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e reserv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비무장지대(DMZ)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자연보호지역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and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 조도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272-287
    • /
    • 2019
  • 엄밀한 의미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는 한국군사정전협정에 의해서 설정된 폭 4km, 길이 248km의 좁은 띠로 이루어진 육상지역으로서 서쪽으로는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장단반도의 임진강 하구로부터 시작해서 동쪽으로는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의 동해안까지 이른다. 그러나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민통선지역(민북지역)과 한강 하구와 서해안의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도 어느 정도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와 유사하므로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을 합쳐 일반적으로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계"라고 부르고 있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식물상은 총 1,864종류로 파악되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관속식물 종류의 약 42%에 해당한다.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 식물상, 동물상은 수많은 지뢰와 출입의 제약 때문에 정밀한 조사가 거의 불가능하다. 2001년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경의선 남북 연결 철도 건설 구간의 비무장지대 내부 식생을 조사한 결과 산림 식생은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주로 우점하는 2차림으로서 구조가 매우 단순하였고 비무장지대의 나머지 반은 과거의 묵논에 형성된 억새, 물억새, 달뿌리풀 등의 장경초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비무장지대의 대부분이 원시림으로 덮여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은 이와 같이 군사적인 활동에 기인한 빈번한 산불로 대부분 구조가 단순한 2차 천이 초기의 산림이거나 과거의 농경지에 형성된 묵논 습지 및 초지로 되어 있다. 비무장지대의 법적 보호 장치로는 통일 후 2년 동안만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환경부의 자연유보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비무장지대의 보전을 위해서는 천연보호구역, 명승, 국립공원 등 국내법에 따르는 자연보호지역 지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국제적인 협력을 얻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유네스코 세계유산, 람사르 국제습지의 지정에 비무장지대가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무장지대의 세계유산 신청 시에는 지난 60여 년간 산불에 의해서 2차림과 묵논 습지가 유지되어온 독특한 생태적 경관적 가치를 내세울 수 있다. 아무런 자연 보전 대책 없이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비무장지대 생태계는 순식간에 6.25전쟁 직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통일 후에도 비무장지대 생태계를 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뢰 존치, 철조망 존치, 도로와 철도의 터널 및 교량화, 산불 유지 등의 대책이 논의되고 준비되어야 한다.

중앙은행 적립금의 운용에 관한 공공선택이론적 연구 - 61개국 자료를 이용한 실험적 접근 - (A Public Choice Study on the Use of the Central Bank's Reserved Profits: An Experimental Approach Through 61 Countries' Data)

  • 김인배;김일중;권윤섭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6권2호
    • /
    • pp.209-247
    • /
    • 2004
  • 최근 국내에서는 "특별회계 및 기금 정비방안"에 관한 공청회가 열리는 등 공공기관에 의한 기금 및 적립금의 목적과 운용 행태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경제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중앙은행의 적립금은 별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다분히 실험적 연구의 성격을 띤 본 논문은 61개국 자료를 이용하여 각국 중앙은행이 내부 유보한 적립금이 통화정책 당국의 재량권확대 유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통화정책에 있어서 통화당국 관료의 재량권 여지가 큰 중앙은행 대출이 적립금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한국의 경우, 이미 김인배 외(2001)에서 중앙은행 적립금이 중앙은행 대출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던바, 이를 국제자료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중앙은행 적립금의 성격과 의미를 재고하며 동시에 가설의 일반화를 시도한다.

  • PDF

Impacts of Close-to-nature Management Technology on the Korean Pine Soil Chemical Properties in Northeast China

  • Wu, Yao;Qin, Kailun;Zhang, Jinfu;Li, Fengr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300-306
    • /
    • 2013
  • Based on the guiding ideology of "Close-to-nature forestry",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forest which was early done by canopy gap control were analyzed of Liangshui nature reserve in northeastern Chin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rture of forestry crevice diaphanous tended to improve the soil nutrient content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il nutrients existed among different levels of soil for the same forest type of Korean pine. At 0< $H{\leq}20$ cm layer, the content of available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vailable potassium,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in artificial pure Korean pine forest are 640.28 $mg{\cdot}kg^{-1}$, 7.54 $mg{\cdot}kg^{-1}$, 275.91 $mg{\cdot}kg^{-1}$, 1.114% and 0.075%, they all higher than the other kinds of forests and for average 1.1 times, 1.4 times, 1.3 times, 1.6 times and 1.2 times. From the layer of $0<H{\leq}20$ cm to 20 cm < $H{\leq}40$ cm, soil nutrient indicators showed various degrees of decreasing in which organic matter had the greatest decline, decreasing by 170.64% while PH had the lowest decline, decreasing by 4.66%.

점봉산 천연보호림의 토양과 낙엽에서의 토양미소절지동물상 (Soil Microarthropod Fauna at Mt. Jumbong, Nature Researve Area)

  • 강방훈;이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29-337
    • /
    • 1997
  • Study of population density and biomass of soil microarthropods in soil, herbaceous leaf litter and wood leaf litter was conducted at 4 sites with different flora in Mt. Jumbong, a nature reserve area, in Korea from Aug. 1994 to May 1996. Total 47, 849 individuals of soil microarthropods in soil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to 6 different classes, and 16 orders. The composition, densities, and dominant group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different among 4 sampling sites. Collembola was the most abundant group with 50.7% at South-facing slope and 50.6% at the North-facing slope. But Acari was the most abundant group with 49.8% at Altitude 900m site and 47.7% at Altitude 1100m site. Two group ranged 87-95% of total individuals. A/C ratio was less than 1.0 at 4 sampling sites during the all sampling seasons. As a result of biomass evaluation, rato of Acari was decreased but ratio of Diplopoda, coleoptera, Araneae, Diptera and Chilopoda was increased. About 70% of total orders and densities were found in less than 5cm soil depth. The composition, densities, and dominant group of soil microarthropods were different among soil, herbaceous litter and wood litter. Collembola was the most abundant group in herbaceous and wood litter. A/C ratio was less than 1.0 in litter during the sampling seasons. As a result of biomass evaluation in litter, ration of Araneae and Collembola was very high, but ratio of Acari was low.

  • PDF

전압안정도를 고려한 확률론적 도달전력 산정에 관한 연구 (Probabilistic Arrival Power Evaluation considering Voltage Stability)

  • 문승필;장병훈;이재걸;최재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8호
    • /
    • pp.1366-1373
    • /
    • 2010
  • Purpose of the electric power system planning and operation is to supply the electric energy to customers continuously and economically. With the mutual exclusive laws of nature between reliability and economic, finding the meeting point is very important but not easy. Commonly the probabilistic reliability indices of the electric power systems are represented with negatively. And the effectiveness of FACTS on the probabilistic reliability could not be reflected with common methods. In this paper, a method to evaluate the probabilistic arrival power at each load point is presented. With this new proposed method, probabilistic reserve margin at load points can be calculated and which can be used with positive reliability index also. Using the P-V analysis, the voltage stability is considered in reliability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be useful expecially in reliability evaluation of electric power system which has voltage restriction.

Fulvifomes nonggangensis and F. tubogeneratus (Hymenochaetales, Basidiomycota): Two New Species from Southern Chin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s

  • Zheng, Hai-Fu;Huang, Fu-Chang;Liu, Bin;Shao, Yuan-Yuan;Qin, Pei-Sheng
    • Mycobiology
    • /
    • 제49권3호
    • /
    • pp.213-222
    • /
    • 2021
  • Two new species of Fulvifomes are described from specimens collected in rainforests of Nonggang Nature Reserve of southern Chin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DNA (nLSU) sequences. Fulvifomes nonggangensis sp. nov. is characterized by perennial, sessile and solitary basidiocarps, applanate pileus, small cystidioles of 9.9-15.4 × 2.9-3.5 ㎛, large pores of 5-6 per mm, a dimitic hyphal system, and broadly ellipsoid basidiospores of 4.3-5.3 × 3.3-4.2 ㎛. F. tubogeneratus sp. nov. is characterized by perennial, sessile, and imbricate basidiocarps, a duplex context, small pores of 7-8 per mm, a dimitic hyphal system, and ovoid to subglobose basidiospores of 5.72 × 5.00 ㎛.

Amylosporus sulcatus sp. nov. (Russulales, Basidiomycota) from Southern China

  • Huang, Fu-Chang;Liu, Bin;Wu, Hao;Qin, Pei-Sheng;Li, Jin-Feng
    • Mycobiology
    • /
    • 제46권4호
    • /
    • pp.311-316
    • /
    • 2018
  • Amylosporus sulcatus sp. nov. is described from Nonggang Nature Reserve, southern Chin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for the new species are provided.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pileate and stipitate basidiocarps. The pileus surface is obviously concentrically and radiately sulcate and tomentum, and the pore surface is snow white. Phylogenetic analyses based on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DNA confirmed it to be a new species.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동면장소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bernating Site for the Released Asiatic Black Bear in Jirisan National Park)

  • 김보현;양두하;정우진;이배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7-355
    • /
    • 2007
  • 러시아 연해주와 북한으로부터 도입하여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한 $1{\sim}2$년생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의 동면장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4년 10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한 곰들은 나무굴, 바위굴, 곰탱이 등 3가지 유형의 동면장소에서 동면을 취하였다. 방사한 곰들의 동면장소는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는 지역으로 해발고도 평균 $923{\pm}221m$, 사면경사 평균 $25.9{\pm}7.9^{\circ}$이었으며, 동면기간은 평균 $98{\pm}9$일 이었다. 동면장소는 방사지점으로부터 평균 $2.8{\pm}2.8km$, 인근마을로부터 평균 $2.0{\pm}0.9km$, 인접 탐방로로부터 평균 $1.9{\pm}1.7km$, 자동차도로로부터 평균 $1.9{\pm}1.0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면장소의 환경특성은 방사지점의 환경요인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Methacrylate 견직물가공과 방추도개선에 대한 연구 (Studies on Methacrylate Finish with Silk Fabrics and their Anticrease)

  • 최병희;이양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5-73
    • /
    • 1986
  • 본 연구는 Methacrylate monomer를 실크직유 속에서 중합시킴으로서 실크의 방추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몇가지 시료직물을 원포와 가공포로 분류하고 세탁을 반복함에 따른 방추도, 강연도 및 세탁수축도를 조사하였다. (1)Polyester, Geogette, 직물밀도…90cm-85g/m (2)Silk, Twill, 정사견, 박지, 직물밀도…90cm-90g/m (3)Silk, Twill, 정사견, 후지, 직물밀도…90cm-200g/m (4)Silk, Satin, 정사견, 박지, 직물밀도…90cm-90g/m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가공처리한 견직물들의 방추도는 원포의 것보다 약 10%의 증가를 보였다. (2)박지견직물의 방추도가 만족할 만치 개선되었으나 후지견직물은 다소 미흡한 결과이였다. (3)강연도는 가공견직물들의 촉감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가공된 사실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 것인바 문제점이 없었다. (4)세탁후의 수축도는 모든 견직물이 polyester 보다 크게 나왔는데 그 이유는 견직물의 공장정리공정에 tenter처리로 물리적 증폭된 것을 원포로 썼기 때문으로 본다. (5)각 직물의 방추도, 강연도 및 방추도가 세탁반복에 따라 다소간 나쁜 방향으로 변하고 있는 결과를 보았는데 이것은 직유의 취화처리에도 원인이 있다고 본다. (6)결론적으로 견직물을 수지가공했다고 세탁해서 착용할 것이 아니라 역시 dry deaning을 하여 가공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상책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