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Study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ungdo  

Hwang, Gyu-Jin (Department of Biology, Yeungnam University)
Park, Seong-Jun (Department of Biology, Yeungnam University)
Son, Sung-Won (Department of Biology, Yeungnam University)
Park, Seon-Joo (Department of Biology, Yeungnam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21, no.1, 2007 , pp. 1-1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Nauralized plants in Ulleungdo were enlisted as 65 taxa, 21 families,49 genera,63 species and 2 varieties by field survey and flora lists of literature cited. Family Compositae covered 27.7% and Family Gramineae, Family Leguminosae and Family Polygonaceae covered 7.7% each. In this study, the nine taxa such as Rumex nipponicus, Trifolium campestre, Oxalis articulata, Anthriscus caucalis, Ipomoea purpurea, Coreopsis Ianceolata, Galinsoga parviflora, Tritonia crocosmaeflora and Festuca arundinacea are added as Nauralized plants in Ulleungdo. Annual plants ratio is 36.9% by life-form spectrum and Europe ratio is 40.0% by origin. The Urbanization Index was 22.0 and the Ratio of Naturalized has increased by flora lists of literature cited each.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is growing in Ulleungdo by a plant cause disturbance. Spread prevention and minimization incoming of gardening plants by management plan of naturalized plants might be required. Moreover, it is needed to induce the succession for the recovery of the cut-slope using the native plants.
Keywords
LIFE-FORM; DISTRIBUTION; PLACE OF ORGIN; URBANIZATION INDEX; RATIO OF NATUALIZE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양영환 (2001)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연구(II). 국립환경연구원보 23: 515-527
2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양영환(2002)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II). 국립환경연구원보 24: 121-133
3 노재현, 허준(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나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26-32
4 박수현(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 85: 39-49
5 신현탁, 김용식(2002)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 (I) -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2): 195-216
6 양영환, 박수현, 김문홍(2001)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재검토. 기초과학연구. 제주대학교 14(1): 53-62
7 양인석(1956) 울릉도의 식물. 경북대논문집 1: 245-275
8 이덕봉, 김연창(1961) 美大陸 原産植物의 渡來考. 한국식물학회지 4: 25-30
9 이영노(1971) 울릉도의 식물상. 울릉도종합학술조사보고서 pp.27-36
10 이우철(1996) 한국식물명고(1). 아카데미서적, 서울,1688pp
11 이준환, 이병천, 조현제, 배상원, 유천인, 박해철, 심재한, 전승훈(1996) 계방산 및 울릉도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임업연구원, 서울, pp. 31-105
12 임양재, 전의식(1978) 한반도의 귀화식물의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 69-83
13 홍성천, 김용원, 박재홍, 오승환, 김진석, 장병태(2002) 울릉군원색식물도감, 울릉군. 404pp
14 沼田眞, 小瀧唵一夫(1975) 歸化植物. 日本図書館. 東京. 160pp
15 Nakai, T.(1919) Report on the Vegetation of Dagelet island, Corea. Chosen Government, 87pp
16 김하송, 김진식(1996) 가거도의 환경변화에 따른 귀화식물 상과군락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도서연구학회지 7: 123-130
17 정태현, 이우철(1965)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대 논문집 10: 329-435
18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pp
19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1996)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I). 국립환경 연구원보 18: 25-35
20 박선주, 박성준(2004) 소록도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392-414
21 Palibin, J.(1898) Conspectus Florae Koreae in Act. Hort. Peteop. 683pp
22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박수현, 양영환 (2003)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V). 국립환경연구원보 25: 125-137
23 양금철, 송민섭, 전의식(2002)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38pp
24 고강석, 나진균, 서민환, 길지현, 구인봉, 윤조희, 오현경, 최덕일, 박수현(2000)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I). 국립환경연구원보 22: 67-83
25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연명훈, 박수현, 양영환(2004)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V). 국립환경연구원보 26: 105-117
26 박수현(2001) 한국의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pp
27 오수영(1978) 울릉도산 유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 논문집 25: 131-201
28 최병문(1968) 울릉도의 생물상일보. 청주교육대학논문집 9: 319-336
29 이우철, 양인석(1981)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pp.61-95
30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623pp
31 환경부(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국립환경과학원. 291pp
32 Machida, H., Arai, F., Lee, B. S., Moriwaki, H. and Furuta, H.(1984) Late Quaternary Tephras in Ulreung-Do. Kor. Jour. Geog. 93: 1-14   DOI
33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부록):1-33
34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666pp
35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281pp
36 박수현(1998) 서울 난지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10: 40-48
37 이덕봉, 주상우{1958) 울릉도식물상의 재검토. 고대문리논문집 3: 223-296
38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흥덕, 우복주, 백기열(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18-41
39 박선주, 우복주, 박성준, 황규진, 김금숙, 이종욱(2000) 거제도 인근도서(지심도, 내도, 윤돌도)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3): 479-489
40 강병화, 심상인(2002) 우리나라의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한잡초지 22(3): 207-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