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xotic Plants and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Lim Dong-Ok (Dept. of Life Science, Honam Univ.)
Hwang In-Chun (Dept. of Biology, Graduate School, Honam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v.20, no.3, 2006 , pp. 281-28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us and environmental index of the naturalized plants and exotic plants In the 16 sites in Gayasan National Park from March to October 2004. The exotic plants were recorded as 88 taxa, 39 families, 72 genera, 82 species, 5 varieties and 1 form. The naturalized plants among the exotic plants were certified as 47 taxa. The Naturalized Ratio (NR) was 4.06% and the Urbanization Index (UI) was 17,74% in area of Gayasan National Park. The naturalized plants were distributed around the region that had accepted artificial disturbance however, it was so difficult to identify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conserved area as well as natural vegetation without artificial turbulence. The naturalized plants appeared as almost all speciesas 37 taxa (72%) which both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Although a national degree for integrated management plans of exotic plants is needed, distribution and steady management of exotic plants in Gayasan National Park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natural species.
Keywords
NATURALIZED PLANTS; NATURALIZED RATIO; URBANIZATION INDEX; ARTIFICIAL DISTURBANCE; NATURAL VEGETATION; INTEGRATED MANAGEMENT PL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1996) 귀화식물에 의한생태계 영향조사(II) 국립환경 연구원보고, 18: 25-35
2 오수영(1976) 가야산 식물조사보고서 - 경북지방 식물조사 연구(제 6보). 안동교대논문집 6: 241-280
3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2:69-83
4 Pallibin, J. W.(1898). 'Conspectus flarae(I)', Act. Hort. Petrop 17:1-128
5 박수현(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쪽
6 방상원, 김문희, 노태호(2004) 생태계위해외래종의 통합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RE-02, 325쪽
7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2002b) 서울 중량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8 김용식, 김갑태, 우종서(1989)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에 관한연구. 응용생태연구회 3: 16-27
9 이우철, 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1-33
10 국립중앙과학관(1996) 가야산국립공원 생태계 연구. 국립중앙과학관 학술총서 13, 선명문화사, 1-67쪽
11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홍덕, 우복주, 백기열(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 18-41
12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3 김용식(1998) 가야산국립공원 육상식물 In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41-127쪽
14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양영환(2002)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ll). 국립 환경연구원보 24: 121-133
15 没田眞(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 本圖書. 東京. pp160
16 이호준, 변두원, 김원식, 이재석, 김창호(1993) 가야산 삼림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6(3): 287-303
17 고강석, 나진균, 서민환, 길지현, 구인봉, 윤조희, 오현경, 최덕일, 박수현(2000)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I). 국립환경 연구원보 22: 67-83
18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 (2003)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 210-223
19 이덕봉, 김연창(1961) 美大陸 原産植物의 渡來考. 한국식물학회지 4:25-30
20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연명훈, 박수현, 양영환(2004)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V). 국립 환경연구원보 26: 105-117
21 정민호, 김창환, 길봉섭, 유현경, 신성은(1997) 가야산국립공원의 산림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0(2): 145-151
22 Braun-Blanquet, J.(1964) Ptlanzensoziologie. 3 Aufl. Vienna, New York, 865pp
23 이은복, 전의식, 최병희, 이병윤(1990). 가야산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8:35-56
24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이유미(1997) 한국에서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자연보존 2: 139-164
25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구연봉, 오현경, 박수현, 양영환 (2003)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V). 국립환경 연구원보 25: 125-137
26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2002a)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104-123
27 고강석, 서민환, 길지현, 오현경, 서상욱, 박수현, 양영환 (2001) 외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 연구(II). 국립환경 연구원보 23: 515-527
28 박수현(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29 임양재, 양권열, 김종근, 방제용(1990) 가야산국립공원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8:5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