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preservativ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4초

초임계 유체 기술로 추출한 목초액 첨가 장류의 품질향상효과 및 보존성

  • 윤선경;윤성옥;전병수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701-705
    • /
    • 2003
  • $40^{\circ}C$, 110bar 조건에서 초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타르, 탄화취 등의 유해성분이 제거된 정제 목초액을 간장 및 된장에 첨가한 결과 간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균수가 적어 보존효과가 있었으며,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간장은 산막효모의 생성이 전혀 없어 품질에는 변화가 없었다. 된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대체로 균수가 적어 보존효과가 있었으며, 된장의 색을 측정해 본 결과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은 된장의 갈변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천연보존료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Preservative on Efficacy and Storage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 이희섭;이성진;손요한;유희종;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17
    • /
    • 2017
  • 본 연구는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해 천연보존료인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복합 황금추출물은 $H_2O_2$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있어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cetaminophen에 의한 급성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시료에 첨가된 복합 황금추출물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효능에 있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 고찰할 때 복합황금추출물은 기능성 원료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액상제형 건강기능성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보존제로 판단되었다.

다목적용액에서 천연보존제로서의 Allyl 유도체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yl Derivate in Multi-purpose Solution as Natural Preservative)

  • 이지영;서승교;성덕용;육도진;이군자;정재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5-10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마늘 allyl 유도체의 안질환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이를 다목적용액(MPS)에 응용함으로써 천연물유래 마늘성분을 이용하여 MPS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cus aereus)에서 마늘유래 allyl 유도체인 diallyl sulfide(DAS)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없는 MPS에 DAS를 함께 처리하여 세균의 생육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50%의 생육저해($IC_{50}$)를 나타내는 DAS농도는 녹농균과 황색포도상구균 각각 0.25%와 0.64% 였다. MPS의 항균활성 실험에서 A사의 제품은 효과가 없었으며 B사의 제품은 두 균 모두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B사 MPS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과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DAS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보존제의 개발을 위해 처리된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A사의 MPS를 사용하여 A사의 MPS에 DAS를 첨가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한 바 DAS의 항균활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살균제에 대한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결론: 마늘의 allyl 유도체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녹농균에서 더큰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성분과 같은 천연물유래 항균활성물질이 MPS의 보존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수용성 방부처리재의 기상열화 저항성 평가 (Evaluation of Weathering Durability of Waterborne Preservative Treated Wood by Accelerated Weathering)

  • 이명재;이동흡;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44-49
    • /
    • 2003
  • 수용성 방부처리(AAC, CCA-3, ACQ, CuAz) 소나무 시편의 기상열화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공촉진열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상열화에 의한 재색 및 중량변화, 물리적 표면열화, 목재조직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AAC 처리시편을 제외한 ACQ, CCA, CuAz 처리시편은 기상열화에 대한 저항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몇몇 방부처리재가 기상열화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요인탐색을 위해 기상열화 산물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ACQ, CCA, CuAz 처리시편에서는 낮은 리그닌 함량이 측정되어 기상열화 저항성을 가지는 처리시편은 리그닌 열화가 적게 일어남을 나타냈다. 이는 방부제 유효성분이 목재 주성분 중 기상열화에 민감한 리그닌 구조에 정착함으로써 리그닌 열화에 대한 저항성이 발현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Natural Extract Mixtur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Seung-Hye Woo;Min Kyung Park;Min-Cheol Kang;Tae-Kyung Kim;Yea-Ji Kim;Dong-Min Shin;Su-Kyung Ku;HeeJin Park;Heeyoung Lee;Jung-Min Sung;Yun-Sang Cho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6-164
    • /
    • 2024
  • Owing to the residual toxicity and adverse health effects of chemical preservativ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using natural preservatives in food. Although many natural extracts have been evaluated, research on their antibacterial effects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sidium guajava, Ecklonia cava, and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extracts as natural food preservatives. Further, the effect of mixing these extracts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was evaluated during the refrigeration of sausages. Optimal mixing ratio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inimum inhibitory and bactericidal concentrations of each mixed extract against the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D-optimal mixing design optimization tool was further used to obtain an optimum mixing ratio of Formulation 1 (F1).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F1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with similar activities at 0.5% and 1%. The sausages with synthetic or natural preservativ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ipid oxid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grapefruit extract-treated sausages after 4 wk of refrigeration. Total plate counts were observed only i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stored for 3 wk, and no significant effect of ascorbic acid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sausages with added natura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initially and after 4 wk. Therefore, similar amounts of grapefruit seed and natural extracts had the same effect on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lipid rancidity during sausage storage. Hence, this mixture can serve as a potential natural preservative in meat products.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 김지영;이정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5-259
    • /
    • 2007
  • The solvent extracts of Oenothera laciniata, which were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repared for utility as a natural preservative. The O. laciniata extract by 80% ethanol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 were investigated on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O. laciniata extracts.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shown in ethanol,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 of O. laciniata. However n-hexane, dichloromethane and water fraction showed weak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microorganisms. Among the five fractions,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microorganisms tested, such a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polyphenolic compounds widely occurring in the traditional medicine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high antibacterial activity. The polyphenolic compounds from ethanol,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 were 63.96 mg/g, 8.49 mg/g, 28.11 mg/g, 172.64 mg/g, 114.56 mg/g, and 34.91 mg/g, respectively. There are some relationships between antibacterial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in natural plant. The ethylacetate fraction could b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food preservative.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형에서의 방부효과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as an Alternative of Chemical Preservative: Preservative Efficacy of Terminalia chebula, Rhus japonica (gallut) and Cinnmomum cassia Extract in the Cosmetic Formular)

  • 조은미;배준태;표형배;이근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5-331
    • /
    • 2008
  • 본 연구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제형 내에서 천연 방부제로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선별된 15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병원성 세균(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과 효모균(Candida albicans), 곰팡이균(Aspergillus niger)에 대한 paper disc법(disc diffusion method)과 최소저해농도측정법(MIC)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자, 오배자 추출물은 그람 양성인 S. aureus와 그람 음성균인 P. aeruginosa, E. coli 에 대한 항세균 활성이 우수하였고, 계피 추출물은 효모균인 C. albicans와 곰팡이균인 A. niger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냈다. 최종 선별된 3종 외 식물추출물은 효과가 없었다. 항균 활성 효과가 우수한 최적 조합비로 구성된 가자, 오배자, 계피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화장품 제형에 첨가하여 제형 내 방부 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파라벤 혼합 방부제와 유사한 정도의 방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화학 방부제를 대신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로만 이루어진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방부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최근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화학 방부제의 단점을 극복한 천연 방부제를 함유한 화장료의 개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된 목초액 첨가 장류의 품질향상효과 및 보존성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and the Preservation on Soybean Sauce and Paste by Adding Pyroligneous Liquor Trea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윤선경;이승진;윤성옥;박선영;김학경;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17-121
    • /
    • 2003
  • 4$0^{\circ}C$, 110 bar 조건에서 초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한 목초액을 GC/MS로 분석한 결과 타르, 탄화취 등의 유해 성분이 제거되었다. 이 정제 목초액을 천연보존제로써 간장 및 된장에 첨가하여 보존성을 관찰한 결과, 간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총균수가 적었으며, 간장 내에 있는 미생물이 어느 진도 성장에 저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보존성 및 품질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된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대체로 총균수가 적어 보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된장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은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명도(L$^{*}$ )와 황색도(b$^{*}$ )는 증가하였고, 적색도(a$^{*}$ )는 낮아 된장의 갈변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임계 기술로 추출한 목초액은 간장 및 된장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첨가물로써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방부성(防腐性) 발수제(撥水劑)와 methyl metacrylate 이중처리(二重處理)에 의(依)한 붕소화합물(硼素化合物) 처리재(處理材)로부터 붕소(硼素)의 용탈(溶脫) 저항성(抵抗性)에 관(關)한 기초연구(基礎硏究) (Preliminary Study of the Leaching Resistance of Boron from Borate Treated Wood by the Dual Treatment with Water-Repellent Preservative and Methyl Metacrylate)

  • 김규혁;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4호
    • /
    • pp.13-18
    • /
    • 1994
  • Sapwood samples of pitch pine were treated with disodium octaborate alone by dip-diffusion, or in combination with water-repellent preservative(WRP) and methyl metacrylate(MMA). Treated samples were subjected to an accelerated leaching test for determining the improvement of leaching resistance and to soft rot and mold tests for evaluating the increase in bioefficacy, due to the addition of WRP and MMA applied as a second treatment. The addition of WRP and MMA retarded leaching of boron to some extent from treated samples and this retardation can be explained by improved water repellency of WRP and MMA treated samples. Borate /WRP and borate /MMA systems will not qualify borate treated wood for ground and fresh water contact use but may improve performance of borate treated wood in above-ground applications not subjected to continuous wetting conditions. Bioefficacy against soft rot fungi and mold fungi was improved by a second treatment with WRP. However,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of borate /MMA systems was not observed. Considering improvement in both resistance of leaching and bioefficacy against micro fungi by the treatment of WRP and MMA, simultaneously, the dual treatment of borate treated wood by MMA containing co-biocides might be believed as an ideal treatment system.

  • PDF

합성 항균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물질의 항균 효과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Aromas for Substitution of Parabens)

  • 조춘구;김봉남;홍세흠;한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6-185
    • /
    • 2002
  • 화장품 항균제로 사용되는 합성물질인 paraben과 천연물질인 aroma oil의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Aroma oil은 pine, rosemary, lemon, eucalyptus와 paraben은 methylparaben, butylparaben을 사용하였으며 각 농도는 0.0, 0.1, 0.2, 0.4, 0.8, 1.0wt%으로 하였다. 대상 균주는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No. 6538), Bacillus subtilis(ATCC No. 6633)와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ATCC No. 8739), Pseudomonas aeruginosa(ATCC No. 9027)을 사용하였으며, 항균력은 disk paper method와 broth dilution method로 측정하였다. Aroma oil과 praben의 항균력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하여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aroma oil이 paraben보다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Aroma oil은 eucalyptus, lemon, pine, rosemary 순으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butylparaben이 methylparaben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Rosemary와 pine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때 보다 3/1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항균력이 더욱 우수하게 증가하는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