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asset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초

국부통계 산출을 위한 입목자산 분류기준의 정립 (Reviewing Classification Scheme of Timber Assets for the National Accounting in Korea)

  • 정세경;김영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724-729
    • /
    • 2007
  • 우리나라의 산림자원은 그 양적인 증대에도 불구하고 임업의 낮은 채산성으로 인해 경제적인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1998년에 시행된 제4회 국부통계 조사 시 입목자산에 대한 통계를 산림청에서 추계한 이후, 입목자산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입목자산의 분류기준에 대해서도 명확한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자산분류를 규정하고 있는 '1993 국민계정체계(상 하)'와 그 모태가 된 UN의 '1993 SNA' 원문을 대상으로 입목자산과 관련된 조항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입목자산의 분류를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차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1993 국민계정체계'는 인공조림여부에 따라서 천연림은 비생산자산으로 인공림은 생산자산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이는 원문인 '1993 SNA'의 취지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3 SNA'의 원문에서는 인공조림의 여부보다는 오히려 소유관계와 제도권 관리주체의 책임 하에서 통제 관리되는가의 여부를 기준으로 적용하여, 천연림의 경우에도 생산자산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따라서 '1993 SNA' 원문의 취지에 부합되도록 '1993 국민계정체계'를 개선하고 입목자산에 대한 분류기준을 정립하도록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미래예측 (Simulating the Future of Nakdong River Basin for the Sustainable Use)

  • 김진이;이석모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3-258
    • /
    • 2001
  • A macroeconomic minimodel was simulatedto suggest the public for sustainable us of Nakdong River Basin. The minimodel for the simulation show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activity. Topsoil, water, economic assets, and money stock are plotted for 300 years, beginning with 1996 in each simulation. The computer simulation runs suggest that the Nakdong River Basin system in the near future may strongly be influenced by the favorable availability of outside resources, while the economic assets and money stock may be declined by indigenous environmental stock depletion. The simulation run made under the constant decrease in systems purchased inputs with investment ratio of developed country and for sustainable use.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s the recover of natural environment and decrease of economic activity under these condition. Therefore, the economic structure of Nakdong River Basin should be transform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the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a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which depend on renewable resources rather than industrial structural which depend on outside resources.

  • PDF

자산기반매핑을 이용한 가난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Asset-based Mapping Approach to Design for Poverty Informations)

  • 류재익;김재윤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55-67
    • /
    • 2002
  • 자산관리 및 자산매핑은 공학, 산업, 경영 및 금융등 여러 분야에서 관심 있게 연구되고 실무에 활용되고 있지만 각기 다른 차원에서 해석되고 있다. 대부분 물리적, 자원적 그리고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리 및 운영 그리고 유지보수에 상당한 연구성과가 있지만, 개인, 가구 또는 사회가 근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의 유형 및 무형자산에 대한 관리는 기존의 자산관리 개념으로는 한계가 있는 듯 싶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적 핵사드 자산모델 제시하고 자산증가, 감소 등 여러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기하학적 표현을 시도하였다. 특히 물리적 및 자연적 자산이 가난을 벗어나게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어 3차원적 수치지도를 자산관리에 도입하고 또한 가난정보구축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의 자산기반 정보를 소개하였다.

  • PDF

Assets, Risks and Vulnerability to Poverty Traps: A Study of Northern Region of Malaysia

  • Senadjki, Abdelhak;Mohd, Saidatulakmal;Bahari, Zakaria;Hamat, Abdul Fatah Ch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4권4호
    • /
    • pp.5-15
    • /
    • 2017
  • The Northern States of Malaysia comprises of four states (Penang, Kedah, Perlis and Perak) still record high poverty incidence eventhough Malaysia has experienced a remarkable reduction of poverty over the past century. Economic activities in Perlis and Kedah that are predominantly agriculture in the rural area contribute to this disparity. To add, rural households are also subject to risks and uncertainties that make them more vulnerable to povert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isks and assets on households' vulnerability to poverty. A survey of 400 respondents was conducted in December 2015 in the northern region of Malaysia. From these 400 questionnaires, only 298 were considered valid and used in the analysis. Using a logistic probability fun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risks are not a significant threat to households. Gender and strata are crucial elements that significantly determine households' vulnerability. While human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significantly reduce households' vulnerability to poverty, physical and natural capital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and practitioners design strategies and policies with an assets-based approach. The asset-based approach is more appropriate for linking the causes of poverty to vulnerability.

목조건축문화재에 있어서 변위 및 손상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the Displacement and Damage of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 신병욱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5-32
    • /
    • 2019
  •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ypes of displacement and damage that occur in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assets. Although the wooden architectural cultural assets are being repaired through continuous maintenance, secondary problems frequently occur. This is because the root cause of the problem has yet to be solved. The types of displacement and damage that occur in the wooden architecture cultural asset are classified into three parts: the foundation section, the gagu section, and the roof section. In turn, the three main factors that lead to displacement and damages are the structures' load impact, the durability deterioration, and the imbalance. Load impac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member is subjected to a load that causes deformation or cracks. Durability decline is a natural phenomenon that reduces the performance of lumber as a result of check shake, termite damage, and decay. The imbalance is a condition in which the lumber is twisted and the force balance is lost, due to either drying shrinkage or displacement of the gagu section.

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에 의한 한국의 지속적인 발전가능성 평가(II) -한국의 자연환경과 경제활동에 대한 미래예측- (Evaluation of Korea\`s Sustainable Development by the System Ecology(II) -Simulating the Future of Korea\`s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 이석모;손지호;김진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97
    • /
    • 2001
  • A macroeconomic minimodel was simulated to analyze the effect of global exchange on the Korea\\`s economy. The simulation results illustrate some of the consequences of public policy and some insight into current world problems. All computer simulation runs made under various conditions suggest that the Korea\\`s system in the near future may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 favorable availability of outside resources, while the national power and assets may be declined by indigenous environmental stock depletion. The borrowed capital allows the temporary money stock to increase and the national assets to grow faster and a little higher, as using up the environmental resources more quickly. Later, when the debt is paid off, the foreign exchange holdings may not go so high.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ver 75% of total economic production should be invested to th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Therefore, the economic structure of Korea should be transferred from the present industrial structure to social-economic structure based on ecological-recycling concept.

  • PDF

A study on Bilogical Environment of Ondal Cave

  • Kim, Chu-Yun;Yoo, Yeong-Jun
    • 동굴
    • /
    • 제4호
    • /
    • pp.11-21
    • /
    • 1996
  • Ondal cave is the limestone and the cultural asset cav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261. Originally after the caves included in cultural assets separately survey the academic, cultural value of the cave, the result must be the academic basis of the cave.(omitted)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익산의 도시 이미지 자산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n urban image assets of Iksan by analysing bigdata)

  • 양지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85-392
    • /
    • 2018
  • 익산시는 전국의 0.51%, 전북의 6.3%에 달하는 중소 도시이다. 1읍 14면 14동의 행정구역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산업의 특화 잠재력과 개발 사업에 유리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륵사지를 포함한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을 가지고 있고 KTX 호남선 개통과 함께 고속철도 및 고속도로 등 교통기반이 우수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인접 시 군과의 유기적인 연계성이 미약하고 인접지역의 대규모 개발, 특히 전주와 군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 개발로 인적, 물적 유출이 우려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SNS와 웹사이트에서 추출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익산이 보유하고 있는 도시 이미지 자산을 '익산역' 및 'ktx'를 키워드로 하여 분류해 보고 교통물류중심도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KTX 호남선 정차역 중 역세권을 중심으로 유사한 지역적 특성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광주송정과 비교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익산시의 도시 이미지 개선 및 수립방향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영역자산의 장소판촉과 향토축제의 유형 -경북지방을 사례로- (Place Marketing of Territorial Assets and Regional Festival : The case of Kyungbuk Province, Korea)

  • 임석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1-289
    • /
    • 2007
  • 향토축제 본래의 의미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있지 않다. 그러나 오늘날 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장소판촉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그러한 목적에서의 향토축제가 급속히 늘고 있다. 이 연구는 경북지방을 사례로 이같은 배경 하에서의 향토축제 전개과정과 그 유형 및 활용되는 영역자산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경북지방의 향토축제는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더불어 1996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였으며 1995년까지 불과 14개에서 2006년 현재 그 수가 66개에 이른다. 전통민속형, 문화예술형, 산업 특산물형, 관광 이벤트형의 다양한 축제들이 존재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축제는 모두 산업 특산물형, 관광 이벤트형으로 그 비율이 전체 축제의 2/3에 달한다. 이 과정에서 경북지방 향토축제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축제 상호간의 동질화 현상이다. 전체의 80%에 가까운 축제가 4$\sim$5월, 7$\sim$8월, 9$\sim$10월에 집중적으로 개최되며 5월과 10월에 개최되는 비율만 40%를 넘는다. 소재로 활용되는 영역자산 역시 66개 향토축제 중 27개가 유사하다. 이러한 중복 성향은 자연생태자산과 지역특산물에서 특히 강하다. 이같은 동질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소판촉전략을 문화자산을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