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tural VOC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견운모를 이용한 벽마감용 천연페인트 제조 (Preparation of Natural Wall Paint by Using Sericite Clay)

  • 김무늬;랄문시아마;이승목;진강중
    • 공업화학
    • /
    • 제28권5호
    • /
    • pp.501-505
    • /
    • 2017
  •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한 건물의 밀폐성 증가로 심각한 실내 공기 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몇몇 실내 공기오염물질 중 페인트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주요 관심사이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페인트 제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광물인 견운모를 사용하여 벽마감용 천연페인트를 제조하였다. 소규모 챔버를 사용하여 벽마감용 천연페인트에 존재하는 독성물질 확인 실험을 하였으며, 2개의 상업용 페인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총 VOC 양은 trace로 권장 실내 공기질 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벽마감용 천연페인트에서 톨루엔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포름알데히드가 trace 레벨로 측정되었다. 독성지수 분석결과 2가지 친환경 상업용 페인트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천연페인트가 낮은 유해물질 방출을 나타내었다. 건축자재등급 실험에서 벽마감용 천연페인트가 1등급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벽마감용 천연페인트의 주성분으로 견운모를 사용하는 것이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데 유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벽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방출특성 - TVOC와 HCHO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emission from wallpapers - Around TVOC and HCHO -)

  • 장성기;김미현;이홍석;임준호;장미;서수연
    • 분석과학
    • /
    • 제18권6호
    • /
    • pp.542-551
    • /
    • 2005
  • 본 연구는 벽지 종류 및 방출기간에 따른 방출농도특성을 알아보고자 소형챔버법으로 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방출시험을 통해 측정 분석된 TVOC와 HCHO의 평균농도는 각각 $1.1mg/m^2{\cdot}h$, $0.01mg/m^2{\cdot}h$로 나타났으며, 25개 벽지 모두 현 방출기준을 만족하였다. TVOC 방출농도를 보면 PVC 벽지, 천연 벽지, Non-PVC 벽지 순으로 나타났으며, HCHO는 벽지 종류에 상관없이 아주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정성된 45종 개별 VOC에 대한 성분별 기여도순을 보면 파라핀계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올레핀계 탄화수소였으며, 그 중 파라핀계 탄화수소는 90% 이상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독성이 강한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PVC 벽지는 다른 벽지에 비해 방출량이 많았으며, 톨루엔은 천연벽지 보다 10배 정도 높은 농도를 보였다. 한편, 방출시간 경과에 따른 방출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Promises and Risks of Unsaturat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Limonene, Pinene, and Isoprene

  • Jin, Kyong-Suk;Jun, Mi-Ra;Park, Min-Ji;Ok, Seon;Jeong, Jae-Han;Kang, Hye-Sook;Jo, Wan-Keun;Lim, Ho-Jin;Jeong, Woo-Si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47-456
    • /
    • 2008
  • Limonene, pinene, and isoprene are abundant and ubiquit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hich are found in various natural products and also produced from various manufacture processes. Limonene and pinene are major components of food additives and household products for enrichment of good flavors and elimination of malodors, and isoprene is a basal motif of monoterpenes such as limonene and pinene. They have shown many beneficial effects such as chemopreventive, chemotherapeu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Upon certain conditions, however, adverse effects of these compounds on human health have also been reported. Although they do not seem to have acute and severe toxicity to human, they can easily generate secondary organic aerosols (SOAs) when they react with oxygen and/or ozone, which have shown certain toxic effects on experimental animal models as well as on humans. Numerous household and scented products containing limonene, pinene, and isoprene are widely used in these days. However, biological consequences upon exposure to these products are largely unknown.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summarize and analyze the current understanding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VOCs, in particular limonene, pinene, and isoprene, as well as their SOAs.

PMF를 이용한 수도권지역 VOCs의 배출원 추정 (Preliminary Source Apportionment of Ambient VOCs Measur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by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 한진석;문광주;김록호;신선아;홍유덕;정일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5-97
    • /
    • 2006
  • The PAMS data collected at four sit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04 were analyzed using the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technique, in order to identify the possible sources and estimate their contributions to ambient VOCs. Ten sources were then resolved at Jeongdong, Bulgwang, Yangpyeong, and Seokmo, including vehicle exhaust, LPG vehicle, petroleum evaporation, coating, solvent, asphalt, LNG, Industry & heating, open burning, and biogenic source. The PMF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vehicle exhaust commonly contributed the largest portion of the predicted total VOCs mass concentration, more than $30\%$ at four sites. The contribution of other resolved sourc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ite location. In the case of Jeongdong and bulgwang located in urban area, various anthropogenic sources such as coating, solvent, asphalt, residual LPG, and petroleum evaporation contributed about $40\%$ of total VOCs mass. On the other hand, at yangpyeong and Seokmo located in rural and remote area, the portion of these anthropogenic sources was reduced to less than $30\%$ and the contribution of natural sources including open burning and biogenic source clearly observed. These results were considerably corresponding to the emission inventory investigated in this region.

신축목조주택 내 마감자재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방산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anic Compounds by Finishing Materials in a Newly Constructed Wooden House)

  • 이희영;박상범;박종영;이상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83-90
    • /
    • 2007
  • 본 연구는 목재를 이용하여 축조한 주택에 친환경마감재를 달리하여 조성한 후 실험실의 실내오염물질 방산 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측정 결과 모든 시험실에서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및 스티렌의 함량이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실험실 R1-1과 R2-1에서 다른 종류의 벽지를 사용함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황토 벽지를 사용한 R1-1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자연적인 VOCs (Natural VOCs)값을 얻었으며, 인위적인 VOCs (Anthropogenic VOC) 및 총 VOCs (Total VOCs)의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실험실 R1-2와 R2-2에서 대나무숯 패널의 유무에 따른 방산특성을 비교한 결과 대나무숯 패널을 설치한 시험실에서 AVOC 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패널부착 시 사용된 접착제에 일부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실 R1-3(거실)은 나머지 4곳의 시험실(침실)에 비해 낮은 TVOC 함량을 나타내었고, 다른 시험실과 비교하였을 때 TVOC에 대한 NVOC의 구성비륭이 높은 것으로 보아 마감자재로 사용한 편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이용에 따른 울산지역 지하수의 VOCs 함량 특성 (Concentrations of VOCs in Groundwater Associated with Land Uses in Ulsan Area)

  • 윤욱;조병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6호
    • /
    • pp.613-629
    • /
    • 2004
  • 울산지역 지하수의 VOCs 함유 실태와 자연적 저감의 진행을 고찰하기 위해 168개 지하수 관정을 선정하여 유기오염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기오염물에 의한 지하수 오염은 토지이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168개 지하수시료를 농업지역, 산림지역, 공업지역 및 주거 상업지역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다. 지하수의 VOCs 분석결과 총 168개 중 65개 지하수에서 1개 성분 이상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분석항목은 미국지질조사소 NAWQA프로그램에서 선정한 36개의 할로겐지방족 탄화수소와 25개 성분의 석유탄화수소(BTEX등 방향족 탄화수소와 MTBE포함)로 구성된다. 석유탄화수소는 26개 관정의 지하수에서 12개 성분이 검출되었으나 MTBE를 제외하고는 $1.5{\mu}g/L$미만의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할로겐지방족 탄화수소는 63개관정의 지하수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성분은 11개 성분의 메탄류, 6개 성분의 에탄류, 6개 성분의 에텐류로 구성된다. 그중 메탄류는 $ND\~330{\mu}g/L$의 분포를 보이고, 에탄류는 $ND\~84{\mu}g/L$의 범위를 보이며, DCA, CA등은 $ND\~19{\mu}g/L$ 농도를 보인다. 에텐류는 $ND\~62{\mu}g/L$의 범위를 보이며, PCE, TCE 및 그 분해물들은 $ND\~62{\mu}g/L$의 농도를 보인다. 연구지역은 대부분이 호기성/탈질지대 및 $Fe^{3+}$ 지대로 구성되어 대부분의 방향족탄화수소는 분해가 잘되는 환경이나 염소계지방족 탄화수소는 대부분 생분해 반응이 서서히 일어나는 환경에 해당한다.

열분해 및 산화조건에서 MSW의 물질전환특성 연구 (Conversion Characteristics of MSW at Various Pyrolytic and Oxidative Conditions)

  • 변경희;이용진;윤균덕;동종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955-1968
    • /
    • 2000
  • 생활폐기물의 각 성분물질에 대하여 반응기의 온도, 운반가스 조성에 따른 열분해, 산화조건에서 열중량 특성 분석과 가스상 생성물(CO, NO, $NO_2$, VOCs)을 분석했다. 열중량 특성 분석에서 종이류와 나무류는 주로 낮은 온도에서 분해되었고, 이 두 종류의 비슷한 성분으로 인해 비슷한 분해 특성을 보였다. 플라스틱은 주로 높은 온도에서 분해되었다. 섬유류의 경우, 천연섬유는 낮은 온도에서 분해되고 합성섬유는 높은 온도에서 분해되었다. 음식물류는 복잡한 종류의 성분이 섞여 있어 넓은 범위의 온도구간에서 분해되었다. 가스생성물 분석결과 CO를 제외한 NO, $NO_2$는 열분해조건보다 산화조건에서 더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는 산화조건의 충분한 산소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또, 음식물류는 다른 폐기물 성분보다 더 높은 CO, NO, $NO_2$의 농도를 보였다. VOCs는 산화조건보다 열분해조건에서 더 많이 배출되었다.

  • PDF

인천항 하역장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 (An Study on Estimating Cargo Handling Equipment Emission in the Port of Incheon)

  • 조정정;범태황;이향숙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38
    • /
    • 2020
  • 최근들어 항만도시에서의 대기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항만의 하역기계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선박, 트럭 등 타 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항에서 디젤엔진으로 가동되는 하역기계로부터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 각 항만하역사로부터 2017년 기준 하역장비의 대수, 제원, 가동시간 등 활동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CO 105.6톤, NOX 243.2톤, SOX 0.005톤, PM 22.8톤, VOC 26.0톤, NH3 0.2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CO와 NOX의 배출은 하역기계 전체 배출량의 87.71%를 차지하였으며, 크레인, 지게차, 트랙터, 로더의 배출량이 하역기계 전체 배출량의 84.79%를 차지하였다. 또한 노후화된 디젤엔진을 장착한 하역기계가 주 배출원임을 규명하였다. 분석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수치는 하역기계에 의한 항만 대기 오염의 심각성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친환경장비 도입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첫째, 오래된 디젤 장비의 LNG연료 또는 전기장비로의 교체가 필요하다. 둘째, NOX의 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선택적환원촉매(SCR)와 같은 후처리장비의 사용이 필요하다. 향후 체계적이고 공식적인 국가 대기오염배출 인벤토리 정립 방법을 설정하고, 매년 하역기계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모니터링 및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