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Surfactant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CCD-RSM을 이용한 알팔파 추출물인 천연계면활성제가 포함된 O/W 유화액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W Emulsion with Natural Surfactant Extracted from Medicago sativa L. using CCD-RSM)

  • 홍세흠;호우지아천;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37-14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로부터 추출한 천연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중심합성설계모델(CCD-RSM)을 이용한 O/W 유화제조 공정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구간에서 최적화 결과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CCD-RSM을 통하여 독립변수인 알팔파 추출물:Sugar ester S-370의 혼합비율(P), 계면활성제의 첨가량(W) 및 유화속도(R)가 반응치인 유화안정도지수(ESI), 평균입자크기(MDS) 및 점도(V)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O/W 유화제조공정의 최적조건을 산출하였다. 유화안정도지수, 평균입자크기 및 점도에 관한 회귀방정식으로부터 다중반응을 수행하여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유화조건으로 알팔파 추출물:Sugar ester S-370의 혼합비율은 49.5 wt%, 계면활성제의 첨가량 9.1 wt%, 유화속도 6559.5 rpm으로 나타났으며 산출된 반응치의 응답값은 ESI는 89.9%, MDS는 1058.4 nm, V는 1522.5 cP로 산출되었다. 이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ESI는 88.7%, MDS는 1026.4 nm, V는 1486.5 cP이었으며 평균 오차율은 2.3 (± 0.4)%이었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유화 제조에 적용하여 만족스러운 O/W 유화제조 공정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콜레스테롤의 추출을 위한 고분자화된 Vesicles의 합성 (Synthesis of Polymerized Vesicles for Cholesterol Extraction)

  • 조의환;김상희;신재섭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273-279
    • /
    • 1992
  • 콜레스테롤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합성하고 중합하여 고분자화된 vesicle들을 얻었으며, 이러한 vesicle들을 이용하여 콜레스테롤을 추출해 내는데 사용하였다. 콜레스테롤을 갖는 계면활성제와 두 개의 알킬사슬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50 : 50으로 혼합하여 vesicle을 형성시킨 후 중합하여 형성된 고분자화된 Vesicle이 각각의 계면활성제들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추출해 내었다. vesicle의 투과도도 50 : 50으로 혼합하여 형성시킨 경우가 가장 컸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려면 어느정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PDF

식물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가용화와 유화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bilizing and Emulsifying Action of Tocopheryl Acetate using Plant Surfactant)

  • 김인영;배보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93-905
    • /
    • 2020
  • 이 연구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가용화와 유화력에 관한 연구이다. 고순도의 폴리글리세릴-10이소스테아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를 혼합하여 우수한 가용화력과 유화력을 가진 식물성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이 혼합원료의 이름을 Solubil EWG-1100으로 칭하였다. 이 원료의 외관은 엷은 노란색의 페이스트,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고, 비중은 1.12, 산가는 0.085이었다. 이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평균값=15.18로 Griffin식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이 계면활성제가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 거동을 메커니즘적으로 검증하였다. 가용화의 성능은 유관으로 평가하는 방법과 UV분광광도계로 650 nm에서 투과도 측정을 통하여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3 %의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한 처방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가용물의 약 5 배가 필요하였다.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지 않은 처방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가용물의 약 7 배가 필요하였다. 또한 10 %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1 wt%, 유화입경은 3.5 mm이었다. 안정하고 미세한 유화입자를 얻기 위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Solubil EWG-1100의 농도도 함께 증가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변화에 따른 계면활성제의 가용화력을 실험한 결과 pH=3.2의 산성영역, pH=7.0의 중성영역, pH=11.8의 알칼리성영역에서도 안정화된 가용화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킨케어처방, 민감성피부용제품, 악건성피부용 제품을 개발하는 화장품 분야에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Preparation and Optical Characterization of Mesoporous Silica Films with Different Pore Sizes

  • Bae, Jae-Young;Choi, Suk-Ho;Bae, Byeong-So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10호
    • /
    • pp.1562-1566
    • /
    • 2006
  • Mesoporous silica films with three different pore sizes were prepared by using cationic surfactant, non-ionic surfactant, or triblock copolymer as structure directing agents with tetramethylorthosilicate as silica source in order to control the pore size and wall thickness. They were synthesized by an evaporation-induced self-assembly process and spin-coated on Si wafer. Mesoporous silica films with three different pore sizes of 2.9, 4.6, and 6.6 nm and wall thickness ranging from $\sim$1 to $\sim$3 nm were prepared by using three different surfactants. These materials were optically transparent mesoporous silica films and crack free when thickness was less than 1 m m.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found in the visible range were peaked at higher energy for smaller pore and thinner wall sized materials, consistent with the quantum confinement effect within the nano-sized walls of the silica pores.

Zinc Surfactant Effects on Nr/Tespd/Silica and SBR/Tespd/Silica Compounds

  • Kim, Kwang-Jea;Vanderkooi, Joh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4호
    • /
    • pp.263-273
    • /
    • 2004
  • The effects of zinc surfactant (ZB) on the bis(triethoxysilylpropyl)disulfide (TESPD)-silica mixture in natural rubber (NR) and solution butadiene-co-styrene rubber(S-SBR)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their rheological property, processability, physical properties, and silica dispersion. In the NR compound, addition of the ZB increased the reversion resistance time (T-2), the tensile modulus, and the BO time; however, lowered the viscosity, the HBU, and tans values. In the S-SBR copound, addition of the ZB increased the $tan{\delta}$ values while lowered the T-2, the tensile modulus the BO time, the viscosity, and the HBU of the compound. In the NR compounds, addition of the ZB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y. However, in the S-SBR compounds, it improved the processability the mechanical property was not improved.

오염중의 유이지방산이 세척에 미치는 영향(제일보 팔미트산의 세척 특성) (Studies on the Detergency Characteristics of Free Fatty Acid in Oily Soil. Part 1. Detergency of Palmitic Acid.)

  • 정혜원;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7
    • /
    • 1977
  • The effects of surfactants and concentration of NaOH in surfactant solution on the removal of free fatty acid soil from cotton fabrics were investigated. Cotton fabrics were soiled with palm itic acid which is the most common fatty acid found in natural oily soil and washed in Lauder-ometer with various types of surfactant with or without NaOH. The rate of soil removal was estimated by analyzing palmitic acid contents in fabric before ar d after washing. Analysis of palmitic contents was made by extracting palmitic acid with azeotropic mixture of alcohol-benzene and the extracts were titrated with standard NaOH solution. It was shown that the types of surfactant are important factor in free fatty acid removal and the efficiency increases in the following order: SLS$90\%$ of initial sorption. In relation to the mechanism of detergency, the suspending and emulsifying power of surfactants were also examined.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oap formation with alkali and the suspending power of surfactant arc significant factors in free fatty acid soil removal, but the emulsifying power of it is neglizible.

  • PDF

Isolation of Surfactant-Resistant Pseudomonads from the Estuarine Surface Microlayer

  • Louvado, Antonio;Coelho, Francisco J.R.C.;Domingues, Patricia;Santos, Ana L.;Gomes, Newton C.M.;Almeida, Adelaide;Cunha, Angel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3호
    • /
    • pp.283-291
    • /
    • 2012
  • Bioremediation efforts often rely on the application of surfactants to enhance hydrocarbon bioavailability. However, synthetic surfactants can sometimes be toxic to degrading microorganisms, thus reducing the clearance rate of the pollutant. Therefore, surfactant-resistant bacteria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bioremediation efforts of hydrophobic pollutants, circumventing the toxicity of synthetic surfactants that often delay microbial bioremediation of these contaminants. In this study, we screened a natural surfactant-rich compartment, the estuarine surface microlayer (SML), for cultivable surfactant-resistant bacteria using selective cultures of sodium dodecyl sulfate (SDS) and 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Resistance to surfactants was evaluated by colony counts in solid media amended with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CMC) of either surfactants, in comparison with non-amended controls. Selective cultures for surfactant-resistant bacteria were prepared in mineral medium also containing CMC concentrations of either CTAB or SDS. The surfactantresistant isolates obtained were tested by PCR for the Pseudomonas genus marker gacA gene and for the naphthalene-dioxygenase-encoding gene ndo. Isolates were also screened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by the atomized oil assay. A high proportion of culturable bacterioneuston was tolerant to CMC concentrations of SDS or CTAB. The gacA-targeted PCR revealed that 64% of the isolates were Pseudomonads. Biosurfactant production in solid medium was detected in 9.4% of tested isolates, all affiliated with genus Pseudomonas. This study shows that the SML is a potential source of surfactant-resistant and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a in which Pseudomonads emerge as a relevant group.

천연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친환경적 포소화약제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Friendly Foam Extinguisher Using a Natural Surfactant)

  • 김정훈;이정윤;김홍;김응식;이명보;김동현;정기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9-7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친환경적인 포소화약제를 개발하였으며, 소화성능과 환경친화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소방검정공사에서 제시하는 "수동식소화기의형식승인및검정기술기준"에 의한 A2단위 소화능력시험과 안전성평가연구소(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 제시하는 육생식물생장실험 및 어류급성독성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화성능은 A급 일반화재 5단위, 육생식물생장실험에서 발아에 대한 $LC_{50}$은 75(g/kg), 생장에 대한 $EC_{50}$은 62(g/kg), 어류급성독성실험에서 6658 ppm의 결과를 보여, 현재 국내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타 약제보다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제로써의 활용을 위한 기본 물성치 및 내부식성에서도 기준에 적합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기농 식물성 계면활성제의 합성과 베르가못오일에 대한 가용화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of Organic Plant Surfactant and Its Solubilizing Action on Bergamot Oil)

  • 김인영;노지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08-1218
    • /
    • 2019
  • 이 연구는 유기농 식물성 계면활성제의 화장품 가용화력에 관한 연구이다. 유기농으로 인증된 원료를 사용하여 고순도의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와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를 합성하여 우수한 가용화력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개발하였다. 이 혼합원료의 이름을 Solubil ORG-1300으로 칭하였다. 이 원료의 외관은 엷은 노란색의 페이스트이었고, 특이한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다. 비중은 1.15, 산가는 0.072±0.1로 순도가 높았다. 이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평균값=15.1로 Griffin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유기농 가용화제가 향과 오일을 어떻게 가용화되는가를 메커니즘적으로 해석하였다. 가용화 실험은 두 가지 오일에 대하여 성능실험을 통하여 육안으로 판별하고 UV분광광도계로 890nm에서 투과도를 측정하여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베르가못오일을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약 2배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약 8배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H변화에 따른 가용화력을 실험한 결과 pH=3.5의 산성영역, pH=7.2의 중성영역, pH=11.5의 알칼리성영역에서도 안정화된 가용화력을 보였다. 화장품의 응용분야로써 보습스킨토너 처방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킨케어, 베이비 로션, 민감성 혹은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에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녹차뿌리 특화 사포닌의 천연 계면 활성력을 이용한 새로운 안티폴루션 기작 연구 (Green Tea Root Is a Potential Natural Surfactant and Is Protective against the Detrimental Stimulant PM2.5 in Human Normal Epidermal Keratinocytes)

  • 나혜원;이영란;박준성;이태룡;김형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7-72
    • /
    • 2018
  • 녹차(Camellia sinensis L.)는 약용으로도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녹차 잎을 연구의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지금까지도 잎 외의 다른 부분은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환경의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2.5; PM2.5)에 의한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HEKs)의 손상을 뿌리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30년 된 녹차뿌리 표본은 아모레퍼시픽의 Dolsongi tea field에서 채취되었으며 70%의 에탄올로 추출한 녹차 뿌리 추출물은 총 순수 사포닌 함량이 54%로, 인삼 추출물보다 더 많은 사포닌을 함유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M2.5에 의한 손상으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건선환자의 특이적 바이오 마커인 IL-36G를 관찰한 결과 IL-36G mRNA 발현량은 PM2.5 처리시 녹차 뿌리 추출물 처리를 통해 IL-36G 식의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30년 된 녹차뿌리 추출물은 사포닌 함량이 높은 자연 계면 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피부질환마커인 IL-36G 발현의 억제를 통해 PM2.5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