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ce Marketing of Territorial Assets and Regional Festival : The case of Kyungbuk Province, Korea

영역자산의 장소판촉과 향토축제의 유형 -경북지방을 사례로-

  • 임석회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Regional festivals had not been for regional economy in the past. However, they have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way for place marketing, and regional festivals to improve regional economy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In this context, the work proposes to examine the types of regional festivals and the features of territorial assets utilizing for the regional festivals in Kyungbuk province, Korea. In Kyungbuk, regional festivals have rapidly increased with the conduction of local autonomy since 1996. While their number was only 14 until 1995, it increased to 66 as of 2006. The regional festivals can be classified into traditional folk-type cultural art-type, industrial spatiality-type and tourism event-type. All of the regional festival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late 1990s are industrial spatiality-type or tourism event-type. Both of these types share about two-thirds of total regional festivals in Kyungbuk.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he regional festivals of Kyungbuk is that they are becoming similar each other in the period of festivals and territorial assets. Near 90% of festivals hold for 5 months, in April, May, July, August, September, October and over 40% only for 2 months, in May and September. In addition, 27 of total 66 festivals utilize similar territorial assets. Especially, the trend of duplication is stronger in natural ecological assets and industrial specialty assets. Place marketing strategy needs to be more focused on cultural assets.

향토축제 본래의 의미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있지 않다. 그러나 오늘날 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장소판촉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그러한 목적에서의 향토축제가 급속히 늘고 있다. 이 연구는 경북지방을 사례로 이같은 배경 하에서의 향토축제 전개과정과 그 유형 및 활용되는 영역자산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경북지방의 향토축제는 지방자치제의 실시와 더불어 1996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하였으며 1995년까지 불과 14개에서 2006년 현재 그 수가 66개에 이른다. 전통민속형, 문화예술형, 산업 특산물형, 관광 이벤트형의 다양한 축제들이 존재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축제는 모두 산업 특산물형, 관광 이벤트형으로 그 비율이 전체 축제의 2/3에 달한다. 이 과정에서 경북지방 향토축제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축제 상호간의 동질화 현상이다. 전체의 80%에 가까운 축제가 4$\sim$5월, 7$\sim$8월, 9$\sim$10월에 집중적으로 개최되며 5월과 10월에 개최되는 비율만 40%를 넘는다. 소재로 활용되는 영역자산 역시 66개 향토축제 중 27개가 유사하다. 이러한 중복 성향은 자연생태자산과 지역특산물에서 특히 강하다. 이같은 동질화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소판촉전략을 문화자산을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