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the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Large Rivers of Downtown Gwangju Metropolitan City  

Lim Dong-Ok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생명과학과)
Ryu Youn-Mi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생명과학과)
Hwang In-Chun (호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18, no.3, 2004 , pp. 288-29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03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environmental index of naturalized plants at 14 sites at rivers penetrating the downtown area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flora consisted of 309 taxa, 76 families, 211 genera, 273 species, 35 varieties and one form, while the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46 taxa, 14 families, 36 genera, 44 species and two varieties. The dominant species of Gwangju-cheon were nine taxa. Panicum dichotomiflorum, Rumex crispus, Chenopodium album, Trifolium repens, Veronica persic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ster pilosus, Bidens frondosa and Taraxacum offici-nale. The dominant species of Hwangryong River were five taxa: Rumex crispus, Trifolium repens, Oenothera odorat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Erigeron canadensis. At Yeongsan River appeared 16 dominant species: Patspalum distichum, Ckenopodium ficifolium, Lepidium apetalum, Erigeron annuus and Xanthium strumarium in addition to the same dominant species of Gwangju-cheon and Hwangryong River The Urbanization Index (UI) was 17.2% and the Naturalized Index (NI) was 14.9% at urban rivers of Gwangju. The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16 taxa, which originated in both Europe and North America. Based upon the UI and NI, the urban rivers and their riversides must be considered a major corridor for the invasion of naturalized plants.
Keywords
FLORA; NATURALIZED INDEX; URBANIZATION INDEX; URBAN RIV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건설교통부(2003) 경천 시범 하천 환경정비사업 이후 모니터링 보고서. 45-118쪽
2 고강석 외 11인 (1996a)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I). 국립환경연구원. 118쪽
3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이유미 (1997) 한국에서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자연보존 2:139-164
4 김보현. 이경재(2000)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2): 127-138
5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흥덕, 우복주, 백기열 (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18-41
6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2003)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 생태학회지 15(2): 210-223
7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2002a)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104-123
8 임동옥, 박양규, 유윤미(2004)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4):346-359
9 한국수자원 공사 (1999) 탐진댐 다목적댐 담수예정지역 식생조사-식생조사 및 환경녹화계획-. 216쪽
10 沒田眞(1975) 歸化植物.環境科學 ライブラリ-13. 大日 本圖書, 東京, 160쪽
11 Pallibin, J. W.(1898) 'Conspectus flarae( I )', Act. Hort. Petrop 17: 1-128
12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2002b) 서울 중량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13 이창숙(1995) 서울 중량천변의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상현황(귀화식물과 토착식물의 비교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 연구보고서 제14: 17-39
14 Song, J.S. and B. Prots(1998) Invas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L. (Compositae) in the Ukrainian Carpathians Mts. and the Transcarpathian Plain (Central Europe). Korean J. BioI. Sci 2: 209-216   DOI
15 양영환, 박수현, 김문홍(2001) 제주도의 귀화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4(3): 277-285
16 송준석, 안상홍(1999) 구 안동시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군락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3): 169-179
17 박수현(2000) 한국 귀화식물의 현황. 자생식물 제51호: 12-19
18 이덕봉, 김연창 (1961) 美大陸 原産植物의 渡來考. 한국식물학회지4: 25-30
19 長田式正(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圖鑑. 保育社. 425쪽
20 박수현 (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21 Cox, G. W.(1993) Conservation Ecology. Wm. C. Brown Publishers, 268-277pp
22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 분류학회지 22: 69-83
23 고강석, 강인구,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1996b)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 (II). 국립환경연구원보고 18: 25-35
24 광주광역시(1999) 광주 광역시 위생매립장 조성사업 환경 영향 평가서(초안), 91-114쪽
25 박수현(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85: 39-50
26 박수현(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보유편). 일조각, 178쪽
27 Groves, R. H.(1986) Plant invasions of Australia: an Overview In: Groves, R. H., and Burdon, J.J. (Eds.), Ecology of Biological Invasions. Cambrid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7-49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