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cosmetics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4초

스킨헬스케어를 위한 증류 죽초액 함유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임상 적용 연구 (A Clinical Research of Acne Skin through Natural Cosmetics with Distilled Bamboo Vinegar Contents for Skin Health Care)

  • 박가희;박정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89-597
    • /
    • 2020
  • 본 연구는 천연물질인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개선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여 여드름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 10대 남·여 20명을 선정하여 난수표방식에 따라 10명은 천연화장품(폼 클렌징, 토너, 팩)을 사용한 대조군으로 10명은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폼 클렌징, 토너, 팩) 사용한 실험군으로 배정하였다. 화장품 사용 기간은 12주로 하였고, Mark-·Vu 피부 측정기를 사용하여 사전, 6주 후, 12주 후 피부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화장품의 피부 안정성 확인을 위한 인체첩포시험 결과 피부에 안전한 제품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조군과 실험군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 검증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이마와 오른 볼 부위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 변화의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에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은 피부에 안전하며, 여드름 피부에서 피부의 피지 감소와 모공 크기 및 붉은기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화장품 산업에서 증류 죽초액 활용을 기대하는 바이다.

로하스 계층별 천연 화장품에 대한 가치 지각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lue Perception for Natural Cosmetics by LOHAS Class on Their Purchasing Intention)

  • 이강이;김순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1-122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value percep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for natural cosmetics by LOHAS class and investigated what influences people's value perception for natural cosmetics had on their purchasing intention. Total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dults of over 20s to 50s for the period from Dec. 1, 2011 to Dec. 14 and 41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As for collected data,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Version was used for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one-way ANOVA, Chi-Square test, Scheffe-test, correlations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HAS clas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er, middle and lower) based on LOHAS index. Through factor analysis, the value perception for natural cosmetics were divided into three factors (social valu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below. First, in case of the value perception for natural cosmetics by LOHAS clas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LOHAS classes they were, the higher value perception for natural cosmetics (social,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 perception) they had. Second, in case of the effects of the value perception for natural cosmetics by LOHAS class on their purchasing intention (intention to use and recommendation of usage), it was found that their value perception influenced their purchasing intention. Social value perception and functional value perception, especially social value perception largely affect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all LOHAS classes, while emotional value perception didn't affected the purchasing intention.

  • PDF

로하스 계층에 따른 천연화장품의 평가기준이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valuation Criteria for Natural Cosmetics on 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s according to the LOHAS Class)

  • 김순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5-154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valuation criteria for natural cosmetics on 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s according to the LOHAS clas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 2 to 17, 2013 and a total of 41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First, evaluation criteria for natural cosmetics had four dimensions - practical, aesthetic, promotional, and social criteria. Second, for the upper LOHAS class, all four dimensions of evaluation criteria for natural cosmetics were important relative to the middle and lower classes. Third, for the upper and middle LOHAS classes, purchase intentions were influenced by practical criteria. However, evaluation criteria had no effect for the lower LOHAS class. Fourth, the upper LOHAS class considered practical criteria, the middle LOHAS class considered practical and social criteria, and the lower LOHAS class considered aesthetic criteria, As a result, word-of-mouth intentions were influenced by evaluation criteria for natural cosmetics.

COSMOS-standard AISBL과 우리나라 유기농 화장품 기준에 관한 분석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OSMOS-standard AISBL and The Regulation of Korean Organic Cosmetic Standard)

  • 최성철;손상목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y of certified organic cosmetics market and the certification standards and regulations they are under, compare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COSMOS-standard AISBL with the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organic cosmetic standard regulation. And then examining their differences and any potential issues is to present suggestions to be made as data for certification standard for natural & organic cosmetics in Korea regulation. This contents of study will be used as good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mote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natural & organic cosmetic ingredients which have been grown by organic farmers certified. Also certified organic ingredients may help to growth the organic industry. I believe these are actual comparative for application to develop of natural and organic cosmetics in Korea as well the strengthening of the competitiveness of organic cosmetics certified in the world.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의 천연화장품 원료로서의 효능 평가 (Evaluation of Alcea rosea L. Callus Extract as a Natural Cosmetic Ingredient)

  • 이기복;염아름;김동원;박창민;정민석;이기용;정철승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5-3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하여 접시꽃 캘러스 생리활성 효능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접시꽃캘러스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은 DPPH, ABTS, FRAP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접시꽃캘러스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강력한 항산화 능력을 확인되었다. 더불어,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은 10 mg/mL 의 농도에서 세포 내 ROS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은 10 mg/mL 의 농도에서 tyrosinase 활성을 51%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효능을 지닌 화장품 기능성 소재로서 적용 가치가 높은 천연소재로 사료된다.

Clinical Study on Skin Improvement Effect in Adult Women of Age 40 to 50 Using Cosmetics Containing Sea Cucumber Extract

  • Kim, Yong-shin;Moon, Ji-su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3-124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a cucumber extract on skin as a natural cosmetics functional material. Subjective evaluation of cosmetics before and after were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regarding moisture content, sebum content, melanin index, and erythema index.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improvement efficacy using skin clinical trials and questionnaires to evaluate changes in perception of skin condition and efficiency of products. With the aim of minimizing skin irritation, the efficiency of the solvent used for extra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and the sea cucumber extract was harvested with efficient extraction conditions at a ratio of 1:10 of 50% ethanol.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uitability of sea cucumber extract as a functional cosmetics material to improve the moisturizing ability of skin and its effect on the skin by adding marine natural animal sea cucumber extract. Clinical studies on cosmetics skin containing sea cucumber extract, excellent skin improvement effect from all items of clinical experiment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ea cucumber extract was proved to be a stable, non-advers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gainst abnormal symptoms or side effects of skin reactions and skin problems. In addition, the study found excellent results that can lead to its use as a cosmetics material.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smetics industries.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폴리올(Polyol-in-Oil) 립메이크업 제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olyol-in-Oil Type Lip Makeup Cosmetics with Natural Pigments)

  • 이동원;김영호;정은지;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5-73
    • /
    • 2013
  • 립 메이크업 제품은 음식물과 함께 체내로 유입되므로 안전성에 대한 필요성이 다른 화장품보다 크다. 또한 합성 안료인 타르계 색소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천연색소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되고 있으며, 많은 종류의 천연 색소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립메이크업 제품에 합성색소 대신 천연색소를 이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 천연 색소는 안토시아닌 계통의 친수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존의 입술 화장료는 오일과 왁스로 이루어진 무수상태의 유분산 제형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립메이크업 제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인 무수제형이기 때문에 수용성인 천연색소를 사용할 경우에 색상발현도가 낮고 불안정하여 제형에서 색소가 분리되기 쉽다. 또한 천연색소는 pH, 열 및 일광 등에 의해 쉽게 변하는 단점이 있는데, 무수제형에서는 이에 대한 조절이 쉽지 않아 안정도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색상 표현력이 우수한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천연색소를 유중폴리올 에멀젼에 포집하여 색소의 안정도를 확보하였으며, 수분증발 시 생기는 건조함이 없는 우수한 보습력을 갖는 립메이크업 제품을 제조하였다.

매실 과피, 과육과 핵의 품종별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ation of Plum (Prunus mume Sieb. et Zucc.) Flesh, Pericarp and Stone Extracts)

  • 서지원;최현선;천정남;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0-100
    • /
    • 2019
  • 매실에는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피루브산 등의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체내의 대사작용을 돕고 세포와 근육에 필요물질인 젖산을 분해하여 피로를 감소시켜주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있다. 또한 피루브산은 간의 피로, 해독작용을 활발하게 도와주며 카테킨산은 장내의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식중독을 예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설사와 변비를 치료하는데도 효과가 있으며 다량의 비타민C의 함유로 인하여 체내의 피로회복을 돕고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매실은 전라남도 해안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특히 순천과 광양지역에서 다양한 품종들을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순천과 광양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남고, 천매, 고성, 앵숙, 풍후, 옥영, 임주, 청축, 백가하 등의 잎과 과육, 핵의 추출물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은 핵, 과육보다 잎에서 양호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매실의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던 바, 매실의 대부분의 품종에서 항산화 활성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부위별에서는 핵보다는 잎과 과육에서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품종별로는 앵숙, 남고, 청축에서 다소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매실의 항산화 활성은 품종별, 부위별로 상이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 of facial cosmetic containing Prunus persica L. Batsch leaves extract on men's skin condition

  • Kwon, Hye-Jin;Jang, Hye-Rroon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703-711
    • /
    • 2017
  • Today, men's appearanc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global fashion industry, including Korea, with such fashion concepts as the Metrosexual and Ubersexual. Domestic and overseas beauty and cosmetics related organizations are using this phenomenon for marketing and researching to improve the function of cosm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unus persica L. Batsch leaf extract on the skin condition after clinical application to male subjects with oily skin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cosmetics utilizing this extract. The cleansing bars were prepared by the MP method and the cleansing packs were prepared using natural ingredients. After 8 weeks of application, moisture, oil, erythema, melanin, pH, elasticity and tactile sensation were measured using MPA5.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zone moisture and T-zone oil after using the natural cleansing ba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other items. Howev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individual skin condition change items of the subjects in each group, and it was judged that the two kinds of formulations could be used at the same time to have a higher skin improvement effect. Thus, Prunus persica L. Batsch leaf extract demonstrates potential to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s item.

베리류 6종(블루베리, 아로니아, 복분자, 오디, 산딸기, 라즈베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6 Types of Berries (Vaccinium corymbosum, Aronia melanocarpa, Rubus coreanus, Morus alba, Rubus crataegifolius, Rubus idaeus))

  • 천정남;박문수;서지원;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8-68
    • /
    • 2023
  • 베리류 과수 가운데 블루베리, 아로니아, 복분자, 오디, 산딸기, 라즈베리 등 6종의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상호간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아로니아> 복분자> 오디> 블루베리> 라즈베리> 산딸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 활성은 아로니아> 라즈베리 >복분자> 블루베리> 오디> 산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총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아로니아와 복분자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라즈베리의 경우는 총폴리페놀 함량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따라서 앞으로 라즈베리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6종 베리류(블루베리, 아로니아, 복분자, 오디, 산딸기, 라즈베리)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에 대한 효과가 양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활용하여 트러블, 염증 억제제 및 항균활성으로 기능성 화장품의 신소재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