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Naturalized Plants in Ulleungdo

울릉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3.30

Abstract

Nauralized plants in Ulleungdo were enlisted as 65 taxa, 21 families,49 genera,63 species and 2 varieties by field survey and flora lists of literature cited. Family Compositae covered 27.7% and Family Gramineae, Family Leguminosae and Family Polygonaceae covered 7.7% each. In this study, the nine taxa such as Rumex nipponicus, Trifolium campestre, Oxalis articulata, Anthriscus caucalis, Ipomoea purpurea, Coreopsis Ianceolata, Galinsoga parviflora, Tritonia crocosmaeflora and Festuca arundinacea are added as Nauralized plants in Ulleungdo. Annual plants ratio is 36.9% by life-form spectrum and Europe ratio is 40.0% by origin. The Urbanization Index was 22.0 and the Ratio of Naturalized has increased by flora lists of literature cited each.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is growing in Ulleungdo by a plant cause disturbance. Spread prevention and minimization incoming of gardening plants by management plan of naturalized plants might be required. Moreover, it is needed to induce the succession for the recovery of the cut-slope using the native plants.

울릉도 식물상의 참고문헌과 야외조사를 통해 확인된 귀화식물은 21과 49속 63종 2변종 65분류군이며, 국화과 27.7%, 벼과, 콩과, 마디풀과 각각 7.7%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좀소리쟁이, 노랑토끼풀, 덩이괭이밥, 유럽전호, 둥근잎나팔꽃, 큰금계국, 별꽃아재비, 몬트부레치아, 큰김의틸 총 9종이 추가 확인되었다. 1년생 초본류는 36.9%이고, 유럽 원산지가 40.0%를 차지하였다. 울릉도의 도시화지수는 22.0이며, 각각의 참고문헌에 의하면 귀화율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울릉도의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로는 돼지풀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으로는 원예용 식물 유입의 최소화 및 확산 방지와 절개지 복구용으로 자생종을 활용하여 천이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2002) 우리나라의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한잡초지 22(3): 207-226
  2.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1996)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I). 국립환경 연구원보 18: 25-35
  3. 고강석, 나진균, 서민환, 길지현, 구인봉, 윤조희, 오현경, 최덕일, 박수현(2000)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I). 국립환경연구원보 22: 67-83
  4.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양영환 (2001)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연구(II). 국립환경연구원보 23: 515-527
  5.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양영환(2002)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II). 국립환경연구원보 24: 121-133
  6.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박수현, 양영환 (2003)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V). 국립환경연구원보 25: 125-137
  7.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연명훈, 박수현, 양영환(2004)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V). 국립환경연구원보 26: 105-117
  8.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281pp
  9. 김하송, 김진식(1996) 가거도의 환경변화에 따른 귀화식물 상과군락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도서연구학회지 7: 123-130
  10. 노재현, 허준(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나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 26-32
  11.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흥덕, 우복주, 백기열(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18-41
  12. 박선주, 박성준(2004) 소록도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392-414
  13. 박선주, 우복주, 박성준, 황규진, 김금숙, 이종욱(2000) 거제도 인근도서(지심도, 내도, 윤돌도)의 자원식물상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3): 479-489
  14. 박수현(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 85: 39-49
  15.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pp
  16. 박수현(1998) 서울 난지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자연보존 10: 40-48
  17. 박수현(2001) 한국의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pp
  18. 신현탁, 김용식(2002)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 (I) -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2): 195-216
  19. 양금철, 송민섭, 전의식(2002)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38pp
  20. 양영환, 박수현, 김문홍(2001) 제주도의 귀화식물에 관한 재검토. 기초과학연구. 제주대학교 14(1): 53-62
  21. 양인석(1956) 울릉도의 식물. 경북대논문집 1: 245-275
  22. 오수영(1978) 울릉도산 유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 논문집 25: 131-201
  23. 이덕봉, 김연창(1961) 美大陸 原産植物의 渡來考. 한국식물학회지 4: 25-30
  24. 이덕봉, 주상우{1958) 울릉도식물상의 재검토. 고대문리논문집 3: 223-296
  25. 이영노(1971) 울릉도의 식물상. 울릉도종합학술조사보고서 pp.27-36
  26. 이우철, 양인석(1981)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pp.61-95
  27.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부록):1-33
  28. 이우철(1996) 한국식물명고(1). 아카데미서적, 서울,1688pp
  29. 이준환, 이병천, 조현제, 배상원, 유천인, 박해철, 심재한, 전승훈(1996) 계방산 및 울릉도산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임업연구원, 서울, pp. 31-105
  30. 임양재, 전의식(1978) 한반도의 귀화식물의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 69-83
  31. 정태현, 이우철(1965)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대 논문집 10: 329-435
  32. 최병문(1968) 울릉도의 생물상일보. 청주교육대학논문집 9: 319-336
  33. 홍성천, 김용원, 박재홍, 오승환, 김진석, 장병태(2002) 울릉군원색식물도감, 울릉군. 404pp
  34. 환경부(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국립환경과학원. 291pp
  35. 沼田眞, 小瀧唵一夫(1975) 歸化植物. 日本図書館. 東京. 160pp
  36. Machida, H., Arai, F., Lee, B. S., Moriwaki, H. and Furuta, H.(1984) Late Quaternary Tephras in Ulreung-Do. Kor. Jour. Geog. 93: 1-14 https://doi.org/10.5026/jgeography.93.1
  37.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666pp
  38. Nakai, T.(1919) Report on the Vegetation of Dagelet island, Corea. Chosen Government, 87pp
  39. Palibin, J.(1898) Conspectus Florae Koreae in Act. Hort. Peteop. 683pp
  40.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623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