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supply

검색결과 891건 처리시간 0.023초

천연가스배관을 통한 수소 혼합공급의 환경적 유용성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vailability for Hydrogen Supply System with Existing Natural Gas Pipeline)

  • 김형식;홍성호;황태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32
    • /
    • 2009
  • 수소의 대표적인 공급방식에는 집중식과 분산식이 있다. 경제성 측면에서 대량수소사용을 위해 집중식이 유리하지만 막대한 공급인프라 구축비용이 단기간에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천연가스배관에 수소를 혼합공급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의 수소혼합공급의 환경적 유용성을 타수소공급방안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수소혼합공급이 환경적으로 유익하며, 특히 지구온난화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력수급기본계획의 불확실성과 CO2 배출 목표를 고려한 발전용 천연가스 장기전망과 대책 (Scenario Analysis of Natural Gas Demand for Electricity Generation in Korea)

  • 박종배;노재형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1호
    • /
    • pp.1503-1510
    • /
    • 2014
  • This study organizes scenarios on the power supply plans and electricity load forecasts considering their uncertainties and estimates natural gas quantity for electricity generation, total electricity supply cost and air pollutant emission of each scenario. Also the analysis is performed to check the properness of government's natural gas demand forecast and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government's CO2 emission target with the current plan and other scenarios. In result, no scenario satisfies the government's CO2 emission target and the natural gas demand could be doubled to the government's forecast. As under-forecast of natural gas demand has caused the increased natural gas procurement cost, it is required to consider uncertainties of power plant construction plan and electricity demand forecast in forecasting the natural gas demand.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CO2 emission target could be achieved by enlarging natural gas use and demand-side management without big increase of total costs.

국내 액화천연가스 도입구조의 위험성 평가 (Assesment of Domestic Import Risk for Liquefied Natural Gas in Korea)

  • 유혜진;오근엽;조원준;임옥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0-39
    • /
    • 2021
  • 세계적으로 천연가스는 환경적, 정치적, 지역적인 이유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천연가스는 액화천연가스로 수입하고 있으며, 석탄과 원전을 대체하는 연료나 원료의 활용에서 액화천연가스는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천연가스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에 대한 안정성분석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입구조의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공급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공급과 수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급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한 국가로부터의 수입 집중도를 낮춰야 하며, 가스공급안정성 지수 (gas supply security index, GSSI)가 낮은 국가의 수입비중을 낮추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국가인 러시아로부터 수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또한, 수입국가의 수를 늘리거나 안정적 공급이 가능한 국가와의 관계 유지는 우리나라 수입가스의 공급안정성지표 (total gas supply security index, TGSSI)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되었다.

Optimal Ordering Policy in Dual-Sourcing Supply Chain Considering Supply Disruptions and Demand Information

  • Watanabe, Naoki;Kusukawa, Etsuko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129-158
    • /
    • 2015
  • It is necessary for retailers to determine the optimal ordering policy of products considering supply disruptions due to a natural disaster and a production process failure as quality and machine breakdowns. Under the situation, a dualsourcing supply chain (DSSC) is one of effective SC for retailers to order products reliably. This paper proposes the optimal ordering policy of a product in a DSSC with a retailer and two manufacturers. Two manufacturers may face supply disruptions due to a natural disater and a production process failure after they received the retailer's order of products. Here, two scenarios of demand information of products are assumed: (i) the demand distribution is known (ii) mean and variance of the demand are known. Under above situations, two types of DSSC are discussed. Under a decentralized DSSC (DSC), a retailer determines the optimal ordering policy to maximize his/her total expected profit. Under the integrated DSSC (ISC), the optimal ordering policy is determined to maximize the whole system's total expected profit. Numerical analysis investigates how demand information and supply disruptions affect the optimal decisions under DSC and ISC. Besides, profitability of supply chain coordination adjusting the wholesale price is evaluated to encourage the optimal decision under ISC.

Corporation's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Related Natural Disasters : Embedding Resiliency in Supply Chain - A Study on Climate Change Related Natural Disaster Adaptation for Corporations -

  • Pak, Myong Sop;Kim, In Sun
    • 무역상무연구
    • /
    • 제64권
    • /
    • pp.239-264
    • /
    • 2014
  • Two types of responses to climate change exist. First is climate mitigation which includes efforts of reducing CO2 and GHG emissions. Second response is climate adaptation process which is establishing climate resilience in the supply chain. The two are inherently different since mitigation strategy focus on eliminating the source of climate change and is long term in nature but adaptation strategy is moderating the impact of potential or current climate change. In order to embed climate resilience in the supply chain, mitigation strategies and adaption strategies must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Corporation's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related natural disaster can be seen as a response that includes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simultaneously. A comprehensive climate change resilience supply chain approach has to be developed. This paper illustrated guidelines and adaptation process framework businesses can utilize in order to build climate resilience. Screening process before the actual assessment of risk was introduced as well as the whole adaptation process of establishing information system and strengthening climate-related operational flexibility.

  • PDF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에 따른 댐 하류하천의 유황 변화 분석 (Flow duration change in downstream of reservoir by selective deficit supply method)

  • 최영제;박문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021-1030
    • /
    • 2022
  • 최근 우리나라의 물 관련 정책은 수량-수질-수생태 통합관리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하천의 자연성 회복이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수기 댐 운영에 있어서는 가뭄, 물 수요 증가 등으로 용수공급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하고자하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다. 댐 운영에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하면 댐의 용수공급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는 있지만 하류 하천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자연하천은 오랜 시간동안 형성된 하나의 생태계로 유량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결국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한 댐 운영은 수량 관리에서는 효과적이지만 하천의 자연성 회복 및 수생태 측면에서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모의를 통해 보장량 공급방식, 부족분 공급방식,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 등의 댐 운영이 하류 하천 유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각 운영방식의 적용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보장량 공급방식을 적용하면 하천의 유량 변동성은 크게 유지할 수 있으나 댐의 용수공급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족분 공급방식을 활용하면 용수공급능력을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하류의 평수량과 갈수량의 차이가 매우 작아 유량의 변동성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택적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할 경우 기간신뢰도를 95% 이상으로 유지하며, 하류 하천의 유황은 보장량 공급방식을 적용할 때와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tudy on the Usage Status of Public Enshrinement Facilities and Public Natural Burial Sites the User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Gyeonggi-do Using the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 Choi, Jae Si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185-192
    • /
    • 2022
  • We presented the research analysis result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is study as follows. First, we findings it was analyzed that the cremation number in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creased at a high ratio of 7.5% per year on average. Therefore, policies to expand the supply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preparation for the continuous increase in cremation demand must be implement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in this study we users of public enshrinement facilities accounted for 21.0% of total cremation number,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 increased at an annual average of 9.0%. Therefore, as the supply reaches its limit within 1 year in Suwon City and within 2 years in Seongnam City, policies to expand the supply of public enshrinement facilities in Suwon City and Seongnam City must be implemented urgently. Third, it was analyzed through we research users of public natural burial sites accounted for a very low percentage of 1.6% of total cremation number. Therefore, policies such as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for public natural burial sites, improving facilities,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o promote the use of public natural burial sites at the government-wide should be preceded.

설계변수에 따른 압축천연가스 저장 공동의 거동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CNG Storage Cavern in Accordance with Design Parameters)

  • 박연준;문형석;박의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3호
    • /
    • pp.192-202
    • /
    • 2013
  • 최근 유가 상승 및 지구 온난화에 대한 온실가스의 규제 강화로 인해 국내 천연가스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 천연가스 시장의 공급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2008년 한국가스공사와 Gazprom 간에 러시아 파이프라인 천연가스 공급에 관한 협약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러시아 PNG 도입계획이 본격화되어 천연가스가 도입되면 겨울철에 가스 수요가 집중되는 국내의 경우엔 천연가스 수급 균형을 위하여 지하저장시설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본 연구는 암반등급, 토피고, 저장압력, 현지측압계수(Ko)를 변수로 하여 천연가스 저장 공동의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제안된 설계변수에 따른 저장 공동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축대칭 조건을 사용하여 2차원 응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전단강도/전단응력으로 정의된 공동의 안전율은 심도, 암반등급 및 저장압력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나 측압계수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전기식 냉동기에서 냉매의 공급온도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의 톤당 냉열 가격 산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ce Evaluation Per 1 Ton of Liquefied Natural Gas According to the Refrigerants Supply Temperature in the Electric Refrigerator)

  • 김영우;박일수;조정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473-477
    • /
    • 2019
  • In this paper, cold heat price contained in the 1 ton/h of LNG has been evaluated using PRO/II with PROVISION release 10.2 from Aveva company when LNG is used to liquefy several refrigerants instead of using vapor re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Normal butane, R134a, NH3, R22, propane and propylene refrigerants were selected for the modeling of refrigeration cycle. It was concluded that LNG cold heat pric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frigerant supply temperature, even though LNG supply flow rate is not varied according to the refrigerant supply temperature.

국내 천연석재 산업의 수급 동향과 지역별 유통분석 (Supply Trends and Region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Domestic Natural Stone Industry in Korea)

  • 이진영;홍세선;김건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4호
    • /
    • pp.431-447
    • /
    • 2024
  • 국내에서 유통되는 천연 석재 시장의 거래내역을 통해 석재산업의 수요 공급 현황과 지역별 유통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천연 석재의 수요는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석재 생산업체들은 저가 석재의 유입으로 경영 악화를 겪고 있으며, 정부는 국내 석재 사용 의무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조달청의 천연 석재 거래 내역을 분석한 결과, 화강암이 주요 암석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거래 품목은 자연석경계석과 자연석판석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거래금액은 약 3,128억 원에 달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석재 유통은 수도권이 높은 수요를 보이는 지역인 반면 비수도권은 주요 공급지로 나타나는데, 특히 경기도 포천시, 전라북도 익산시, 경상남도 거창군 등은 주요 석재 공급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석재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석재산업 육성과 유통 경로의 다양화 그리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제안하며, 정부, 업계, 연구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과 지원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