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e of Science

검색결과 3,935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생의 인지 수준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 about Nature of Scienc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 방미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3호
    • /
    • pp.277-291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 about nature of scienc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Participants were six classes, 187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in Daegu. Three classes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s and the other classes to treatment groups. Control groups were provided normal instructions and treatment groups were provided instructions integrated with nature of science about chapter 'electromagnet' for 9 class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Both low-cognitive level students and high-cognitive level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s are improved in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science by the explicit instructions about nature of science. Especially, the high-cognitive level students had more improvement than the low-cognitive level students in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science by the explicit instructions about nature of sci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in the science interest sub-domain of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in curiosity and open-mindedness of the scientific attitudes sub-domain of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 PDF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위한 Nature-Study 기반 학습 (NABI: NAture-study Based Ideas)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BI(NAture-study Based Ideas) Program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 박다혜;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61-970
    • /
    • 2015
  • 이 연구는 오늘날 과학교육에서 Nature-Study를 새롭게 구현할 수 있는 NABI(NAture-study Based Ideas)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과학교육에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NABI 프로그램은 Nature-Study의 교육관점과 교육방법을 골격으로 설정한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의 기본 지침을 기반으로 1차 개발되었고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수정 보완되어 2차 개발되었다. 2차 개발된 NABI 프로그램은 24명의 D광역시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되었고 연구자는 참여관찰자료, 학습결과물, 일기의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NABI 프로그램은 이를 적용한 학생 24명과 현직 교사 7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평가되었으며 NABI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와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완성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NABI 프로그램 적용 결과, 학생들은 NABI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 대상에 호기심을 갖고 교감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학습자 중심의 학습을 실행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문학, 예술 등과 자연스러운 융합을 실현할 수 있었다.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 결과, 학생들은 NABI 프로그램을 이질적으로 느끼지 않으면서도 흥미와 지속적인 참여 의지를 가지고 있고 NABI 프로그램의 교육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NABI 프로그램이 Nature-Study의 교육관점에 적합하게 개발되었다고 판단했으며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어느 정도 현장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 최종적으로 NABI 프로그램은 '수용하기-선택하기-공통주제 선정하기-친숙해지기-관계맺기-살펴보기-도약하기-표현하기-공유하기'의 9단계로 완성되었다. Nature-Study를 오늘날 과학교육을 위해 새롭게 구현한 NABI 프로그램은 현재 과학교육이 추구하지 못하는 과학교육의 본질인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과학교육의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초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교수태도 분석 (Elementary Science-gifted Teachers' Views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on Nature of Science)

  • 임성만;정운영;양일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396-404
    • /
    • 2010
  • 이 연구는 전국 초등학교의 영재학급이나 지역교육청 영재교육 센터에서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가르치고 있거나 과거에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본성에 대한 교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는 Chen(2006)이 개발한 VOSE 검사지가 이용되었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은 7개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되었으며,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태도에 대한 것은 5개 영역별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의 본성에 대해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은 대체적으로 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태도 측면에서는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해 가르치고자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과학영재 지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수태도는 높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이 교수학습과정에 반영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개연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바른 인식뿐만 아니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 전략 연구가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 PDF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및 자연에 대한 종합적 관점 조사 (Comprehensive Presuppositions Regarding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Held by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홍행화;박종원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454-469
    • /
    • 2014
  • 교사 개인의 자연 및 과학에 대한 관점은 학교교육과정에서 교육받기 이전부터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 및 일상생활 속에서의 경험 등을 통해 형성되어, 과학학습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 과학의 인과성, 그리고 자연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자연에 대한 81개의 진술문이 사용되었고, 12명의 과학교사가 각 진술문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응답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교사의 관점을 유형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그리고 자연에 대해서 교사의 관점이 크게 5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자연에 대한 관점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앞으로도 교사의 다양한 관점을 상호 연관지어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 .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한지숙;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5
    • /
    • 1997
  • 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growth of interest in how the philosophy of science can be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can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eacher and student. The 6th curriculum in Korea has also placed emphasis upo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o ensure effective school sci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eachers and students ar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To do this 45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191 students of 7 schools in Seoul are administered Nott and Wellington's questionaire(1993). This questionaire is consisted of 24 Likert Scale statements and asks questions on 5 subscales of philosophy of science :Relativism-Positivism, Inductivism-Deductivism, Contextualism-Decontextualism, Instrumentalism-Realism, Thinking science education as a Process or a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eacher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experience and gender. 3. Student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udent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schools level(middle vs high) and gender. But,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core than male students on deductivism(p<.05). 5. Teachers' and student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 PDF

학습자 특성에 따른 유사과학(Pseudo-Science)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Relationship of Characteristics as a Learner to Perception of Pseudo-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우종필;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46-5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pseudo-science in consideration to their personality traits, cognitive style, and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which might all have a great impact on their behavior and thin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9 sixth-grade school children in a small urban community in Gyeonggi province. The way they looked at pseudo-science was investigated after three kinds of traits were selected as variables, including personality traits, cognitive style, and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Four different instruments were utilized, which respectively covered personality traits, cognitive style,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perception of pseudo-sc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higher emotional stability and liveliness showed higher permeability towards pseudo-science, whil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view of pseudo-science. Second, their cognitive styl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outlook on pseudo-science. Third, as for link between awarenes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pseudo-science, the students with a poo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ho had a better understanding of it in perception of pseudo-science(p<.05).

  • PDF

과학에 관한 인식 조사 도구를 활용한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 과학의 대상과 과학의 방법을 동시에 고려한 분석 - (The Effect of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in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 Dichotomous Analysis Considering the Method of Science and the Target of Science Simultaneously)

  • 김혜경;김경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33
    • /
    • 199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do this. this study used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studied the topic by instructional program using textbook and reference book. Experimental group studied by instructional program: (1)evaluating personally one'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using Nott and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2)studying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focusing five dimensions presented in it; (3)knowing other'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4)discussing and evaluating reflectively the various aspect about it. Because the true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is not only to know about the method of science but also to know the target of science. We plan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nstruction by such dichotomous way as evaluating simultaneously the understanding about the method of science and the target of science. Therefore the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effect of instruction consisted two pairs of open-ended Questions: first pair is consisted of questions for the representation and judgement of scientific theory, second pair is consisted of questions for components and sources of scientific manipulation of the structure of scienc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by experimental group(n=75) and control group(n=77) are as follows: (1) Analysing responses about first pair of questions in dichotomous way, we identified four different patterns i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theory. And the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i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of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theory, but effective in driving out scientifically valid understanding, naturalistic realism, about scientific theory from the students having realistic aspect in representation of scientific theory; (2) Analysing responses about second pair of questions in dichotomous way, we identified five different patterns in students's understanding about structure of science. And the instructional program using Nott & Wellington's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of understanding about structure of science, and effective in driving out scientifically valid understanding, dualistic-circular view or dualistic-circular view, about structure of science from the students having dualistic or dualistic aspect in components of structure of science.

  • PDF

초등 초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과 과학 교수-학습 활동과의 관련성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Leaching and Learning Context)

  • 양일호;한기갑;최현동;오창호;조현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399-41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aching practices and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Defining teachers' beliefs as a broad construct, the researcher tried to examine not only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but also the effect and reflection in science teaching practices with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how the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s reflected their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qualitative approach that included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At an urban area of Korea, five beginning elementary teacher was chosen. The cross-case and grounded theory study design were adopted as data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checked by teachers for internal valid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and revealed that these teachers' beliefs reflected a little in science teaching practices. On the occasion it was reflected, restricted merely within the narrow limits the way to teach the concepts and contents presented in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some of the obstacles that these teachers' beliefs did not reflect the science teaching practices with regards to the nature of scienc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 PDF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일기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 유형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Views on Nature of Science (NOS) Appeared i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Journals)

  • 임성만;신정윤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0-42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과학 일기를 양적·질적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이 지닌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의 특징과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하여 범주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13명이 쓴 과학 일기 112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과학의 본성 4가지 영역의 연구 개념틀을 이용하여 영역별 빈도수를 분석하였고, VNOS-C 검사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변화 양상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여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과학 일기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은 과학의 사고적 본성, 지식적 본성, STS적 본성, 탐구적 본성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서술되었으나 그 중 과학의 사고적 본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과학의 탐구적 본성이 가장 낮은 비율로 기술되었다. 과학 지식의 가변성, 경험적 증거의 중요성, 과학의 긍정적·부정적 작용에 대해서는 특히 집중적으로 언급되었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변화 양상은 '고전적 관점 유지형', '현대적 관점 유지형', '회귀형', '발전형', '혼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과학 지식의 경험적 본성' 요소는 학생에 따라 변화 양상이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 지식의 잠정성에 대해서는 현대적 관점을 여러 회기 동안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