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preservativ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5초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helioscopia Extracts)

  • 김지영;이정아;김길남;송관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06-1112
    • /
    • 2007
  • 본 연구는 대극과 식물인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변화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도 비례해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은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본 실험에 사용된 7종의 균주 모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등대풀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 결과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의 비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한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부탄올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헥산 분획물 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탄올 추출물>헥산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수용성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HPLC 및 GC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보존료 함유량 조사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Raw Materials of Functional Foods by HPLC-PDA and GC-FID)

  • 김정복;김명철;송성완;신재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8-3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및 부원료에 대하여 천연 유래의 보존료(소르빈산, 안식향산, 프로피온산)의 문헌상의 함유량을 조사하며, 국내 유통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천연 유래 보존료의 검출 가능성이 있는 원료를 선정하고 수집하여 천연 유래 보존료의 함유량 조사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식품공전상의 보존료 시험법의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액체, 분말, 유지시료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회수율,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에 대한 시험법 검증을 실시하였다.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직선성은 0.99 이상의 높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정밀성은 일간과 일내에서 0.5~9.2%, 정확성은 84.0~123.9%의 정확성을 보였다. 회수율은 각각의 보존료에서 88.7~98.9%를 나타냈고, 검출한계는 0.03~1.30 mg/kg, 정량한계는 0.10~3.80 mg/kg으로 산출되었다. 시료는 총 80품목 212건을 수집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48품목 85건의 시료에서 보존료 성분이 검출되었다. 전체 보존료 성분의 검출률은 40.1%였으며, 26건의 시료에서 중복의 보존료 성분이 검출되었다. 소르빈산은 7건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안식향산은 60건, 프로피온산은 47건에서 검출되어 안식향산이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검출된 보존료 성분의 함량 분포는 소르빈산의 경우 10 mg/kg 이하가 5건, 50 mg/kg 이하가 1건, 500 mg/kg 이하가 1건 검출되었으며, 안식향산의 경우 10 mg/kg 이하가 36건, 50 mg/kg 이하가 14건, 100 mg/kg 이하 및 500 mg/kg 이하가 각각 4건이었으며, 500 mg/kg 이상 검출된 경우도 2건이었다. 프로피온산의 경우 10 mg/kg 이하가 25건, 50 mg/kg 이하가 13건, 100 mg/kg 이하가 3건, 500 mg/kg 이하가 6건이 검출되어 시료에서 검출된 보존료의 함량은 10 mg/kg 이하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에 대한 천연 유래 보존료의 DB를 마련하고, 향후 건강기능식품 중 보존료의 천연 유래 여부 판단 시 근거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국가 간의 교역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등으로 인한 무역마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피부 병원성균에 대한 오배자 천연 복합물의 시너지 항균 효과 (Antimicrobial Synergistic Effects of Gallnut Extract and Natural Product Mixture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 김주희;최연선;김왕배;박진오;임동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5-161
    • /
    • 2021
  • 본 연구는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소재를 검색하고 화장품의 보존제로써 적용을 위해 진행되었다.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method)을 통해 피부 병원성균 3 종(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E. coli), Pseudomonas aeruginosa)과 효모균(Candida albicans (C. albicans))에서의 천연 항균 소재 9 종을 검색하였다. Inhibition zone 크기를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Rhus Semialata gall (Gallnut) extract), 참나무 목초액 (Oak vinegar) 그리고 폴리리신(ε-polylysine)은 10 mm 이상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병원성균 3종과 효모균, 곰팡이균(Aspergillus brasiliensis (A. brasiliensis))에서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를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은 5 종의 병원성균에서 10 ~ 20 mg/mL와 20 ~ 40 mg/mL, 폴리리신의 경우 진균류에서 0.5 ~ 2 mg/mL으로 살균 작용에 의한 항균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Checkerboard 방법에 따라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 오배자 추출물과 폴리리신의 혼합 비율에 따른 시너지 효과(synergistic effect), 부가 효과(additive effect), 무관함(indifferent) 그리고 상쇄효과(antagonistic effect)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 복합물은 E. coli, C. albicans, A. brasiliensis를, 오배자 추출물과 폴리리신 복합물은 C. albicans, A. brasiliensis를 4 배 낮은 농도에서 99.9% 억제하며 항균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오배자 추출물과 참나무 목초액 복합물은 S. aureus와 P. aeruginosa를 2 배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며 부가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로써, 오배자 천연 복합물은 항균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춘 천연 방부 시스템으로써 화장품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뿌리에서 추출한 순차분획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al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Root)

  • 송종호;김민주;권혁동;박인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53-1058
    • /
    • 2003
  • 본 연구는 어성초(Houttunynica cordata) 뿌리의 에탄올추출물과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수용성 분획물을 이용하여 disc diffusion의 방법에 의해 항균활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조된 어성초 뿌리로부터 획득한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전체 건조 중량의 15.7%로 나타났으며, 용매의 극성을 이용한 분획물의 수율은 수용성 분획물(5.9%)>클로로포름 분획물(0.5%)>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0.1%) 순으로 나타났다. 어성초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Gram 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B. cereus, C. xerosis 및 S. aureus에 대하여 10.7∼11.8mm의 inhibition zone을 보였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25mg/disc의 낮은 농도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5.00mg/disc에서는 5종의 Gram 양성균과 9종의 Gram 음성균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서 부탄올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보다 2배정도 높은 농도에서 비슷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클로로포름과 수용성 분획물은 20.00 mg/disc의 높은 농도에서도 각각 3종 및 5종의 검정균에 대해서만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어성초 뿌리의 에탄을 추출물과 각 순차분획물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에탄올 추출물>클로로포름 분획물>수용성 분획물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페놀성 물질이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는 기존의 보고와 동일하게 에탄올 추출물과 각 순차분획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의 함량과 항균 활성이 정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argassum muticum Extracts)

  • 김지영;이정아;김길남;윤원종;이욱재;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63-669
    • /
    • 2007
  • 본 연구는 갈조류인 모자반속 중에서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을 대상으로 에탄올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상관성 등을 조사함으로써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경단구슬모자반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활성은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활성도 비례해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산화활성이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은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에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이 본 실험에 사용된 6종의 균주 모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경단구슬모자반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 결과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한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부탄올 분획물>헥산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헥산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에탄올추출물>수용성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미세조류 동결보존 기술 개발의 최근 연구 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of Cryopreservation Technology Based on Microalgae Chlorophyta)

  • 임준호;서용배;김선민;전용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60-968
    • /
    • 2021
  • 미세조류 연구는 18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이후 생물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생물자원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미세조류의 산업 활용에 초점을 맞춘 식품/사료 및 생리 활성 화합물에 대한 초기 주요 연구 분야는 현재 대체 에너지 자원, 탄소 배출 저감 및 폐수 처리를 포함한 환경 연구 분야로 더욱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그 산업적 활용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세조류 배양의 장기 보존과 관련된 기초 연구 분야는 많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띄는 안정적인 미세조류 배양체 보존은 이러한 미세조류의 산업적 활용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성공요소이다. 따라서 본 총설은 조류(algae)의 분류체계에서 가장 큰 분류군을 차지하는 녹조류(Chlorophyceae)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최첨단 미세조류 냉동보존기술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생물자원은행 및 국제 미세조류 자원은행에 기탁된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띄는 미세조류 배양체를 보존·유지하기 수행하고 있는 보존 기술과 함께 동결보존 시 온도조절 효과, 보존제 효과 등 미세조류의 성공적인 동결보존 기술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를 살펴보면, 미세조류의 형태 및 생리학적 다양성으로 인해 현재로서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미세조류 장기 보존 방법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세조류의 분류학적 체계를 명확하기 위한 종 특이적 바이오마커의 개발과 종 특이적 동결보존 방법에 기반한 체계적인 접근을 위한 기초 연구 분야에 대해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자연환경 평가 -II. 국내 자연공원과 울릉도의 식물군을 이용하여-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 II. Based on the Plant Taxa of the Natural Parks and Ulleung island-)

  • 김철환;이희천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49-58
    • /
    • 2001
  • 여러 자연공원의 환경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하여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을 이용하였다. 식물군의 각 등급의 중요도에 따라 V등급을 구성하는 식물에는 20점, W등급 10점, III등급 5점, II등급 3.3점 그리고 I등급의 식물군에는 2.5점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였다. 조사된 자연공원지역의 식물군에 따른 전체 평가점수의 순서는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덕유산, 울릉도, 소백산, 오대산, 팔공산, 치악산, 태백산, 속리산, 주왕산, 가야산, 두륜산, 계룡산, 북한산, 내변산, 월악산, 내장산, 청량산, 내 연산, 명지산, 조계산, 무등산, 월출산, 금오산, 주흘산, 비슬산, 황매산, 장안산, 선운산, 모악산, 선암산, 칠갑산 및 기백산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식물군에 따른 자연환경은 1,000점 이상을 얻는 한라산-덕유산은 아주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700-1000점을 얻는 울릉도-오대산은 비교적 우수하고 500-700점을 얻는 팔공산-가야산은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300-500점을 얻는 두륜산-무등산은 보통으로 평가하였으며 300점 이하의 점수를 얻는 월출산-기백산은 열세 지역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국립공원의 식물군의 평가점수가 도립과 국립공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울릉도는 총 150개의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이 분포하고 그에 따른 평점은 882.9점으로 집계되어 IUCN의 기준에 따른 환경부의 자연생태계 보전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아울러 여러 자연환경을 감안하면 자연풍경자원 우수형에도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울릉도는 다른 국립공원과 비교해 손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국립공원으로의 지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의 우수성의 판단을 의미하는 편견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안을 통해 기밀성 침해의 우려가 있는 메시지 명령어를 차단하고, 기능 명령어 차단에 의한 자원의 기밀성을 해결하였다.성 다한증 발생을 비교한 결과 교통가지 절제술에서 보상성 다한증 발생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보상성 다한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교통가지 절제술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식도열공을 통한 식도절제술은 주변 장기에 침범이 없고 암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술 전 전신상태가 좋지 않아 호흡기계 합병증 등이 우려되는 환자에게 선택적으로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리고 두 술식은 집도외간의 기호와 경험에도 좌우될 수 있다고 하겠다.<0.05), 면류(p<0.01)와 종류별로는 덮밥, 짜장밥(p<0.01), 해장국, 컵라면(p<0.05) 등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 26세 이상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석가공식품을 접하게 된 동기는 'TV광고', '호기심 ', '친구/가족들의 권유와 소개', '신문이나 잡지광고', '인터넷광고 및 홍보' 등의 순이었으며, 즉석가공식품의 구매장소로는 '편의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동네 인근슈퍼', '대형마트', '백화점 '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즉석가공식품의 이용률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나 남자가 여자보다 또는 비조리전공학생이 조리관련전공 학생보다 즉석가공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세분화 고객에 대한 제품 개발과 홍보방안을 고려 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학생들은 일부 즉석가공 식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율이 높은 점을 이용한 인터넷상의 적극적인

  • PDF

짚신나물(Agrimonia pilosa)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grimonia pilosa extract)

  • 김현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1-266
    • /
    • 2015
  • 본 연구에서 짚신나물(A. pilosa)의 뿌리부분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짚신나물 뿌리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짚신나물 뿌리 추출물 처리 시 항산화($ID_{50}$, 20.70 mg/L) 및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았다. 또한, 짚신나물 뿌리 추출물 처리시 높은 tyrosinase 활성저해($ID_{50}$, 90.18 mg/L) 및 멜라닌 함량 저하를 보여주었다. 이는 짚신나물 추출물이 세포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짚신나무 뿌리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개선 효과를 비롯한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Benzoic Acid Production with Respect to Starter Culture and Incubation Temperature during Yogurt Ferment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Yu, Hyung-Seok;Lee, Na-Kyoung;Jeon, Hye-Lin;Eom, Su Jin;Yoo, Mi-Young;Lim, Sang-Dong;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7-434
    • /
    • 2016
  • Benzoic acid is occasionally used as a raw material supplement in food products and is sometimes gener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of naturally occurring yogurt preservatives was investigated for various starter cultures and incubation temperatures, and considered food regulations.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plantarum,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infantis, and Bifidobacterium breve were used as yogurt starter cultures in commercial starters. Among these strains, L. rhamnosus and L. paracasei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of benzoic acid. Therefore, the use of L. rhamnosus, L. paracasei, S. thermophilus, and different incubation temperatures were examined to optimize benzoic acid productio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performed for various incubation temperatures (35-44℃) and starter culture inoculum ratios (0-0.04%) in a commercial range of dairy fermentation processe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0.04% L. rhamnosus, 0.01% L. paracasei, 0.02% S. thermophilus, and 38.12℃, and the predicted and estimated concentrations of benzoic acid were 13.31 and 13.94 mg/kg, respectively. These conditions maximized 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 production during the yogurt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observed production levels satisfied regulatory guidelines for benzoic acid in dairy products.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hominis subsp. hominis WiKim0113 Isolated from Kimchi as a Starter Culture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Pre-converted Nitrite

  • Hwang, Hyelyeon;Lee, Ho Jae;Lee, Mi-Ai;Sohn, Hyejin;Chang, You Hyun;Han, Sung Gu;Jeong, Jong Youn;Lee, Sung Ho;Hong, Sung Wo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12-526
    • /
    • 2020
  • Synthetic nitrite is considered an undesirable preservative for meat products; thus, controlling synthetic nitrite concentrations is important from the standpoint of food safety. We investigated 1,000 species of microorganisms from various kimchi preparations for their potential use as a starter culture for the production of nitrites. We use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o select a starter culture with excellent nitrite and nitric oxide productivity, which we subsequently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hominis subspecies hominis WiKim0113. That starter culture was grown in NaCl (up to 9%; w/v) at 10℃-40℃; its optimum growth was observed at 30℃ at pH 4.0-10.0. It exhibited nonproteolytic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a bacterium that causes food poisoning symptoms. Analysis of Staphylococcus hominis subspecies hominis WiKim0113 with an API ZYM system did not reveal the presence of β-glucuronidase, and tests of the starter culture on 5% (v/v) sheep blood agar showed no hemolytic activity. Our results demonstrated the remarkable stability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hominis subspecies hominis WiKim0113, especially in strain negative for staphylococcal enterotoxins and sensitive to clinically relevant antibiotics. Moreover, Staphylococcus hominis subspecies hominis WiKim0113 exhibited a 45.5% conversion rate of nitrate to nitrite, with nitrate levels reduced to 25% after 36 h of culturing in the minimal medium supplemented with nitrate (200 ppm).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e safety and utility of Staphylococcus hominis subspecies hominis WiKim0113, and therefore its suitability as a starter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