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and parents' marriage 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t. Third, teacher support, peer relationship, and class involv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self-control. In addition, teacher supervis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irls' self-control. Fourth, class involvement, locus of control, and academic competence wer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boys' self-control. On the other hand, Class involvement,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competence, teacher's supervision, and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wer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girl's self-control.

  • PDF

유아의 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ir Interactive Peer Play, an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 박영심;심성경;변길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89-110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ir interactive peer play, an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455 children aged 3~5 and their mothers of day care centers in the cities of Kimje and Iksan. To measur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the rating scale for parents and teachers(Koo, 2010) adapting DECA(1999) was used. And the interactive peer play scale of Choi and Shin(2008) adapting PIPPS(1998) and the Parental Protectiveness of Do and Falbo(1999) was used.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gener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interactive peer play of young children.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gets higher as interactive peer play of young children gets higher. Second, there is low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gets higher as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s get low.

만성질환아동 부모의 부모되기 경험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with Chronically Ill Children)

  • 박은숙;이기형;오원옥;임여진;조은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72-28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scribe the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in Korea. Methods: A conventional contents analysis was used for the study. Twelve mo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orse and Field method. Results: Four categories, 10 subcategories and 42 codes emerged from the data on the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The four categories were 'Sacrifice and full-engagement within self-mortification', 'Re-normalization of collapsed daily life', 'Paving a new way for independence' and 'Growing together of myself and the family'. Conclusion: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experienced not only negative aspects such as a confusion but also re-normalization and growing together. Based on the result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oward positive parenting for these parents and their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es.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mart Phone Addiction Model for Adolescent)

  • 이종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33-44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심화시키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4년 자료를 가지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의 요인으로 스마트폰 중독 모형을 구성하고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로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임상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