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zeolite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3초

제올라이트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Zeolite Concrete)

  • 조병완;최지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2
  • 오늘날 첨단산업의 발전과 지구환경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여 시멘트 산업에서도 다각화 측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술들이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새로이 검토되고 있는 시멘트 대체 재료로서 천연제올라이트를 주원료로 사용한 제올라이트 시멘트 콘크리트에 관한 기초 물성에 대해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악취 및 유독가스 제거기능이 우수하며 중금속, 암모니아와 같은 양이온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능, 흡착능, 분자체효과를 가지며 또한 다공성 물질이라 보온능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천연제올라이트와 알칼리 활성제(NaOH)의 양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슬럼프, 블리딩 및 공기량 등을 실험하였다. 천연제올라이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결과 거의 40MPa정도로 측정되었으며 슬럼프, 블리딩, 공기량 시험에서도 일반 콘크리트과 비슷한 성능을 나타내어 향후 고성능, 고기능성 건설재료로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진다.

이온 치환된 천연 제올라이트를 활용한 암모니아성 질소, Mn, As의 제거 (Removal of Ammonia Nitrogen, Manganese and Arsenic in The Ion Exchanged Natural Zeolite)

  • 이경한;길보민;유철휘;황갑진
    • 멤브레인
    • /
    • 제29권5호
    • /
    • pp.237-245
    • /
    • 2019
  • 암모니아성 질소($NH_4-N$)는 산업 폐수, 농업 및 축산 폐수에 포함되어 있으며 인과 함께 수질의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망간(Mn)과 비소(As)는 광산 처리수 등에 포함되어 있으며, 수질 오염의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천연 제올라이트는 수중에서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지만 낮은 흡착능력을 가진다. 이러한 천연 제올라이트의 낮은 흡착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Na^+$, $Ca^{2+}$, $K^+$, $Mg^{2+}$로 이온 치환을 진행하였다. 암모니아성 질소($NH_4-N$)의 흡착량과 제거율은 $Na^+$로 이온 치환된 제올라이트에서 0.66 mg/g과 89.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온 치환된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Mn과 As의 흡착실험을 진행하였다. $Mg^{2+}$로 이온 치환된 제올라이트에서 Mn과 As의 높은 흡착량과 제거율을 보였다.

제주 스코리아로부터 합성한 제올라이트 물질에 의한 암모니아성 질소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mmonia-Nitrogen by Zeolitic Materials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 이창한;현성수;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261-1274
    • /
    • 2020
  • The characteristics of ammonia-nitrogen (NH4+-N) adsorption by a zeolitic material synthesized from Jeju scoria using the fusion and hydrothermal method was studied. The synthetic zeolitic material (Z-SA) was identified as a Na-A zeolite by X-ray diffraction, X-ray fluorescence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The adsorption of NH4+-N using Jeju scoria and different types of zeolite such as the Z-SA, natural zeolite, and commercial pure zeolite (Na-A zeolite, Z-CS) was compared. The equilibrium of NH4+-N adsorption was reached within 30 min for Z-SA and Z-CS, and after 60 min for Jeju scoria and natural zeolite. The adsorption capacity of NH4+-N increased with approaching to neutral when pH was in the range of 3-7, but decreased above 7. The removal efficiency of NH4+-N increased with increasing Z-SA dosage, however, its adsorption capacity decreased. For initial NH4+-N concentrations of 10-200 mg/L at pH 7, the adsorption rate of NH4+-N was well described by the pseudo second-order kinetic model than the pseudo first-order kinetic model. The adsorption isotherm was well fitted by the Langmuir model. The maximum uptake of NH4+-N obtained from the Langmuir model decreased in the order of Z-CS (46.8 mg/g) > Z-SA (31.3 mg/g) > natural zeolite (5.6 mg/g) > Jeju scoria (0.2 mg/g).

천연 Zeolite를 이용한 시설재배지 토양의 염류제거 효과 (Salts Reduction Effect of Natural Zeolite in Plastic Film House Soil)

  • 위치도;리준시;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2-557
    • /
    • 2010
  • 본 연구는 천연 zeolite 처리가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류집적 경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토양의 EC수준은 5.0 dS $m^{-1}$이었으며, 제올라이트 처리는 7수준 (0.5, 1, 2, 5, 10, 15, 20%)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제올라이트 처리에 따른 토양 EC 하락은 혼합수준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특히, 제올라이트가 20%를 혼합된 토양의 처리 10일 후 EC수준은 5.01 dS $m^{-1}$에서 2.8dS $m^{-1}$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되었다. 토양 pH에 대한 제올라이트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서 혼합비율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수용성 칼슘과 마그네슘 그리고 유효인산 농도는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관수제염과 그 밖에 방법 등을 통하여 제염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치환성 양이온과 인산의 효과적인 제염제로서 천연 zeolite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막증류 공정의 전처리 공정으로서 천연 제올라이트 컬럼 적용 (Scalants removal from synthetic RO brine using natural zeolite)

  • 정성필;정하윤;윤택근;이석헌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9-284
    • /
    • 2016
  • Membrane distillation (MD) is the thermally driven water separation process based on the vapor pressure difference across the membrane. In order to increase the water recovery of the conventional RO process, the additional MD-PRO pocess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syntheric RO brine was used as a feed solution of the MD process. Due to the high salinity of the RO brine, the MD membrane could be fouled by the scalants. In order to mitigate the scaling on the MD membrane surface, the pre-treatment process using the column filled by natural zeolite was applied. The roughing filter was installed between the pre-treatment process and MD system in order to prevent possible particulate fouling by the debries of the natural zeolite. Moreover, in order to enhance the CEC of the natural zeolite, the NaCl soaking was conducted. The flux and electronic conductivity were monitored under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And the membrane morphology and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EM-EDX.

무기물 금속염계 발수분체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물리적 특성 및 수분흡수저항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Water Absorption Resistance Evaluation of Cement Mortar Incorporating Inorganic Metal Salt-based Water Repellent Powder)

  • 이원근;윤창복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09-6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금속염계 무기물인 발수분말과 포졸란계 재료인 천연제올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에 혼입하고 물리적 특성 및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였다. 무기물 금속염계 발수분말을 단독으로 혼입한 시험체에 비해서 천연제올라이트를 동시에 사용한 시험체에서 수분침투실험 및 그에 수반하는 염화물 침투시험에서 높은 저항성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금속염계 발수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으로 인하여 수분침투저항성이 내부에서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표면에 국한되었으며 천연제올라이트와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포졸란 반응으로 인해 수화초기의 응결시간이 빠르고 또한 천연제올라이트의 다공성 내부에 발수분말이 부착되어 내부에서도 수분저항성이 일부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Solidification of uranium tailings using alkali-activated slag mixed with natural zeolite

  • Fulin Wang;Min Zhou;Cheng Chen;Zhengping Yuan;Xinyang Geng;Shijiao Ya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2호
    • /
    • pp.523-529
    • /
    • 2023
  • Cemented uranium tailings backfill created from alkali-activated slag (CUTB) is an effective method of disposing of uranium tailings. Using some environmental functional minerals with ion exchange, adsorption, and solidification abilities as backfill modified materials may improve the leaching resistance of the CUTB. Natural zeolite, which has good ion exchange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is selected as the backfill modified material, and it is added to the backfill materials with cementitious material proportions of 4%, 8%, 12%, and 16% to prepare CUTB mixtures with environmental functional minerals. After the addition of natural zeolite,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UCS) of the CUTB decreases, but the leaching resistance of the CUTB increases. When the natural zeolite content is 12%, the UCS reaches the minimum value of 8.95 MPa, and the concentration of uranium in the leaching solution is 0.28-8.07 mg/L, the leaching rate R42 is 9.61×10-7 cm/d, and cumulative leaching fraction P42 is 8.53×10-4 cm, which shows that the alkali-activated slag cementitious material has a good curing effect on the CUTB, and the addition of environmental functional minerals helps to further improve the leaching resistance of the CUTB, but it reduces the UCS to an extent.

DGEBA/MDA/GN계의 경화특성에 미치는 천연 제올라이트의 영향 (Effect of Natural Zeolite on Cure Characteristics of DGEBA/MDA/GN System)

  • 안현수;심미자;김상욱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9호
    • /
    • pp.733-737
    • /
    • 1997
  • 고분자 재료의 가격을 낮추거나 물리적, 열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분자 복합재료 분야에서 무기 첨가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BEBA/MDA/GN 계의 경화특성에 미치는 천연 Zeolite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DGEBA/MDA/GN 계의 경화 매카니즘과 DGEBA/MDA/GN/natural zeolite계의 경화 메카니즘은 매우 유사하였다. Zeolite의함량이 20phr까지 증가함에 따라 속도 상수는 증가하였으나 Zeolite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속도 상수는 감소하였다.

  • PDF

GC분리에 의한 Zeolite Y 안정화 (Stabilization of Zeolites Y For Separation by Gas Chromatography)

  • 임굉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41-45
    • /
    • 1995
  • 부분적으로 양이온 교환된 Y 제올라이트를 특별한 반응조건하에서 예열 처리한 결과, 하소한 제올라이트는 수소, 질소, 산소, 일산화탄소 및 메탄기체 혼합물에 대한 분리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미처리한 시료, 예로서 A형 또는 X형 제올라이트보다 물 분자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낮음을 알 수가 있었다. 흡착성능, 흡착등온선 및 흡착열에 관한 측정결과를 근거로 하여 관찰효과를 검토하였다.

  • PDF

DGEBA/MDA/SN/천연 제올라이트계의 절연파괴현상에 미쳐는 흡습의 영향 (Effect of Moisture Absorption on Dielectric Breakdown Phenomena of DGEBA/MDA/SN/Natural Zeolite System)

  • 김유정;이홍기;김상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C
    • /
    • pp.994-996
    • /
    • 1999
  • Hygrothermal aging at the elevated temperature induces the long-term degradation of the epoxy resi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ydrothermal stress on the dielectric breakdown phenomena of epoxy composite filled with natural zeolite. The cured specimens absorbed the moisture in the autoclave at $120^{\circ}C$. $T_g$ of the deteriorated composite by moisture absorption decreased. The dielectric breakdown strength decreased with the moisture absorption cycle. It was concluded that the thermal stress and the high water-vapour-pressure deteriorated the natural zeolite filled epoxy resin system, consequently and the tree growth rate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