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le localiz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8초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유방의 중재적시술: 조직생검술 및 침위치결정술 (MRI-Guided Breast Intervention: Biopsy and Needle Localization)

  • 박가은;이정민;강봉주;김성헌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345-360
    • /
    • 2023
  • 국내에 자기공명영상의 보급의 증가와 함께 유방 자기공명영상의 건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 및 침위치결정술과 같은 유방의 중재적 시술은 초음파 유도하 시술이나 입체정위생검술에 비해 많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유방 자기공명영상은 다른 유방 영상 검사들에 비해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 검사법이지만 그 특이도는 제한되는 검사법이기 때문에, 자기공명영상에서만 발견된 병변들은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조직생검술이나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침위치결정술을 통한 수술적 절제를 통하여 병리적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종설에서는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유방의 중재적 시술들의 적응증, 시술 방법, 시술 과정에서의 여러 고려 사항 및 제한점들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Percutaneous Electromagnetic Transthoracic Nodule Localization for Ground Glass Nodules

  • Song, Seung Hwan;Lee, Hyun Soo;Moon, Duk Hwan;Lee, Sungs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6호
    • /
    • pp.494-499
    • /
    • 2021
  • Background: A recent increase in the incidental detection of ground glass nodules (GGNs) has created a need for improved diagnostic accuracy in screening for malignancies. However, surgical diagnosis remains challenging, especially via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Herein, we present the efficacy of a novel electrical navigation system for perioperative percutaneous transthoracic nodule localization. Methods: Eighteen patients with GGNs who underwent electromagnetic navigated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localization (ETTNL), followed by 1-stage diagnostic wedge resections via VAT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0,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on patient characteristics, nodules, procedures, and pathological diagnoses were collected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Of the 18 nodules, 17 were successfully localized. Nine nodules were pure GGNs, and the remaining 9 were part-solid GGNs. The median nodule size was 9.0 mm (range, 4.0-20.0 mm); and the median depth from the visceral pleura was 5.2 mm (range, 0.0-14.4 mm). The median procedure time was 10 minutes (range, 7-20 minutes). The final pathologic results showed benign lesions in 3 cases and malignant lesions in 15 cases. Conclusion: Perioperative ETTNL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localization of GGNs, providing guidance for a 1-stage VATS procedure.

어린 아동의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발생한 주사바늘 파절 : 증례보고 (Fracture of a Dental Needle dur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n a Young Child: A Case Report)

  • 이한별;김민근;박호원;서현우;이주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0-326
    • /
    • 2016
  • 국소마취 중 갑작스러운 움직임은 주사바늘 파절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예기치 못한 움직임을 보이기 쉬운 아동에게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주사바늘 파절이 발생한 경우 합병증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의료진의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며, 환자 및 보호자에게 충분한 상황 설명과 진심 어린 유감표명을 하는 등의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의료진은 사고 예방에 필요한 주의사항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증례는 의식하 진정하에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주사바늘이 파절된 어린 아동에 대한 내용이다. 구강 내 존재하는 주사바늘 파절편의 위치를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전신마취 하에 파절편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며, 주사바늘 파절 원인에 대한 고찰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여 주사바늘 파절 예방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전산화 단층촬영 투시하 성상 신경절의 경피적 고주파 열 응고술 -증례 보고- (Computerized Tomography-guided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mocoagulation of Stellate Ganglion -A case report-)

  • 정준석;최락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1호
    • /
    • pp.128-131
    • /
    • 1999
  • Stellate ganglion block is a well establishe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certain pain syndromes (e.g., chronic regional pain syndrome, facial pain) in the cervicothoracic region and upper extremity. The stellate ganglion resides between the C7 transverse process and the head of the first rib. Anesthetic injections for the stellate ganglion block are typically made at the level of the transverse process of either the C6 or C7 vertebrae to avoid the pleura, vessels, and nerve roots. Method of positioning the needle tip directly at the ganglion has been described, but are problematic because of the risk of injury to or injection into adjacent structure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exact anatomic position of the stellate ganglion when permanent blockade is required by means of radiofrequency thermocoagulation. Whereas fluroscopy shows only bony feature, computerized tomography also images nerves, vessels, and lung, allowing accruate needle placement. We report a case of the percutaneous radiofrequency thermocoagulation of the stellate ganglion after computerized tomography-guided localization.

  • PDF

An Alternative Approach to Needle Placement in Cervicothoracic Epidural Injections

  • Park, Seung-Yong;Leem, Jung-Gil;Jung, Sung-Hwan;Kim, Young-Ki;Koh, Won-Uk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5권3호
    • /
    • pp.183-187
    • /
    • 2012
  • The use of fluoroscopy guidance together with the loss of resistance technique during epidural injections has been advocated lately; moreover, epidural injections in the absence of fluoroscopic guidance have a high rate of inaccurate needle-tip placement during the injections. However, the approach to the lower cervical and upper thoracic epidural space may be challenging due to its obscure lateral fluoroscopic views from overlying normal tissue structures. In this case, we report an alternative oblique C-arm fluoroscopy guided view approach to supplement the standard anterior-posterior and lateral fluoroscopic views to facilitate successful needle placement and precise anatomical localization of the epidural space.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결절 환자에서의 새로운 방침 (New Paradigm for Patients with Pulmonary Nodule Expecting Thoracoscopic Resection)

  • 조민섭;심성보;왕영필;조건현;서종희;곽문섭;이선희;김학희;문석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48-753
    • /
    • 2003
  • 배경: 폐결절은 경우에 따른 특히 경피침생검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검사 후 병리세포검사로 확진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부분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요한다. 그러나 결절의 크기나 작거나 폐실질 깊숙이 위치한 경우에는 술 전 또는 술 중에 결절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등이 이용된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결절을 경피침생검 시 방사선 비투과성 백금조각(이하 결절표시기)을 생검 전 또는 생검 후에 결절 내 또는 결절주위에 위치하여 병리조직검사에서 확진이 어려운 경우에 흉강경수술 시 재차 술 전 폐결절표시 과정을 피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부 CT검사하여 경피침생검과정에 생검침을 결절내부 또는 결절인접부위에 위치한 경우에 결절 표시기를 생검침내부에 위치한 후 스타일렛을 이용하여 결절표시를 서서히 밀어 넣어 결절 내 혹은 인접부위에 위치한 것을 CT검사에서 확인한 다음 결절의 생검검사를 한다. 결과: 1999년 5월부터 2000년 5월 사이에 26명의 환자에서 28 결절을 대상으로 1예를 제외하고 모두에서 결절표시기를 결절 내 혹은 주위에 위치하였다. 이중 7건은 생검을 하지 않고 흉강경수술을 위하여 결절표시기를 위치하였고, 21건의 흉강경수술 중 18예(85%)에서 결절의 위치파악을 파악하거나 결절절제시 충분한 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수술 중 이동용 방사선 투시기를 이용하였다. 결론: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결절에 대한 저자들의 방침이 흉부 CT검사하 폐결절 위치 표시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의료비,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한다.

실시간 광유도 성대주입술의 개발과 임상적 적용 (Development and Clinical Application of Real-Time Light-Guided Vocal Fold Injection)

  • 허진;차원재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2022
  • Vocal fold injection (VFI) is widely accepted as a first line treatment in treating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and other vocal fold diseases. Although VFI is advantageous for its minimal invasiveness and efficiency, the invisibility of the needle tip remains an essential handicap in precise localization. Real-time light-guided vocal fold injection (RL-VFI) is a novel technique that was developed under the concept of performing simultaneous injection with precise placement of the needle tip under light guidance. RL-VFI has confirmed its possibility of technical implementation and the feasibility in injecting the needle from various directions through ex vivo animal studies. Further in vivo animal study has approved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the procedure when various transcutaneous approaches were applied. Currently, RL-VFI device is authorized for clinical use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South Korea and is clinically applied to patients with safe and favorable outcome. Several clinical studies are currently under process to approve the safety and the efficiency of RL-VFI. RL-VFI is expected to improve the complication rate and the functional outcome of voice. Furthermore, it will support laryngologists in overcoming the steep learning curve by its intuitive guidance.

유방의 당원성 투명세포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2예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Glycogen-Rich Clear Cell Carcinoma of the Breast - A Report of 2 Cases -)

  • 김완섭;이원미;홍은경;박문향;이중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3-219
    • /
    • 1998
  • Glycogen-rich clear ceil carcinoma of the breast is an unusual variant of carcinoma with a recorded incidence of $1.4{\sim}3%$ of breast carcinomas. The cytologic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well described. We report two cases of glycogen-rich clear cell carcinoma with corresponding fine needle aspiration(FNA) cytologic findings and compare them to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and other clear ceil malignancies with a review of literature. One was a 62-year-old woman exhibiting a palpable mass of the right breast. The smears showed atypical tight cell clusters and individually scattered single cells containing leanly or clear abundant cytoplasm with well defined cytoplasmic margins. Mild to moderate nuclear pleomorphism and a prominent nucleolus were present. The other was a 42-year-old woman who was admitted with a right breast mass. The smears showed moderately cellular, tightly cohesive tumor cells. The cytoplasmic outline was generally well demarcated. The tumor cells Contained foamy to clear abundant cytoplasm with large and small vacuoles. The nuclear pleomorphism was marked. Both tumors resected by modified radical mastectomy, were diagnosed as glycogen-rich clear cell carcinoma. Histologically, the clear cell nature of tumor cells were not characteristic enough to predict this type of the tumor. Some cytologic features can be distinguished other clear cell breast cancer from glycogen-rich carcinoma. Recognition of these unusual patterns in a breast FNAC should raise the suspicion of a clear cell carcinoma including glycogen-rich subtype. Cytological localization of glycogen using PAS and D-PAS staining may permit the correct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this tumor.

  • PDF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에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의 발현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Galectin-3, Cytokeratin 19 and HBME-1 in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 김진환;이상숙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37
    • /
    • 2007
  • 갑상선 미세유두암종은 영상 기술의 발달로 더욱 그 빈도가 높아질 것이 예상되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으로 진단 받은 37예를 대상으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 분자 표지자들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결과 cytokeratin 19에서 1예를 제외하고 모든 예에서 갑상선 종양 세포에서 발현하였다. Galectin-3는 갑상선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 강하게 염색되었으며 cytokeratin 19는 세포질과 세포막을 따라 강하게 염색되었다. HBME-1은 종양 세포의 세포막에 강하게 염색되었으나 3가지 분자 표지자 모두 정상 갑상선 조직에서는 염색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은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함께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을 진단함에 있어 보조적 도움이 되는 표지자로 생각된다.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질 및 간유리 병변에서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 후 시행한 흉강경 폐절제술의 유용성 (Computed Tomography-guided Localization with a Hook-wire Followed by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for Small Intrapulmonary and Ground Glass Opacity Lesions)

  • 강필제;김용희;박승일;김동관;송재우;도경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24-629
    • /
    • 2009
  • 배경: 패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은 깊이나 크기에 따라서 조직학적 진단이 기존의 방법으로는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에서 흉강경을 통한 육안 확인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거나 경피 세침 흡인생검술이 부적절하였던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에서 수슬 전에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CT-guided localization with hook wire)을 시행한 후 흉강경 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8월부터 2008년 3월까지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에서 폐실질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을 보인 18명 환자(남자 13명, 나이 중앙값 56세)를 대상으로 수술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 폐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 위치의 정확도, 개흉술 전환 정도, 수술 시간, 수술 후 합병증, 폐병변의 조직학적 진단의 정확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18명의 환자가 18개의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에 대해 흉강경 폐절제술을 받았다. 수술 전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은 전례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으나, 흉강경 소견에서 wire가 이탈된 경우가 1예 있었다. 수술 전 CT에서 폐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3{\sim}15\;mm$)였고, 내장 흉막에서 폐병변까지 깊이의 중앙값은 5.5 mm ($1{\sim}30\;mm$)였다.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대기 시간의 중앙값은 34.5분($10{\sim}226$분)이었다. 폐병변에 대한 흉강경 폐절제술의 수술 시간은 43.5분($26{\sim}83$분)이었다.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과 관련된 합병증으로 2예에서 기흉이 발생하였으나, 임상적으로 유의한 증상은 없었다. 폐병변의 절제 단면은 모든 경우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으며, 조직학적 진단은 원발성 폐암 8예, 전이성 폐암 3예, 비특이적 염증성 소견 3예, 폐내 림프절 2예, 기타 2예 등이었으며 조직학적 진단을 하지 못한 경우는 얼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을 위하여 시행한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한 위치 선정 후 시행한 흉강경 폐절제술은, 낮은 합병증 발생률, 짧은 수술 시간 및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율을 보였다. 따라서 경피 세침 흡인생검술로 정확한 진단이 어렵거나 흉강경을 통한 육안 확인이 불가능한 폐실질 내의 소결절 및 간유리 병변을 조직학적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흉부컴퓨터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이용하여 위치를 선정한 후 흉강경 폐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