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zed plants ratio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1초

중·소하천에서 물리적 구조의 교란과 하안식생 귀화율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urbances of Hydromorphological Structures and Naturalized Plants Ratio in Small and Mid-sized Streams)

  • 천예준;최윤의;홍선희;전진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07-225
    • /
    • 2013
  • Current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is focusing on recovery of physical characteristic and ecological functions of individual stream. For effective stream resto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am environment and riparian flora should b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urbance of hydromorphological structures and naturalized plants ratio in small to mid-sized streams. For the study sites, Gwanpyeong stream, Dongdal stream, and Yongchoo streams were chosen as 'reference stream' while, Gunnam stream, Anchang stream, and Hwa stream were chosen as 'damaged stream'. The hydromorphological structures of streams were evaluated with LAWA and flora of the streams were completely enumerated to calculate naturalized plants ratio.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utcome of LAWA and naturalized plants ratio(r=0.675, p<0.01).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LAWA identified three factors, 'River front and land use', 'River bed materials and structures', and 'Crossing structure and bar'. Among the factors of hydromorphological structures given by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river front and land use' and 'bed materials and structur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aturalized plants ratio($R^2$=0.470, p<0.01). Given this results,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urbance of hydromorphological structures of streams and naturalized plants ratio could provide some essential information for stream restoration. Also, as this study figured out major factors of hydromorphological structures that affect naturalized plants ratio, it might help monitor ecological states and current problems of small and mid-sized streams.

옥상녹화 식재기법에 따른 식생변화 - 이입식물을 중심으로 - (Rooftop Planting Methods and Invading Species)

  • 최희선;안동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47
    • /
    • 2004
  • In order to study changes in vegetation pursuant to rooftop revegetation plantation methods, plantation methods for rooftop revegetation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hrough an analysis of recent trends. Then, Planted plants and invasive plants on sites where the planting methods were introduced were monitored. Plant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mono-layer meadow cover type and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vailability of wetland, the structure of vegetation layers, the planted species, and the material of mulch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two sample sites for different plantation methods, the number of invasive plants was higher in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and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was higher by 30% in average in mono-layer meadow cover type. The main reason for such a result is that the natural soil used in the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likely contained some seeds. Moreover, it's harder for invasive plant seeds to germinate in volcanic rocks than in natural soil. Also, it is attributable to wetlands available in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and diverse living environments created by multi-layer planting. The reason of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being higher by at least 10% in mono-layer meadow cover type is the character of naturalized plants being stronger in unfavorable conditions than nature plants are. Accordingly, the germination rate in the volcanic rock mulching has likely contributed in raising the introduction and germination of naturalized plants. The results showed that multi-layer planting cover type using wetland creation and nature soil can increase the number of invasive plants and lower the ratio of naturalized plants. However, since seeds contained in the natural soil can affect the growth of planted plants, this needs to be clarified, It was judged that mono-layer meadow cover type may affect more greatly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invasive plants than on those of planted plants, Its potential adoption in highly urbanized areas was examined. By complementing with the mutual benefits of each plantation method, it appeared possible to shift to a rooftop revegetation system suitable to the site.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 임동옥;황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1-288
    • /
    • 2006
  • 본 논문은 2004년 3월부터 10월까지 가야산국립공원 지역에서 선택한 총 15개 조사 지역에서 외래식물과 귀화식물의 도시화지수를 분석하였다.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은 총 88종류로 39과 72속 82종 5변종 및 1품종이 확인되었으며,그 중 귀화식물은 47종류로 확인되었다. 가야산국립공원 지역에서 귀화율은 4.06%,도시화지수는 17.74%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인위적 간섭을 받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비교적 보전이 잘된 지역과 인위적 간섭이 없는 자연식생에서는 귀화식물의 분포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원산지별로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원산지인 귀화식물이 37종류, 72%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국가 차원에서 외래종의 통합관리방안이 필요하지만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종분포를 확인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 자생종의 보전과 보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광양제철소 내의 귀화식물상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Gwangyang Steel Works)

  • 오현경;김달호;김도균;남웅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20
    • /
    • 2009
  •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Gwangyang Steel Works were listed 70 taxa; 18 families, 51 genus, 66 species, 3 varieties and 1 form. by field survey. The naturalized plants divided into pattern by survey of annual plants ratio is 31 taxa (44.3%) by life form spectrum and perennials is 23 taxa (32.9%), biennials is 13 taxa (18.5%), two trees (Robinia pseudoacacia, Alianthus altissima) and one shrub (Amorpha furticosa) were founde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form place of origin, Europe covered 26 taxa (37.1%), North America covered 23 taxa (32.8%). Naturalized degree 3 plants, as common but not abundant, founded as 24 taxa (35.0%) were hold most highly ratio, naturalized degree 1 plants founded as 3 taxa (4.0%) were hold lowest. Introduction period 1 covered 31 taxa (44.3%) have had highest score and period 2 covered 11 taxa (15.7%) have had lowest scores. In addition, the urbanization index based on 271 taxa was 25.8% and 2 taxa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aefolia) is growing in the Gwangyang Steel Works by ecosystem disturbing wild plants. Meanwhile, Ambrosia artemisiaefolia have confirmed into several tens~hundred in the Gwangyang Steel Works were damage the human body of plants develop an allergy to pollen. Solanium carolinense have composed several large communities about $10m{\times}10m$ ($100m^2$) and hold a dominant position, so management plan of the sequel of monitoring them might be required.

전주지역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Biotope Types in the Jeonju Area)

  • 오충현;최일기;이은희;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5
    • /
    • 2010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비오톱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비오톱 유형별로 식물상과 귀화식물을 조사하여 입지별 귀화율을 산정하였다. 조사결과 총 113과 525종의 식물이 조사되었고, 이 중 귀화식물은 총 19과 54종이 나타났다. 비오톱 유형중 입지별 귀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농촌형 건천 유형에 속하는 하천으로 36.4%였고, 가장 낮게 나타난 곳은 산립지역 침엽수 자연립 유형으로서 귀화식물이 한 종도 조사되지 않았다. 전주지역의 전체 도사화지수는 18.9%로서 우리나라에서 중소규모 크기 도시의 도시화지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봉산과 그 일대의 식물상 연구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Cheonbongsan and Its Adjacent Regions)

  • 이유미;최혁재;이혜정;박수현;최형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9-538
    • /
    • 2010
  • 전라남도 보성의 북부산지를 대표하는 천봉산(608m)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들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을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총 4차례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산식물은 104과 307속 446종 3아종 56변종 6품종의 511종류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총 1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8종류가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특정 식물종은 V등급 2종류, IV등급 1종류, III등급 8종류, II등급 7종류, I등급에는 28종류 등 총 46종류가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총 38분류군, 귀화율은 7.4%로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도서생물지리학적 특성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namdo Islands)

  • 김현희;김다빈;전철현;김찬수;공우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4호
    • /
    • pp.272-289
    • /
    • 2017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도서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유인도 47곳, 무인도 194곳의 식물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귀화식물은 30과 134종이 분포한다. 분포역이 가장 넓은 종은 소리쟁이(Rumex crispus)로 모두 141곳의 도서에 분포한다. 도서별 평균 귀화식물 종수는 유인도 20.6종(${\pm}14.22$), 무인도 3.7종(${\pm}3.89$)이다. 도서별로는 여수시 금오도가 59종으로 가장 많다. 자생식물 대비 귀화식물의 비율인 귀화율은 유인도서 7.66%(${\pm}3.96$), 무인도서 4.97%(${\pm}3.70$)이다. 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서해 도서지역 귀화율이 5.92%(${\pm}4.49$)로 남해 도서지역 4.96%(${\pm}2.15$)보다 높다. 특히 유인도서 내 귀화율은 서해 도서지역 8.39%(${\pm}4.37$), 남해 도서지역 5.80%(${\pm}1.41$)로 그 차이가 더 크다. 도서지역 귀화식물 귀화율은 섬의 크기와 유의한 양의 관계(r=0.412, p<0.01)를 갖지만, 육지로부터의 거리, 해발고도와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다. 법정 생태계 교란종은 8종이 분포하며 종에 따라 분포역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은 도서 및 지역 간 차이는 물리적 환경 차이와 함께 육지와의 왕래 정도, 경작에 따른 토지 간섭 등 자연 및 인문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도서지역은 서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종이나 각종 환경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서지역 외래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Counterpla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현경;임동옥;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5-115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의 귀화식물은 24과 65속 83종 3변종 2품종으로 총 88종류가 확인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을 유형별로 구분해보면, 생활형에는 1년생 초본이 38종류(43.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다년생 초본이 28종류(31.8%), 2년생 초본이 19종류(21.6%)로 구분되었다. 또한 목본 중 교목에는 아까시나무와 가죽나무가, 관목에는 족제비싸리가 확인되었다. 원산지별로는 유럽에서 이입된 종류가 26종류(37.1%)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이입된 종류가 23종류(32.8%)로 구분되었다. 또한 귀화도별로는 귀화도 3의 귀화식물이 28종류(3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귀화도 1의 귀화식물이 8종류(9.1%)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이입시기별로는 이입 1기가 39종류(4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입 2기가 16종류(18.2%)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귀화식물 271종류에 대한 본 연구대상지의 도시화지수는 32.5%로 분석되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이 확인되었다. 돼지풀은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주는 식물로서 변산반도국립공원 전 지역에 침입하여 분포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대책이 필요하며, 이입된 귀화식물의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울릉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ungdo)

  • 황규진;박성준;손성원;박선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07
  • 울릉도 식물상의 참고문헌과 야외조사를 통해 확인된 귀화식물은 21과 49속 63종 2변종 65분류군이며, 국화과 27.7%, 벼과, 콩과, 마디풀과 각각 7.7%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좀소리쟁이, 노랑토끼풀, 덩이괭이밥, 유럽전호, 둥근잎나팔꽃, 큰금계국, 별꽃아재비, 몬트부레치아, 큰김의틸 총 9종이 추가 확인되었다. 1년생 초본류는 36.9%이고, 유럽 원산지가 40.0%를 차지하였다. 울릉도의 도시화지수는 22.0이며, 각각의 참고문헌에 의하면 귀화율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울릉도의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로는 돼지풀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으로는 원예용 식물 유입의 최소화 및 확산 방지와 절개지 복구용으로 자생종을 활용하여 천이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장산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Vascular Plant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Mt. Bangjang)

  • 오현경;변무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23
    • /
    • 2006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in the Mt. Bangjang was listed 422 taxa : 106 families, 299 genera, 372 species, 1 subspecies, 46 varieties and 3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5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distichum(Preservation priority order : No. 159), Tricyrtis dilatata (No. 97), Aristolochia contorta (No. 151), Prunus yedoensis (No. 110), Patrinia saniculaefolia (No. 122)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9 taxa were recorded; Cephalotaxus koreana, Carex okamotoi, Populus tomentiglandulosa, Salix purpurea var. japonica, Prunus yedoensis,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Patrinia saniculaefoli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9 taxa; Prunus yedoensis in class V, 3 taxa(Acer palmatum, Asperula lasiantha, Lonicera subhispida ) in class III, 5 taxa(Lilium distichum, Potentilla dickinsii, Caryopteris incana, Patrinia saniculaefolia, Ligularia fischeri) in class II, 20 taxa(Ulmus parvifolia, Clematis patens, Aconitum jaluense, Ilex macropoda,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3 families, 31 genera, 36 species, 2 varieties, 38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9.0% of all 422 taxa vascular plants. Because of recent rapid increase of cars and people around here, analysis shows many naturalized plants and high naturalized ratio. And wild plants disturbing ecosystem lik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ave been increasing. So, it needs continuing control and conservation measures on the plant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