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zed species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37초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인 노랑도깨비바늘(Bidens polylepis S.F.Blake)과 비누풀(Saponaria officinalis L.) (Newly Recorded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Bidens polylepis and Saponaria officinalis)

  • 이유미;이혜정;박수현;최형선;오승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0-246
    • /
    • 2010
  • 인천광역시(영종도)와 울산광역시에서 2종류의 미기록 귀화식물을 발견하였다. Bidens polylepis S. F. Blake는 노랑도깨비바늘(신칭)로 인천광역시 운북동 운북교 부근과 울산광역시 삼남면 취서산, 상북면 샘물산장 부근에 많은 개체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속의 유사분류군들과는 설상화(ray-flower)의 크기가 큰 특징으로 구분되고, 노랑도깨비바늘속이며 설상화가 노란색인 특징에 따라 국명을 신칭 하였다. Saponaria officinalis L.는 비누풀로 인천광역시 운서동 젓개마을의 두 장소에서 귀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누풀의 암술대는 2개,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지 않으며, 잎 기부에는 부속체가 있는 특징으로 석죽과의 다른 분류군들과 구분된다.

강원도 동해안 3개 하천 하구역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Three River Estuary Areas of the East Coast, Gangwon-do)

  • 정희진;천경식;옥길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75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estuary regions, Namdaecheon, Jusucheon, and Maeupcheon, placed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441taxa, including 90 families, 277 genera, 388 species, 2 subspecies, 35 varieties, and 6 forms.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region was 271taxa of Namdaecheon, 247taxa of Jusucheon, and 285taxa of Maeupcheon, respectively. Among the investigated 441taxa, 7 Korean endemic, 5 rare plants and 37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Aquatic and hydrophyte plants were collected 41taxa, and the thinophyte and halophyte plants were investigated 22tax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9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as estimated as 13.3%.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Maeupcheon was estimated as well conserved estuary region among the investigated 3 rivers.

구 안동시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군락의 생태학적 연구 (Synecological Study of the Naturalized Plant Communities in Old-Andong City)

  • 송종석;안상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3호
    • /
    • pp.169-179
    • /
    • 1999
  •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구 안동시역에 분포하는 춘계 귀화식물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구 안동시는 분지에 주택과 상가가 밀집하고 있어서 공터의 귀화식물군락은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의 귀화식물의 전파경로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도로변 귀화식물군락을 주된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공터에 출현하는 귀화식물군락은 소수 포함하였다. 군락을 분류한 결과 6군락 2하위단위를 식별하였다: A. 털빕새귀리군락, A-a. 참새귀리하위군락, A-b. 쌀새하위군락, B. 왕포아풀군락, C. 소리쟁이군락, D. 큰달맞이꽃군락, E. 돼지풀군락, F. 묵밭소리쟁이군락. 이상의 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 분류군은 31과 86속 114종 13변종이고, 이 중 귀화식물의 분류군은 8과 21속 25종 1변종이었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서열법에 따라 서열화 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조작에 의해 얻어진 식생구분에 따라 분리되었다. 또 종간결합 관계도 검토하였다. 한편, 각 군락별 귀화율은 교통량이 비교적 많고 산업도로적 성격이 강한 도로변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교통량이 비교적 적고 전원적인 도로변에서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처럼 귀화율의 계산 결과는 귀화식물의 번무와 인간에 의한 환경압과의 관계을 해석하는데 유효하였다. 한편 춘계와 추계 사이에 군락과 귀화율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봄에 출현한 많은 귀화식물군락이 가을에는 자생의 인가식물군락으로 대치되었으며, 귀화율은 양 계절 사이에 크게 감소하였다.이 비산화지보다 더 높은 값을 보였고, 유기물함량, 총탄소함량, 총질소함량, NH₄/sup +/-N함량은 비산화지보다 더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조사지에서 산화지의 식생천이양상은 산화 당년에 억새와 참싸리, 산화 2년째에 참싸리와 졸참나무가 우점해 있고 앞으로 새로운 교란요인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졸참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됨을 예상할 수 있다. 산불로 인해 식생이 파괴된 우, 그 이전의 상태로 회복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인 계획에 의한 더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효율적인 산화지 관리면에서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생강, 꽁치, 해파리, 쑥갓, 갈치, 연근, 마늘 등이었다. 8. 식사량을 감량하는데 대한 의견을 5점 평점법으로 조사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는 밥, 반찬의 수. 반찬의 양을 줄이는 데 대하여 높은 불만을 나타내어 평균점수 1.54-l.60이었고 여학생의 경우는 반찬의 수감량에 평균 1.79를 나타내 감량에 높은 불만을 나타내었다. 9.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인식을 5점 평점법으로 조사한 결과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여야 한다'는 남학생이 3.94, 여학생이 4.05, '재활용이 꼭 필요하다'는 남학생이 4.18, 여학생이 4.10,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개선방안이 제시되면 적극 참여하겠다'에서는 남학생이 3.98, 여학생이 3.09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나 '평소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에서는 남학생이 3.36, 여학생이 3.09로 나타났다. 10.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을 알고 있는 경우는 남학생이 18.3%, 여학생이

  • PDF

서울시 전통문화공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 4대 고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Nationalized Plants in Traditional Cultural Spaces in Seoul - Focused on 4 Ancient Palaces and Jongmyo Shrine -)

  • 강민정;이고운;김신원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5-54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의 국가지정문화재이자 도심 속 전통문화공간인 4대궁(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고 귀화식물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분류군은 82과 201속 285종 1아종 29변종으로 총 31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덕수궁이 33분류군, 종묘가 14분류군, 경복궁이 21분류군, 창덕궁이 11분류군, 창경궁이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원산지 분석결과 북아메리카(nA)와 유럽(Eu) 그리고 유라시아(Eu-As)가 높은 분포율을 보였으며, 생활형 분석결과 목본류보다 초본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경복궁을 제외한 나머지 대상지는 다년생 비율보다 일년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도 분석결과 귀화도 3과 귀화도 5에 해당되는 귀화식물의 비율이 높았으며, 유입시기를 살펴보면 초기 정착종보다 최근 유입된 귀화식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지간의 유사도는 40% 이상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5개 대상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귀화식물의 종다양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에 따라 문화유산 식재경관 조성 및 귀화식물 관리에 기초자료로서 그 목적이 있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긴털비름(Amaranthus hybridus)과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Amaranthus hybridus and Crepis tectorum)

  • 이유미;박수현;정재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1-209
    • /
    • 2005
  • 서울 난지도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등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긴털비름(비름과)으로 이름 붙인 Amaranthus hybridus는 서울 난지도 월드컵공원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유사종인 털비름 및 가는털비름과 비교하여 개화기가 9-10월로 늦고, 잎에 털이 성기게 나고 화피편과 열매의 길이가 거의 같으며, 꽃차례가 분지하지 않고 길게 발달하는 특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나도민들레로 이름 붙인 Crepis tectorum (국화과)는 속 자체가 우리나라에 처음 확인된 종류로 강원도 평창군 진부와 월정사 입구에서 집단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분포가 확산 추세에 있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과 등심붓꽃의 분류학적 재검토 (First report of a newly naturalized Sisyrinchium micranthum and a taxonomic revision of Sisyrinchium rosulatum in Korea)

  • 신혜우;김명준;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5-300
    • /
    • 2016
  •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에서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 (Sisyrinchium micranthum Cav.)이 발견되었다. 이 종은 중남미가 원산이며 여러 나라에서 침입종으로 보고된 바 있다. 연등심붓꽃은 국내에 먼저 보고된 귀화식물인 등심붓꽃의 자매종이며 두 종 모두 Echthronema 아속에 속한다. 연등심붓꽃은 화관의 밑부분이 긴 항아리 모양, 열매와 씨가 큰 점에 의해 등심붓꽃과 구별된다. 꽃이 연보라색이어서 국명을 연등심붓 꽃이라고 신칭하였다. 등심붓꽃의 이전 학명인 S. angustifolium Mill.은 Sisyrinchium 아속에 속하는 종이며 형태적으로 등심붓꽃 (S. rosulatum)과 매우 상이하다. 등심붓꽃의 학명을 기준표본, 원기재문, 최근의 논문들을 근거로 S. angustifolium Mill. 에서 S. rosulatum E. P. Bicknell 으로 변경한다.

Floristic Study of Gyodongdo Island in Ganghwa-gun, Korea

  • Kim, Jung-Hyun;Kim, Sun-Yu;Lee, Byoung Yoon;Yoon, Chang-Young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5-131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Gyodongdo island (Ganghwa-gun). The vascular plants from 11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belong to a total of 629 taxa; 118 families, 364 genera, 561 species, 5 subspecies, 53 varieties, 7 forms and 3 hybrids. 184 taxa were the first records from this region. The plants in Gyodongdo island are composed of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mixed forests which are the common ones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ive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Maxim., Viola seoulensis Nakai, Populus ${\times}$ tomentiglandulosa T. B. Lee,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and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were collected. Endanger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law called 'Protection Law for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were one taxon. The red list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examined for 13 taxa; endangered (EN) species of Prunus yedoensis Matsum., Vulnerable (VU) species of both Utricularia pilosa (Makino) Makino and Iris ruthenica var. nana Maxim.,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Senecio argunensis Turcz., Least Concern (LC) species of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Potentilla discolor Bunge, Limnophila sessiliflora (Vahl) Blume, Acorus calamus L.,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Pseudoraphis ukishiba Ohwi, Belamcanda chinensis (L.) DC.,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both Astragalus sikokianus Nakai and Potamogeton oxyphyllus Miq.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a total of 47 taxa comprising three taxa of grade V, four taxa of grade IV, nine taxa of grade III, 10 taxa of grade II, and 21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62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9 % and the percentage of urbanization index (UI) was 19.3 %, respectively. Furthermore, hemicryptophytes (28 %), therophytes (26 %), hydrophytes (13 %) and geophyte (12 %)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spectrum.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인 유럽조밥나물(Hieracium caespitosum Dumort.)과 진홍토끼풀(Trifolium incamatum L.) (Newly recorded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Hieracium caespitosum and Trifolium incamatum)

  • 이혜정;이유미;박수현;강영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3-343
    • /
    • 2008
  • 강원도 양구군 도솔산과 제주도에서 2종류의 미기록 귀화식물을 발견하였다. Hieracium caespitosum Dumort.는 양구군 도솔산에서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조밥나물과 비교하여 두화의 수가 많고, 개화시기에도 근생엽이 달려 있는 특징이 있으며, 유럽이 원산지여서 유럽조밥나물로 신칭하였다. Trifolium incarnatum L.은 제주도 정실, 우도, 대정 가시오름 및 전라남도 보성 녹차단지 주변 등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으며 토끼풀속의 다른 식물들과는 꽃이 진홍색이고, 화서가 길게 발달하며 식물체가 직립하는 등의 특징으로 구별된다.

보길도(전남) 적자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특성 (Characteristics Type of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Jeonnam))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40
    • /
    • 2011
  • The vascular plants in Jeokjabong, Bogil Island were listed 350 taxa composed of 89 families, 233 genera, 309 species, 1 subspecies, 36 varieties and 4 forms. Divided into woody plants were 142 taxa (40.6%) and herbaceous plants were 208 taxa (59.4%). Based on the list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by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3 taxa were recorded; Celtis choseniana, Asarum maculatum, Rubus sorbifolius, and endemic plants, 10 taxa were recorded; Asarum maculatum, Cephalotaxus koreana, Carpinus coreana, Celtis choseniana, Lespedeza maritima, Indigofera koreana, Dendropanax morbifera,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Weigela subsessilis, Carex okamotoi, and plant species subject to permission for taking abroad, 4 taxa were recorded; Celtis choseniana, Asarum maculatum, Vaccinium oldhami, Carex okamotoi. Based on the list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total 64 taxa (18.3% of all 350 taxa of vascular plants); Ligustrum quihoui var. latifolium in class IV, 19 taxa (Stauntonia hexaphylla, Cinnamomum japonicum, Zanthoxylum ailanthoides, Daphniphyllum macropodum, Centella asiatica, Verbena officinalis, Mitchella undulata, etc.) in class III, 5 taxa (Potentilla dickinsii, Ostericum melanotilingia, Sanicula rubriflora, Caryopteris incana, Teucrium veronicoides) in class II and 39 taxa (Gleichenia dichotoma, Cyrtomium fortunei, Aphananthe aspera, Rubus hirsutus, Meliosma myriantha, Hedera rhombea, Ainsliaea apiculata, etc.) in class I. Based on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5 families, 17 genera, 20 taxa (Phytolacca americana, Lepidium virginicum, Robinia pseudo-acacia, Verbesina alternifolia, Lolium perenne,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5.7% of all 350 taxa of vascular plants. Hereafter natural ecosystem into disturbance on naturalized plants and legal protection species an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distribute in the Bogil Island, precision investigation after management counterplan of the monitoring a point of view be required.

싸리속(콩과) 미기록 귀화식물: 분홍싸리 (A Naturalized Plant of Lespedeza (Leguminosae) in Korea: L. floribunda Bunge)

  • 한정은;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9-85
    • /
    • 2007
  • 콩과 싸리속에 속하는 국내 미기록 귀화식물 분홍싸리(Lespedeza floribunda)를 발견하였다. 본 종은 폐쇄화를 갖는 점에서 싸리아속에 속한다. 이 종은 중국원산으로, 최근에 서울 마포구와 충남 금산의 공원에서 발견되었다. 분홍싸리를 포함한 한국산 싸리아속의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