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zed species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28초

독도 귀화식물과 관리방안 (The naturalized Plants and regulating measures in Dokdo)

  • 임동옥;황인천;황정환;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6-101
    • /
    • 2009
  • 독도는 460만 년 전부터 250만 년 전에 형성된 이래 울릉도나 본토와 한번도 맞닿은 적이 없었기 때문에 식물 진화를 논할 수 있는 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 있는 섬이다. 동도의 광의의 귀화식물은 목본인 섬괴불나무와 보리밥나무 2종과 초본류 23종으로 총 27종류이다. 그리고 협의의 귀화식물은 방가지똥, 갓, 소리쟁이, 흰명아주, 그리고 개보리 등으로 5종류이다. 외부에서 이입된 귀화식물은 총 32종류에 해당하므로 동도 현존식물 약60종에 대해 60%에 해당한다. 따라서 독도는 이입종에 의한 생태적 교란이 매우 심하고 독도 고유 식물들의 생육환경이 매우 불안전한 상태이므로 자생종의 보전차원에서 귀화식물의 유입 차단이나 제거 등의 관리 방안이 도출되고 정책적인 관심이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학술 연구 논의에서 발생하는 귀화식물의 부정적 인식과 문화적 배제 (Cultural Exclusion and Negative Perception related to Naturalized Plants Derived from Academic Discussion)

  • 유재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3-74
    • /
    • 2013
  • This study suggests that some of the negative arguments related to naturalized plants raised in academic discussions are unreasonable through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academia's research on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117 academic papers related to "naturalized plants" on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website were re-classified by space, the number of vascular plant species,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naturalization index (NI), and urbanization index (UI). Correlation between human interference and naturalized plant distribution, and between sizes of conservation areas and naturalized plant distribu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while there was a tendency between urban population and UI ($r^2$ = 0.70, p = .000), the number of visitors in national parks had no relation to either the NI or the UI (r = 0.028 and r = 0.013, respectively). Likewis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national parks or conservation areas and naturalized plant distribution (r = 0.014, r = 0.17, respectively). The average NI and the UI of forest areas were approximately twice as low as those of national parks. In estimated regression equation, when one hypothesizes that the entire 4,952 taxa of plants growing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combining paleo-naturalized plants and neo-naturalized plants, amounted to 2,398 taxa, 48.43%. In the academia, Korean Endemic Plants are less than one quarter of 4,952 taxa. Such results signify that, contrary to discussions in the academia, it is meaningless to distinguish between naturalized plants and native plants. In certain aspects, academic discussions on naturalized plants in Korea have proceeded in a manner similar to cultural exclusion by mono-culturalism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Vascular plants of Poaceae (II) new to Korea: Holcus mollis L. and Aira elegantissima Schur

  • Cho, Yanghoon;Kim, Jonghwan;Lee, Byoungy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71-176
    • /
    • 2017
  • Recent herbarium reexamination and field studies yielded two monocotyledonous plant taxa of the family Poaceae that could be documented in the national inventory list of species of Korea. These species, collected from Jeollabuk-do and Gyeongsangnam-do, were introduced and naturalized in Korea. Two species were identified as Holcus mollis L. and Aira elegantissima Schur. We provided the descriptions and descriptive photos of these species. Keys to the newly recorded species and related taxa were also provided.

청계천 복원 후 3년간 식물상 변화 (Floral Changes During Three Years After Cheonggyecheon Restoration)

  • 김형국;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07-115
    • /
    • 2010
  • This study was surveyed to identify changes of flora during three years after restoration in Cheonggyecheon stream. There are four sections in Cheonggyecheon. One and two sections are upper streams and three and four sections are down streams. It was surveyed 328 species in 2006. In 2007 and 2008, 446 and 444 species were found,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Cheonggyecheon is unstable initial condition in restored stream ecosystem. Naturalized species were 58 species in 2006 and it was respectively 61 and 63 species in 2007 and 2008. Hazard species of ecosystem were three common species during survey period. In appearance of flora per section, three and four sections constituted by natural sites such as point bars, wide flood plains, riffles and ponds, marshes, etc. were surveyed more species than one and two constructed by concrete materials and narrow flow channel. Recently, as time goes by, introduced species are being increased. And succession has mainly been progressed by one year or binary herbs and perennial herbs. Compared with other restored streams, Cheonggyecheon showed more flora than Yangjaecheon and Anyangcheon. It is judged owing to length of surveyed site, various planted species and area of inhabitation space. To manage restored stream ecosystem, monitoring is essential. Further, because change of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Cheonggyecheon is very important, continuous monitoring about Flora and Naturalized species and Hazard species of ecosystem is also very important.

청계천 복원 전·후의 식물상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ing of Flora between Pre and Post of Restoration in Cheonggyechon Stream)

  • 강수학;김형국;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8-13
    • /
    • 2007
  • This study was surveyed to know changing flora between pre and post of restoration in cheonggyechon. As results, it was surveyed families 33, species 94 in 2003 and families 39, species 156 in 2005. In 2006, it was surveyed families 38, species 171. This result shows that cheonggyechon is unstable initial condition in restored stream ecosystem. Also, Naturalized species was 19 species in 2003 and it was respectively 44, 46 species in 2005, 2006. Hazard species of ecosystem was in common 3 species in three surveys. Recently, as time goes by, introduced species are increasing. And succession has mainly been progressed by one year or binary herbs. To administer restored stream ecosystem, monitoring is essential. Therefore, continuous monitoring about Naturalized species and Hazard species of ecosystem is also very important. Further, Because change of vegetation on pre and post of Restoration in Cheonggyechon Stream is very important, Monitoring will have been surveyed continuously.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Andropogon virginicus L. and Euphorbia postrata Aiton

  • Yang, Jong-Cheol;Park, Soo-Hyun;Lee, Jeong-Hae;Lee, You-Mi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27-430
    • /
    • 2008
  • Here we reported two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n flora. Andropogon virginicus L. of Graminaeae and Euphorbia postrata Aiton of Euphorbiaceae are collected from Dong-gu, Ulsan-si and Sinjindo-ri, Taean-gun, Chungcheongnam-do respectively. A. virginicus L. wa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meda triandras var. japonica Makino by keel on glume, 2-4 racemes and long hairy rachis. Thus, the new Korean name, 'Na-do-sol-sae', was given. E. postrata Aiton was cleary distinguished from related taxa by hairs on only edges of fruits. The new Korean name, 'Nu-un-ttang-bin-dae' was given considering the species epithet.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showing habitat were given.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사향엉겅퀴(Carduus natans)와 큰키다닥냉이(Lepidium latifolium)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Carduus natans and Lepidium Latifolium)

  • 이유미;박수현;양종철;최혁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7-196
    • /
    • 2008
  • 우리나라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사향엉겅퀴로 이름 붙인 Carduus natans (국화과)는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 및 남양주군 진접읍에서 확인되었으며, 동속 귀화식물인 지느러미엉겅퀴(C. crispus)와 비교하여 두화는 지름이 30-60mm로 보다 크고 대게 하나씩 달리며 고개가 아래로 처지고, 총포편은 창끝모양으로 기부 바로 위가 좁아지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또한 큰키다닥냉이로 이름 붙인 Cepidium latifolium (십자화과)는 키가 1m정도로 크며 잎의 기부가 줄기를 감싸지 않고 하부 줄기의 잎이 우상으로 갈라지며 꽃차례가 짧은 산방상인 특징으로 유사종과 식별된다. 서울 난지도 월드컵 공원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수 백 개체 정도가 발견되어 확산추세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분석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임동옥;유윤미;황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8-296
    • /
    • 2004
  • 본 논문은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에서 선택한 총 14개 조사 지역에서 귀화식 물과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식물상은 76과 211속 273종 35변종 1품종으로 총 309종류가 확인되었다. 그 중 귀화식물은 14과 36속 44종 2변종으로 총 46종류가 확인되었다. 광주천에서는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흰명아주, 토끼풀, 큰개불알풀, 돼지풀, 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살이 및 서양민들레로 총 9종이 우점하였고, 황룡강에서는 소리쟁이, 토끼풀, 달맞이꽃, 돼지풀 및 망초로 총 5종이 우점하였다. 그리고 영산강에 분포하는 우점종은 광주천과 황룡강 우점종 이외에도 물참새피, 좀명아주, 다닥냉이, 개망초 및 도꼬마리 등이 나타나 총 16종이었다. 광주시 도심 하천의 평균 도시화지수는 17.2%, 귀화율은 14.9%로 확인되었다. 원산지는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각각 16종으로 가장 많았다. 도시화지수나 귀화율 같은 환경지수가 높은 도시 하천이나 둔치가 귀화식물센터 중 중요한 하나로 사료되었다.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도서생물지리학적 특성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namdo Islands)

  • 김현희;김다빈;전철현;김찬수;공우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4호
    • /
    • pp.272-289
    • /
    • 2017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도서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유인도 47곳, 무인도 194곳의 식물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귀화식물은 30과 134종이 분포한다. 분포역이 가장 넓은 종은 소리쟁이(Rumex crispus)로 모두 141곳의 도서에 분포한다. 도서별 평균 귀화식물 종수는 유인도 20.6종(${\pm}14.22$), 무인도 3.7종(${\pm}3.89$)이다. 도서별로는 여수시 금오도가 59종으로 가장 많다. 자생식물 대비 귀화식물의 비율인 귀화율은 유인도서 7.66%(${\pm}3.96$), 무인도서 4.97%(${\pm}3.70$)이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서해 도서지역 귀화율이 5.92%(${\pm}4.49$)로 남해 도서지역 4.96%(${\pm}2.15$)보다 높다. 특히 유인도서 내 귀화율은 서해 도서지역 8.39%(${\pm}4.37$), 남해 도서지역 5.80%(${\pm}1.41$)로 그 차이가 더 크다. 도서지역 귀화식물 귀화율은 섬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관계(r=0.412, p<0.01)를 갖지만, 육지로부터의 거리, 해발고도와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다. 법정 생태계 교란종은 8종이 분포하며 종에 따라 분포역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도서 및 지역 간 차이는 물리적 환경 차이와 함께 육지와의 왕래 정도, 경작에 따른 토지 간섭 등 자연 및 인문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도서지역은 서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종이나 각종 환경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서지역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성주지역 문화재 지정(보호)구역 내 외래식물의 현황 (Status of Exotic Plant Species with in the Cultural Properties in Seongju-gun, Gyeongsangbuk-do)

  • 신현탁;김용식;이명훈;윤정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162-181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성주군에 분포하고 있는 주요 문화재 지정(보호) 구역을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 결과를 토대로 외래식물 및 귀화식물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전통문화공간의 정체성을 알리고 이에 따른 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관속식물상은 세종대왕자태실의 경우 50과 93속 94종 16변종 4품종으로 114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5분류군, 귀화식물은 16분류군으로 귀화율 14.04%, 도시화지수 5.90%를 나타냈다. 성주향교는 40과 64속 57종 8종 4품종으로 68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7분류군, 귀화식물은 30분류군으로 귀화율 44.12%, 도시화지수 11.07%로 나타났다. 성밖숲은 34과 58속 55종 5변종 1품종으로 61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0분류군, 귀화식물은 17분류군으로 귀화율 27.87%, 도시화지수 6.27%로 나타났다. 한개마을은 92과 183속 182종 1아종 32변종 14품종으로 230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28분류군, 귀화식물은 85분류군으로 귀화율 37.12%, 도시화지수 31.37%로 나타냈다. 성산고분군은 55과 107속 106종 19변종 6품종으로 131분류군이었으며 이 중 외래식물은 18분류군, 귀화식물은 22분류군으로 귀화율 16.79%, 도시화지수 8.12%로 나타났다. 성주향교의 경우 귀화율이 가장 높았으며, 한개마을의 경우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에서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5개 지역 모두 외래식물 및 귀화식물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며 특히 한개마을의 경우 마을 전체에 대한 관리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성주향교 및 한개마을 지역에서 모두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중 하나인 돼지풀의 출현을 확인한바 이에 따른 관리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