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ck strength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1초

우수한 대전방지 및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다공성 산화티탄-산화망간 세라믹스 제조 (Fabrication of porous titanium oxide-manganese oxide ceramics with enhanced anti-static and mechanical properties)

  • 유동수;황광택;김종영;정종열;백승우;심우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63-270
    • /
    • 2018
  • 최근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장비용 세라믹소재로 대전방지 기능을 가지는 다공성 세라믹스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산화티탄-산화망간 기지상에 산화티탄 나노분말을 첨가하여 부분소결함으로써 $10^8-10^{10}$ ohm의 표면저항을 가지고 향상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다공성 세라믹스를 제조하였다. 나노 크기의 산화티탄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입자 사이의 목 형성을 강화하였고, 그 결과 꺽임강도를 170 MPa(@기공률 15 %), 110 MPa(@기공률 31 %) 수준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는 P-25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꺽임강도(80 MPa @ 기공률 26 %)에 비하여 주목할만큼 증가한 값으로 단순한 기공률 감소가 아닌 목 형성등 미세구조 변화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개발 세라믹스를 적용한 OLED 유연소자 제조공정용 공기부상용 모듈을 제작하여 진공척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생체 역학적 분석에 의한 Compression Hip Screw의 디자인 요소에 대한 평가 (Mechanical Response of Changes in Design of Compression Hip Screws with Biomechanical Analysis)

  • 문수정;이희성;권순영;이성재;안세영;이훈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2-1175
    • /
    • 2004
  • At present, CHS(Compression Hip Screw) is one of the best prosthesis for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here is nothing to evaluate the CHS itself wit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mechanical tests. They have same ways of the experimental test of the ASTM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xisting CHS and the new CHS which have transformational design factors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and mechanical tests. The mechanical tests are divided into compression tests and fatigue test for evaluating the failure load, strength and fatigue life. This finite element method is same as the experimental test of the ASTM standards. Under 300N of compression load at the lag screw head. There are less differences between Group (5H, basic type) and Group which has 8 screw holes. However, there are lots of big differences between Group and Group which is reinforced about thickness of the neck range. Moreover, the comparison of Group and Group shows similar tendency of the comparison of Group and Group . The Group is reinforced the neck range from Group. After the experimental tests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most effective design factor of the compression hip screws is the reinforcement of the thickness, even though, there are lots of design factors. Moreover, to unite the lag screw with the plate and to analyze by static analysis, the result of this method can be used with experimental test or instead of it.

  • PDF

자장의 세기에 따른 유방 확장기 주위의 인공물 평가 (Evaluation of artifacts around the breast expander according to magnetic field strength)

  • 정동일;김재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144-1149
    • /
    • 2020
  • 유방조직확장기의 Magnetic Valve는 MRI 검사 시 영상 인공물이 발생하여 MRI 검사가 제한적이다. MRI 검사가 필요한 유방조직확장기 삽입 환자에 대해 영상 인공물이 진단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자체 제작한 팬텀과 실제 임상 조건을 이용하여 영상 인공물 측정을 실시하였다. 영상 인공물은 1.5 Tesla와 3.0 Tesla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측정되었으며, C-spine, L-spine 검사 시 영상 인공물의 영향이 T-spine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유방암 전이로 인한 MRI 검사가 꼭 필요한 경우 주로 1.5 Tesla에서 Head & Neck 검사와 L-spine 아래 부위를 검사 할 수 있으나 일부 시퀀스에서는 영상 인공물로 인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유방조직확장기 삽입 환자의 MRI 검사는 안전성 측면에서는 3.0T는 피하고 1.5T에서 조건부로 가능하다.

LPG 용기용 밸브의 체결안전성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E Analysis on the Screwed Safety of a Valve for a LPG Bombe)

  • 김청균;오경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79-84
    • /
    • 2007
  • LPG 용기에 장착된 네크링의 암나사와 개폐밸브의 수나사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법선응력과 von Mises 응력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여 밸브나사의 체결안전성에 관련된 강도 및 가스누출 안전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LPG 봄베의 가스충전압력 $8{\sim}9kg/cm^2$은 밸브와 LP가스 용기의 체결작용과 밀봉작용을 담당하는 나사부에 가압된다. 나사 선단부에서 발생한 스크래치 마모나 칩핑 손상은 나사의 접촉높이를 실질적으로 낮추게 되어 나선부의 강도를 떨어뜨리고, LP가스의 누설을 조장하게 된다. 체결 나선부의 손상은 밸브 나사부의 이빨 강도를 약화시키고, LP가스의 누출에 영향을 미친다. FEM 해석결과에 의하면, 나사 선단부의 마모 및 칩핑에 의한 높이 손상은 이론적으로 볼 때 LP가스의 누출과 밸브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황동밸브 나사 높이의 손상정도가 밸브의 임계강도를 넘어서게 되면, 나사는 밸브와 LP가스 봄베를 더 이상 체결하지 못하게 되어 압력용기는 갑자기 파손될 수도 있다.

  • PDF

안전헬멧의 응력 및 변형거동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Stress and Deformation Behaviors of a Safety Helmet)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2
    • /
    • 2009
  • 본 본문에서는 헬멧의 정상부에 별도로 보강뼈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헬멧의 두께를 변수로 헬멧 구조물에 걸리는 응력과 변형거동 특성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였다. 헬멧은 현장 작업자의 안전성과 충격에너지 흡수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하고, 헬멧을 오랫동안 착용해도 불편함이 없어야 하며, 또한 머리와 목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FEM 해석결과에 의하면, 외부의 충격력이 헬멧의 꼭대기에 가해졌을 때 헬멧에 작용하는 최대응력과 최대변형은 하중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발생하고, 최대응력은 헬멧모체 구조물의 초기파손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멧의 두께를 4mm에서 2mm로 줄이면, 충격에너지 흡수율은 급격하게 증가하지만 헬멧에 작용하는 최대응력은 열가소성 소재의 인장강도 54.3MPa을 많이 초과하므로 파손되었다할 수 있다. 따라서 헬멧의 강도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헬멧의 정상부에 보강뼈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헬멧모체 구조물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 PDF

Antiosteoporotic activity of ‘Dae-Bo-Won-Chun’ in the ovariectomized rats

  • Chae, Han-Jung;Kang, Jang-Sook;Kim, Jong-Hwan;Kim, Chul-Won;Yoo, Sim-Keun;Choi, Bom;Kim, Hyung-Min;Shin, Tae-Yong;Kim, Hyung-Ryo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1권1호
    • /
    • pp.97-106
    • /
    • 2000
  • The preventive effect of herbal formulation, ‘Dae-Bo-Won-Chun’(DBWC), on the progress of bone loss induced by ovariectomy (OVX) was studied in rats. From light microseopic analyses, a porous or erosive appearance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rabecular bone of tibia in ovariectomized rats. Whereas those of the same bone in sham rats were composed of fine particles. The trabecular bone area and trabecular thickness in ovariectomized rats decreased by 50% from those in sham-operated rats, these decreases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administration of DBWC at concentration of 10mg/kg per day for 7 weeks. The mechanical strength in femur neck was decreased by ovariectomy, and this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administration of DBWC. Serum phosphorus, alkaline phosphatase, and thyroxine levels in ovariectomized rat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sham-operated rats, and increases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the administration of DBWC.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DBWC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bone loss induced by ovariectomy in rats.

  • PDF

지대주 각도와 연결방식이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utment angulation and type of connection on the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abutments)

  • 김호성;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17
    • /
    • 2017
  • 목적: 내부 연결형과 외부 연결형의 임플란트에서 직선형과 경사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를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내부육각 연결형 임플란트 20개와 외부육각 연결형 임플란트 20개에, 기성 직선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와, $17^{\circ}$ 경사형 지르코니아 지대주를 10개씩 체결하였다. 시편은 연결 방식과 지대주 각도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내부 연결형/ 직선형 지대주, INS군; 내부 연결형/ 경사형 지대주, INA 군; 외부 연결형/ 직선형 지대주, EXS 군; 외부 연결형/ 경사형 지대주, EXA 군. 모든 시편은 만능시험기에서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30^{\circ}$ 하중을 가했다. 지대주의 파절강도를 측정하고, 2-way ANOVA와 independent t-test로 통계처리 하였다(${\alpha}=.05$). 결과: 각 군의 평균파절강도는 다음과 같다: INS군, 955.91 N; INA군, 933.65 N; EXS군, 1267.20 N; EXA군, 1405.93 N. 외부 연결형이 내부 연결형에 비해 파절강도가 높았다(P < .001). 내부연결형(P = .747)과 외부 연결형(P = .222)에서 지대주 각도에 따른 파절강도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내부 연결형 지대주는 육각 부위에서 수평 파절이 일어난 반면, 외부 연결형 지대주는 설측 치경부에서 파절되었다. 결론: 외부 연결형 지르코니아 지대주가 내부 연결형 지대주에 비해 파절 강도가 높았고, 직선형과 경사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는 차이가 없었다.

두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선량 균일도 향상을 위한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의 개발 (Development of a Thermoplastic Oral Compensator for Improving Dose Uniformity in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최준용;원영진;박지연;김종원;문봉기;윤형근;문수호;전종병;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4호
    • /
    • pp.269-278
    • /
    • 2012
  • 두경부암 방사선치료 시 공동 경계면 및 주변 치료 부위의 선량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조직 등가의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를 개발하였다. Thermoplastic의 유용성 평가를 위해, 기존에 사용해 오던 치과용 인상재료인 paraffin, alginate, 그리고 putty로 제작한 각 구강 보상체의 물성 및 선량 분포 향상도를 비교하였다. 물성 평가에는 강도 평가(압축 실험, 낙하 실험)와 자연변형도(시간에 따른 체적 변화)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개발한 선량 검증용 팬톰에 삽입한 유리선량계와 Gafchromic EBT2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선량, 공동 경계면 선량 및 빔 측면도를 측정하여 전달 선량을 평가하였다. 두 달간 각 구강 보상체의 자연변형도 평가하였을 때, alginate는 수분증발로 최대 80% 체적 변화를 보였으나, thermoplastic을 포함한 나머지 조직 등가 물질은 체적 변화가 3% 미만으로 나타났다. 강도 평가 중 5회 반복한 1.5 m 높이의 자유 낙하실험에서 paraffin은 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되었으나, thermoplastic은 낙하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압축 강도 실험에서도 paraffin에 비하여 8배 이상의 높은 힘에서도 파손되지 않았다.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선량 검증 결과, 1문 조사 시 조직등가[약 80 HU (Hounsfield Unit)]의 thermoplastic은 동일한 처방 선량 전달 시 약 1,000 HU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putty에 비해 4% 낮은 출력계수(monitor unit) 전달로 약 4.9%의 낮은 표면 선량을 전달하였다. 또한 빔 입사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구강 통과 후 경계면의 빔 측면도에서 선량 균일도 평가를 위해 측정한 조사영역 편평도는 air, thermoplastic, putty에서 각각 11.41, 3.98, 4.30으로 나타났다. Thermoplastic 구강 보상체는 조직 등가 물질로 기존에 사용해오던 구강 보상체에 비하여 강도가 높고 물질 변형 확률이 적으며, 구강을 포함을 경계면 및 주변 부위에 균일한 선량 분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처방 선량 전달 및 피부 선량 감소가 가능하다.

거동불편 노인의 가족관계와 의.식생활에 관한 연구 -(제1보) 편마비 노인의 운동능력 특성과 의생활- (Studies on Family Caregiving, Clothing and Nutrition of Disabled Elderly -(Part I) A Study on the Motor Ability Traits of the Hemiplegic Aged and their Clothing-)

  • 김순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34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roblems which occured between clothes and motor ability traits of the hemiplegic aged. The samples were 32 hemiplegic aged men and were compared with 43 healthy aged men. Motor ability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by ROM test, muscle power test and finger function test(grip strength, hand's coordination, lateral pinch, 3pt. pinch). Design of the clothes consisted of 25 variables and the analysis of dressing and undressing motion consist of 10 motions of dressing and undressing dress shirts and 8 motions of trous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OM and muscle power and finger function of the hemiplegic aged(P<.001).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mal side's finger function of the hemiplegic aged and that of the healthy group(P<.001). 3. The designs of clothes such as tutle neck line, long sleeve, button cuffs, fastening lace, open zipper and belt of trousers gave much difficulty to the hemiplegic when dressing and undressing. 4. The most difficult motion of dressing and undressing was fastening when dressing both dress shirts and trousers. 5. There were part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sign of clothes and ROM, muscle power, finger function of hemiplegic aged man. 6. There were part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difficulty in dressing and undressing motions and ROM, muscle power, finger function of hemiplegic aged man.

  • PDF

Anti-osteoporotic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 Chae Han Jung;Keum Kyung Soo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325-1329
    • /
    • 2003
  • The preventive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SMEs) on the progress of bone loss induced by ovariectomy (OVX) was studied in rats. We measured body weight and bone histomorphometry in sham, OVX or SMEs-administered OVX rats. From light microscopic analyses, a porous or erosive appearances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rabecular bone of tibia in OVX rats, whereas those of the same bone in sham rats and in SMEs-administered rats were composed of fine particles. The trabecular bone area and trabecular thickness in OVX rats decreased by 50% from those in sham rats, these decreases were completely inhibited by administration of SMEs for 7 weeks.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strength in femur neck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the treatment of SMEs for 7 weeks. In OVX rats, free T3 was normal in all cases, whereas free T4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VX and SMEs-administered rats in T3 level, we hav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T4 level.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SMEs a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bone loss induced by OVX in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