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herb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특전사 요원의 적지 종심전술활동 중 생존에 필요한 야생식물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wild plants to be used for survival on tactical activity of Special Forces soldiers at deep enemy's territory)

  • 장인수;이영구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4권1호통권4호
    • /
    • pp.63-98
    • /
    • 1998
  • Background and Purpose : To investigate the wild plants to be used for survival on tactical activity of Special Forces soldiers at deep enemy's territory Material and Methods : To investigate the wild plants, I selected various native plants in the forests and fields that can be used for medical cure and eatables. And I selected some poisonous plants and some plants containing water or salts, after due consideration of tactical activity and use in the battle-fields. Results and Conclusion : There are many wild plants to be used for multiple purpose in our country. We can get from these plants emergency medicines, foods, even water and salts. I chose 6 species of digestives, 11 species of analgesics, 9 species of antiphlogistics, 7 species of hemostatics, 5 species of antidiarheal, 5 species of diuretics, 2 species of laxatives, 7 species of antipyretics, 1 species of vermicide and 45 species of eatable plants and 12 species of poisonous plants. and I summarized general name, scientific name, component, picking season, used portion, taking method of these plants. Building up accurate knowledge on the wild plants could contributed to raise survival rate of Special Forces soldiers in the battle-fields.

  • PDF

산림표층토를 활용한 비탈면 생태복원녹화에 관한 연구(I)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Slopes(I))

  • 남상준;여환주;최재용;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0-119
    • /
    • 200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spraying cultiv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in order to restore the disturbed slopes. In November the researcher collected a depth of 5 cm of topsoils from a well developed forest, after the fallen leaves were cleared. The essential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using the forest topsoils, during the early stages of planting, time is necessary for the desired vegetation to reach a similar state to the vegetation being restored. The best possible effect is obtained through a method utilizing forest topsoil(30%)+loam silt soil(70%)+seeding with grasses and native plants including trees, shrubs, and herbs. Several plants such as Pinus densiftora, Potentilla fragarioides, Miscanthus sinensis, Erigeron canadensis seemed to be naturally emerged from the topsoils From this experiment, it was recommended that environment potential within topsoil should be comprehended. Also, topsoil deposit and gathering methods should be experimented properly.

하천 제방 비탈면 녹화용 자생 지피식물의 종자발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for Revegetation on the Slope of River bank)

  • 조용현;김은수;강희경;정용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3-115
    • /
    • 2012
  • To investigate the attributes of seed germination of the plants for greening of river bank slope, low-temperature treatment, chemical treatment, plant hormones treatment, and strat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eeds of 6 herbs growing naturally around river banks, such as Setaria glauca and faberi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Miscanthus sinensis, Pennisetum alopecuroides, Lespedeza cuneata and the seeds of 3 shrubs, such as Lespedeza bicolor., Rosa multiflora,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case of herbs, Setaria glauca and faberii. have stone seeds. In the treatment with $H_2SO_4$, they were germinated through dormancy breaking,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immersion time, and the germination rate of Setaria faberii was a bit higher than that of Setaria glauca. The germination rate of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was low in the treatment with $GA_3$, NAA, and the plant hormone, but the seed germination rate has improved and the germination rate of Miscanthus sinensis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showed the improved seed germination rate in low temperature treatment. In case of Lespedeza cuneata and bicolor, the leguminous plants, the treatment with $H_2SO_4$ was most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and the decrease in germination time. Only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the rose among 3 woody plants showed the seed germination rate above 50%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 Thus, it was thought to be appropriate for greening. Rosa multiflora showed the attribute of germination in a dark condition at low temperature through stratification, despite its low germination rate. Based on the results as above, with respect to the greening using directly collected seeds, Miscanthus sinensis,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are suitable for greening, because they do not need any additional treatment, and Lespedeza cuneata and bicolor are also suitable for greening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and reduce the germination time through the treatment on the seeds before sowing.

덕유산 가시오갈피 자생지의 생육환경 (Habitat Environment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at Mt. Deokyu)

  • 박문수;김영진;박호기;김선;김규성;장영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0-717
    • /
    • 1996
  • 가시오갈피의 농가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덕유산의 가시오갈피 자생지에 대한 환경특성과 생육상황에 관한 현지조사를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의 덕유산 자생지는 동경 127$^{\circ}$45', 북위 35$^{\circ}$ 52'의 해발 1,050~l,300m의 북경사면에 위치하고 있었다. 2. 자생지의 연평균기온은 5.8$^{\circ}C$, 최난월 (8월 )의 평균최고기온은 24.6$^{\circ}C$, 최한월 (1월 )의 평균최저기온은 -13.5$^{\circ}C$로 추정되었으며, 상대습도는 95% 이상이었다. 3. 자생지의 기후는 냉온대 습윤기후로 구분되었으며 식물대는 낙엽광엽수림대로 나타났다. 4. 토양은 암갈색 자갈이 있는 사양토이며 유효토심은 20~50cm로서 얕았으며 토양의 pH는 5.2~5.6정도였고, 인산함량은 평균 10ppm으로 매우 낮았다. 5. 자생지내의 가시오갈피 생육은 낮은 조도(차광율 80%)로 인하여 매우 연약하게 자라고 있었으며, 번식은 실생번식이 아닌 근부맹아(root sucker)에 의한 영양번식을 하고 있었다. 6. 자생지 주변의 식생은 총 30여종이 발견되었으나 주로 까치박달나무 등의 교목 3종, 모감주나무 등의 관목 3종, 그리고 박쥐나물 등의 초본류 4종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 PDF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임재원;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95
    • /
    • 2009
  •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충주 연습림 식생 조사 (Survey of vegetation in experimental stand of Chungju)

  • 송칠영;이경형;이인세;이승우;박범진;김선아;이욱;전양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82-187
    • /
    • 1996
  • 충남대학교 충주 연습림에 자생하고 있는 식생 및 부속시설물에 식재된 수종과 인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초본 및 목본류를 대상으로 각 종을 분류, 조사하여 연습림의 식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파악된 식물종은 60과, 113속, 123종, 12변종, 총 135종류가 서식하고 있었으며, 초본은 49종류, 목본은 86종류, 상록수종은 7종류로 나타났다. 본 연습림의 식물종을 보전함은 물론 더욱 다양한 식물종이 서식하는 건전한 산림을 육성토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자생식물 함초(Salicornia herhacea L.)의 이화학적 성분조성 (Chemical Components of Native Plant, Salicornia herbacea L.)

  • 신공식;부희옥;전민화;고정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6-220
    • /
    • 2002
  • 본 실험은 유용 자원식물인 함초를 식품 및 식물자원으로서 이용가치를 높이는데 있어 그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해안 갯벌에서 채집하여 건조, 분쇄한 함초분말 시료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이섬유, 총 당, uronic acid 등의 함량이 각각 60.66, 15.2 및 2.6%를 나타내었다. 식이섬유는 다른 자원들 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린 및 비테인의 함량이 각각 29와 888mg/100g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초에는 Na(2880mg/100g), Ca(440mg/100g), K(930mg/100g) 및 Mg(356mg/100g)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함초를 이용한 유용 가공제품의 개발 가능성이 크게 기대되며, 아울러서 앞으로 함초를 경쟁력있는 고기능성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삼화자향약방(三和子鄕藥方)"의 부원(復原)연구 (A Study of the Restoration of Samhwajahyangyakbang)

  • 김진희;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10
    • /
    • 2009
  • Samhwajahyangyakbang, a medical book of Hyangyak which was presumed to be published by Samhwaja in the late Goryeo dynasty, became the original source of Hyangyakganibang. As Hyangyakganibang became the original source of Hyangyakjesengjipseongbang which was supplemented to be Hyangyakjipseongbang, Samhwajahyangyakbang is a fundamental book which is the original source of Hyangyak medical books such as Hyangyakganibang and Hyangyakjipseongbang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I restored the articles of Samhwajahyangyakbang, mainly focusing on the remaining articles in Hyangyakjipseongbang, followed by supplementing some other remaining articles with the help of , a database of old medical books, and then, recorded and discussed the results in the paper. 1. The remaining articles of Samhwajahyangyakbang were found in Hyangyakjipseongbang, Uibo and Uibanghappyeon. Among them, there is a prescription which is not overlapped in Uibanghappyeon. 2.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Hyangyakjipseongbang was alternatively adopted due to the absence of classification or table of contents in Samhwajahyangyakbang. 3. There are a total number of 152 articles in the restored Samhwajahyangyakbang and 151 articles out of the total number have been restored from Hyangyakjipseongbang. There are 5 articles which remain as notes in the citations of other books in Hyangyakjipseongbang. 4. There are a total number of 246 prescriptions in the restored Samhwajahyangyakbang. 5. Even though Samhwajahyangyakbang is a concise medical book, it is one of the core medical books which are cited in Hyangyakjipseongbang. In addition, it is the most frequently cited in Hyangyakjipseongbang among the Korean medical books. It implies that the compilers of Hyangyakjipseongbang considered Samhwajahyangyakbang the most valuable book among the Hyangyak medical books. It is speculated that such results could be achieved because Samhwajahyangyakbang was very popular in those days and its' printing quality was also good. On the contrary, the number of citations of Hyangyakgugeupbang is much less than that of Samhwajahyangyakbang. It is presumed that Hyangyakgugeupbang could not be distributed widely not because it was less valuable but because its' printing quality was poor.

  • PDF

프로바이틱스 Lactobacillus helveticus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조합에 의한 진세노사이드의 발효적 형질전환 (Fermentative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by a combin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helveticus and Pediococcus pentosaceus)

  • ;;김진만;양승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36-441
    • /
    • 2018
  • 인삼은 우수한 약리 활성 작용을 보이는 전통적인 약초이다. 본 연구에는 프로바이오틱스 Lactobacillus helveticus KII13과 Pediococcus pentosaceus KID7 균주를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 인삼 추출물을 발효시켜 진세노사이드를 형질전환 시키는데 사용되었다. 발효삼 추출물의 TLC(Thin-layer chromatography) 분석 결과, 5일간의 발효 후 주요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g3, Rh1 및 Rh2로 변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을 수행하여 주요 및 미량 진 세노사이드를 정량화하였다. 3일째에는 Rg3가 나타나고, 5일째에는 Rh2 및 Rh1이 나타난다. L. helveticus KII13과 P. pentosaceus KID7의 공동 배양은 주요 진세노사이드(Rb1과 Rg1)를 미량 진세노사이드(Rg3, Rh2, Rh1)로 전환시키는 것을 학인하였다.

한강 하천제방 호안공법에 따른 식생분포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Revetment Techniques of Riverbank in Han River, Korea)

  • 김원식;곽정인;이경재;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30
    • /
    • 2011
  • 본 연구는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제방을 대상으로 호안공법에 따른 자연적인 식생유입 현황을 분석하여 생태적인 측면을 고려한 제방 호안 식생유도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방 호안공법별 식생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대블록에는 귀화초본이 70.7%로 우점하였고 잔디블록에는 자생초본군락이 48.5%, 방틀블록은 자생초본군락 55.7%로 자생초 본군락 면적은 방틀블록에서 가장 넓었다. 제방 호안공법별 식생피도는 장대블록이 평균 27.9%로 가장 낮았고 잔디블록(평균 95.3%), 방틀블록(평균 97.5%)순으로 높았다. 식생기반면적에서는 장대블록이 가장 협소하였으며 방틀블록이 가장 넓었다. 식물군집구조에서 장대블록은 건조초본 및 덩굴성초본이 주로 우점하였고 식생피도도 낮았으며 잔디블록은 다양한 종이 소규모군락을 형성하였다. 방틀블록은 식생기반 면적이 가장 넓어 다년생 초본인 물억새, 큰김의털,미국쑥부쟁이 등이 넓은 면적의 군락을 형성하였다. 호안공법별 평균 건물중은 장대블록은 $6.75g/m^2$, 잔디블록은 $137.65g/m^2$, 방틀블록은 $187.63g/m^2$으로 방틀블록 식물 건물중이 가장 많았다. 토양특성에서 토양 수분함량은 방틀블록 16.3%, 잔디블록 15.2%인 반면 장대블록은 4.7%로 토양이 매우 건조하였다. 토양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토성, 토양산도(pH),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호안공법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토양유기물 함량(OM)과 유효인산(Available $P_2O_5$)은 장대블록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하천제방 호안녹화의 경우 제방의 안전을 고려하여 가능한 식생기반 면적을 넓혀주어 자연적인 식생 유입이 가능하도록 제방 호안공법 적용이 필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