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to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1초

식물성 혼합조미료의 품질개선을 위한 감마에너지의 이용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of Vegetable Mixed condiments Using Gamma-Irradiation)

  • 권중호;변명우;차보숙;양재승;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33-239
    • /
    • 1988
  • 식물성 혼합조미료 즉, 된장과 청국장을 원료로 한 시판 혼합조미료(2종, 4가지)의 위생적 품질평가와 혼합미생물의 살균방법을 검토할 목적에서 시료에 3-10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후 주요 미생물의 검사와 품질에 관련된 몇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품의 미생물 혼입도는 매우 좋아 중온성 전세균이 $10^{6}-10^{7}\;cells/g$이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내열성 및 내산성 세균으로 나타났고 10kGy 조사로서 매생물의 수를 3-4 log cycles 정도 격감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방사선 감수성이 낮은 이들 내열성 및 내 산성 세균의 완전 사멸을 n이해서는 15-20kGy 의 감마선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청국장 원료의 혼합 조미료에서는 대장균군의 $10^{2}-10^{6}\;cells/g$으로 나타났는데, 효모 및 곰팡이와 마찬가지로 5 kGy의 감마선 조사로서 사멸이 가능하여 일반 세균류보다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10kGy 까지의 감마선은 시료의 함황아미노산 함량에 다소 변화를 가져왔으나 pH, 지방질성분, 아미노태질소, 색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았다.

  • PDF

두부의 가공과 이용

  • 김철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08-535
    • /
    • 1998
  • 콩(soybean 대두)을 이용한 식품은 동양에서는 콩 전체를, 서양에서는 콩의 영양성분을 분리하여 제품화하고 있다. 콩 전체를 자주 이용하는 동양권에서는 발효식품과 비 발효식품으로 편의상 나누는데, 주요 비 발효식품으로는 풋콩 또는 청콩단(green vegetable soybeans . edamame), 콩가루, 콩나물, 콩국 또는 두유, 두유막(soy protein-lipid film : yuba), 두부 등이 있으며 발효식품으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간장, 된장을 비롯해서 청국장, 템폐(tempeh), 낫또(natto), 콩 요구르트, 콩치즈 등이 있다. 아마도 콩 단백질을 식용으로 하는 면에서 두부가 대표적인 식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중략)

  • PDF

생약초 청국장이 흰쥐의 혈액성분 및 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cheonggukjang on Serum Composition and Urine in Rats)

  • 김형우;조수진;김부여;정선;박정숙;이숙영;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3
    • /
    • 2008
  • Objectives : Cheonggukjang(natto) is known to have anti-hyperlipidemic action in our previous stud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Prototype-cheonggukjang (PC, Herbal-natto).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C on changes in body weights, food uptake, water uptake, levels of AST/ALT, levels of BUN/creatinine and electrolytes in serum from normal mice. PC is made by cheonggukjang added Codonopsis Lanceolata, Houttuynia cordata and Lentinus edodes in indicated concetrations. Results : In this experiment, PC group showed equal levels of body weights, urine volume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group. Oral administration of PC did not affect food and water uptake too. Levels of AST/ALT, which are markers of liver function, were not changed by administration of PC. In addition, levels of BUN/creatinine, which are markers of renal function, were not affected by PC too. Finally electrolytes in serum were not affected by PC. Conclusions : These results imply that oral administration of PC is safe in the framework of liver and renal function, and electrolytes in serum.

  • PDF

감마선 조사가 칡의 생리 활성과 색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y and Color Change of Puerariae radix)

  • 전태욱;박지혜;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5-350
    • /
    • 2002
  • 칡 추출물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색상 개선, 항산화성 및 항균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칡 추출물은 methanol 과 acetone으로 추출하였으며, 감마선은 10, 20 그리고 30 kGy로 조사하였다. 칡 추출물은 감마선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명도(Hunter color L-value)가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값) 와 황색도(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줬다. 칡 추출물의 항산화력(TBARS)은 acetone 추출물보다 methanol 추출물이 더 높았다. 전자 공여능 측정 결과는 methanol 추출의 경우 비조사구와 조사구 모두 비슷한 활성을 보여줬으나 acetone 추출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줬다. 칡 추출물의 용매별 및 감마선 조사 선량에 따른 항균효과는 acetone 추출의 경우, B. subtilis, B, natto, B, megaterium, S, aureus, Sal, typhymurium and E coli.등 모든 균주에 대체적으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나, methanol 추출의 경우에서는 Sal. typhymurium과 E. coli을 제외하고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칡 추출물은 30 kGy까지 감마선을 조사했을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칡 추출물을 감마선 조사 후, 식품 보존제 및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lm-Forming Properties of Proteinaceous Fibrous Material Produced from Soybean Fermented by Bacillus natto

  • Park Sang-Kyu;Bae D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7호
    • /
    • pp.1053-1059
    • /
    • 2006
  • The effectiveness of a proteinaceous fibrous material formed during commercial fermentation of soy protein (PFSP) and cysteine addition were evaluated in order to improve on the properties of soy protein-based films. Nine types of films were prepared at pH 7, 9, and 11, with heat treatments at $70^{\circ}C\;and\;90^{\circ}C$ for 30 min, by casting 5% (w/w) PFSP aqueous solution, containing 2.25% (w/w) glycerol, on to polystyrene plates. The tensile strength (TS) of films ranged from 3.88 to 6.87 MPa. The highest puncture strength (PS) was observed with pH 7.0 films prepared from PFSP solution heated at $70^{\circ}C$ (P<0.05). Alkaline pH and temperature caused a decrease in both the TS and PS of the films. The thickness of films ranged from $58\;to\;74{\mu}m$. Water vapor permeabilities of the films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and temperature. To produce films from PFSP, pH value of 7.0 to 9.0 and heat treatment of $70^{\circ}C\;to\;90^{\circ}C$ were needed. A soluble nature of PFSP films in water might be useful for preparation of hot water-soluble pouches. Cysteine addition could be necessary to produce films with increased TS and enhanced barrier properties. The combination treatment that provided the best combination of barrier and mechanical properties was the PFSP film prepared at pH 7.0 with addition of 1% cysteine. The films were good oxygen barriers.

감마선 조사가 오미자의 생리 활성과 색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Biological Activities and Color Changes of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 전태욱;박지혜;신명곤;김기혁;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7-142
    • /
    • 2003
  • 오미자 추출물을 감마선 조사하여 색택 개선, 항산화성, 항균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오미자의 추출 방법은 열수추출, ethanol, methanol 그리고 acetone으로 추출하였으며, 감마선 조사는 10, 20 그리고 30 kGy로 하였다. 감마선 조사 선량이 증가할수록 명도(Hunter color L-value)의 경우 비조사구보다 조사구가 월등히 밝은 색을 보였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줬다. TBA가 분석 결과는 ethanol로 추출한 경우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확인하였다. 전자 공여능의 측정 결과는 열수 추출한 경우에 비조사구와 조사구 모두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ethanol과 methanol의 경우에는 비조사구와 비슷한 활성을 보여줬다. 오미자 추출 용매별 및 감마선 조사 선량에 따른 항균효과는 B. subtilis, B. natto, B. megaterium, S. aureus, Sal, typhymurium과 E. coli 등 모든 균주에 대해 아주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오미자 추출물은 30 kGy까지 감마선을 조사하여도 추출물의 생리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 기술은 천연 식품 보존제 및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오미자 추출물의 색택 개선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물 및 인체시험을 통한 Nattokinase의 항응고 작용 및 섬유소 용해능 평가 (Evaluation of Nattokinase for Antithrombotic Effect and Pharmacological Efficacy by a Biological Test and Clinical Trial)

  • 김재범;유철배;신현만;정준기;장형욱
    • KSBB Journal
    • /
    • 제26권5호
    • /
    • pp.393-399
    • /
    • 2011
  • Bacillus subtilis natto producing high level of a fibrinolytic enzyme was selected and Ultra Nattokinase$^{(R)}$ was manufactured by fermentation and purification. It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of the antithrombotic effect of Ultra Nattokinase$^{(R)}$ (20,000 FU/g) with rat blood plasma. The maximum aggregation (inhibition ratio) was 71% (0%), 69% (2.8%), 62% (12.7%), 16% (77.5%) and 9% (87.3%),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0, 5, 10, 50 and 100 mg/mL of Ultra Nattokinase$^{(R)}$ solutions. Ultra Nattokinase$^{(R)}$ had antithrombotic effect,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suppression of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Ultra Nattokinase$^{(R)}$ in the topic of the FDP (fibrinogen degradation products) in blood coagulation tes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And based on the daily record of meal 39 people of ITT (what ?) group consisted with 19 people of NP (what ?) group and 20 people of PN (what ?) group except four people, two people who took vitamin K affecting the experiment and two people who took alcohol, finding to be taken Ultra Nattokinase$^{(R)}$ showed an increase in the FDP value after four weeks. In addition, FDP value of 41 people of ITT group except two people having metabolic syndrome was increased by Ultra Nattokinase$^{(R)}$.

2, 2'-methylene-bis-(3, 4, 6-trichloroacetoxy benzene)의 nitroaniline 계 mannich bases에 관한 연구 I. 합성 및 항균성 (Studies on Nitroaniline derivative of 2, 2'-methylene-bis-(3, 4, 6-trichloroacetoxy benzene by Mannich reaction Part I.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 유주현;김유삼;김종호;양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1
    • /
    • 1974
  • Four new compounds;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o-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200{\sim}202^{\circ}C,\;C_{31}H_{22}O_8N_4Cl_6$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p-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168-170^{\circ}C,\;C_{31}H_{22}O_8N_4Cl_6$ :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o-chloro-p-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170.5-172.5^{\circ}C,\;C_{31}H_{20}O_8N_4Cl_8$ :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c-methyl-p-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m.p. $163-164^{\circ}C,\;C_{33}H_{26}O_8N_4Cl_6$-were synthesized by Mannich reaction from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acetoxy benzene)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he microorganism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Natto, Brevibacterium ammoniagenes, Candida tropicalis, Rhodotorula glutinis, Pseudomonas ovalis, Aspergillus candidus Link, Aspergillus awamori Nakazawa. Aspergillus niger var. Tieghem, Aspergillus usami Sakakuchi, Penicillium notatum-were tested. 2,2'-methylene-bis [3, 4, 6-trichloro ${{\beta}-(o-nitroanilino)$ propionoxy} benzene] show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us subtilis Natto and Brevibacterium ammoniagenes.

  • PDF

Nattokinase Crude Extract Inhibits Hepatocellular Carcinoma Growth in Mice

  • Yan, Yongmin;Wang, Yanjing;Qian, Jiali;Wu, Sihui;Ji, Yi;Liu, Yanxiao;Zeng, Jian;Gong, Ai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8호
    • /
    • pp.1281-1287
    • /
    • 2019
  • Nattokinase (NK, E.C. 3.4.21.62) is a serine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natto that shows promise for the treatment of thrombotic disease.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ects of NK on the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 principal malignancy of the liver that causes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Crude extracts of NK (NCE) were isolated from fermentation medium by centrifugation and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10 K, 100~30 K and >30K). Orthotopic HCC mouse models were established and NCE was administered by oral gavage. H&E staining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athology of HCC livers. Immunohistochemistry and immunofluorescence were used to evaluate FOXM1, CD31, CD44 and vimentin expression in the liver. Compared to PBS groups, NCE increased the survival rates of HCC-bearing mice to 31% and decreased ascites. Low-intensity ultrasound imaging showed that the hypoechoic mass area was lower in NCE-treated mice and that tumor growth significantly decreased. IHC staining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FOXM1 was inhibited by NCE treatment. Immunofluorescence results revealed lower levels of CD31, CD44 and vimentin in the NCE groups.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NCE from Bacillus subtilis natto improves survival and inhibits tumor growth in HCC mice.

전통 청국장의 발효 기간 동안 변화하는 수용성 단백질 개요 (Changes of Protein Profiles in Cheonggukjang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 아일린산토스;손일영;최현수;박선민;유성희;권대영;박천석;김정환;김정상;임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38-446
    • /
    • 2007
  • 콩 발효식품인 청국장은 어느 정도는 그 기능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다. 청국장의 발효 과정은 발효미생물이 분비하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포함하는 여러 효소들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효기간 동안 청국장의 단백질체 분석은 발효의 최적화를 이루기 위해서 그리고 청국장에 생성되는 기능성물질 생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청국장의 수용성 단백질을 phenol/chloroform 추출 방법으로 분리하여 2-D gel 분석에 방해되는 물질들을 제거하였다. 각 발효 단계에서 단백질 분석을 하였을 때 20시간 안에 대부분의 단백질들이 작은 분자로 분해되었고 수용성 단백질에는 미생물 유래 단백질들이 점차 증가하였다. 청국장의 단백질 프로파일은 natto의 것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2-D gel 상에서 보였다. 각 gel에서 50개의 단백질을 임의로 선발하여 MALDI-TOF MS 분석을 하고 PMF로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결과는 콩이나 발효 미생물들의 유전체 정보가 부족하여 청국장에서 9종 natto에서 15종의 단백질만을 동정할 수 있었다. MS/MS 분석을 통한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가지고 BLASTP 검색엔진으로 database를 검색한 결과 제한된 수의 단백질이 낮은 신뢰도 범위에서 동정되었다. 그렇지만 청국장과 같이 복잡한 단백질체를 분석하기에는 본 연구에서 고안한 전체 단백질 분리 기술과 2-D gel 분석적 접근은 단백질을 전체적으로 분석함에 있어 훌륭한 방법이다. 앞으로 청국장의 단백질 변화에 대한 연구는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는 소수의 단백질을 선발하고 이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질량분석 하여 단백질을 동정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