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Goats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3초

재래산양의 반복 과배란처리에 의한 난자의 회수율과 등급에 관한 연구 (Effects of Repeated Superovulation on Recovery and Quality of Oocytes in Korean Native Goats)

  • 박희성;이윤희;김태숙;박준규;이지삼;김충희;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87
    • /
    • 2004
  • 본 연구는 재래산양에 있어서 과배란 처리시 공란 산양의 반복사용에 따른 oocyte의 회수방법과 회수란의 질적 개선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성선자극호르몬의 1회 처리와 반복처리, 호르몬제의 종류에 따른 oocyte의 회수율과 등급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은 체중 15~25kg 전${\cdot}$후의 성숙한 미경산 재래산양으로서 발정 동기화를 위하여 CIDR를 10일간 질내에 삽입하고 과배란 처리는 70 mg의 FSH 와 1,000 IU의 PMSG를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PGF_{2\alpha}$ 는 8일째에 투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으며, CIDR는 10일째 제거와 동시에 hCG 400 IU를 투여하였다. 난자의 회수는 hCG 투여 후 35~40시간째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회수한 난자는 난구세포와 세포질의 부착정도에 따라 4등급으로 분류하여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FSH와 PMSG를 투여하여 공란 산양으로 처음 사용하였을 때 49두에서 324(6.63${\pm}$0.63) 개와 27두에서 305(11.30${\pm}$1.29)개의 배란점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43.8%(142/324)와 69.2%(211/305)가 회수되어 두당 회수율은 2.92${\pm}$0.52 개와 7.81${\pm}$1.14개로서 FSH와 PMSG간에 전체 회수율과 두당 회수율은 PMSG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반복 사용하였을 때 FSH와 PMSG 처리구의 두당 배란수는 2.88${\pm}$0.69 개와 7.56${\pm}$1.11 개였으며, 회수율은 각각 17.4%(4/23) 및 44.9%(61/136) 로 PMSG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두당 회수율은 0.50${\pm}$0.27개 및 3.39${\pm}$0.86개로서 PMSG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회수한 난포란의 1 및 2등급에 있어서 공란 산양으로 처음 사용하였을 때 FSH 투여구는 각각 20.6%(GI) 및 14.9%(GII)였으며, PMSG 투여구는 12.9%(GI) 및 14.1%(GII)로 나타났다. 반복 사용하였을 때, 회수한 난포란의 등급은 FSH 투여구는 각각 31.3%(GI) 및 28.1%(GII)였으며, PMSG 투여구는 36.4%(GI), 5.1%(GII)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배란된 난자의 회수율은 PMSG 가 FSH보다 높았으며, 난포내 난자의 회수율은 투여 호르몬 및 반복사용 여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재래산양의 과배란처리에 있어서 회수시간이 난자의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ection Time in Oocyte Recovery from Superovulated Korea Native Goats)

  • 박희성;정수영;김태숙;이명열;진종인;홍승표;이지삼;김충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3-119
    • /
    • 2004
  • 본 연구는 재래산양에 있어서 과 배란 처리에 의한 oocyte의 회수방법과 양질의 oocyte 회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과 배란 처리 후 회수시간이 난포의 발달과 난자의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동물은 체중 15~25 kg 전${\cdot}$후의 성숙한 미경산 재래산양으로서 발정동기화를 위하여 CIDR를 10일간 질내에 삽입하고 과배란 처리는 FSH를 CIDR 삽입 8, 9, 10일째에 12시간 간격으로 70 mg을 감량 투여하였다. $PGF_{2\alpha}$는 FSH와 함께 8일째에 투여하였으며, CIDR는 10일째에 제거와 동시에 hCG 400 IU를 투여하였다. 난자의 회수는 hCG 투여 후 29~50시간째에 시간대별로 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hCG 투여 후 회수시간에 따른 in vivo란의 회수에 있어서 각각 5.93${\pm}$2.88(29~34시간), 6.82${\pm}$0.95(35~40시간) 및 7.33${\pm}$1.54개(41~50시간)로서 차이가 없었다. 회수율에 있어서는 35~40시간째에 회수하였을 때가 49.7%로서 29~34시간 및 41~50시간째에 38.2% 및 29.5% 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두당 회수 난자 수는 각각 2.27${\pm}$0.76, 3.39${\pm}$0.75 및 2.17${\pm}$1.40개로서 차이가 없었다. hCG 투여 후 29~34, 35~40, 및 41~50시간에 관찰된 난포 수는 두당 11.75${\pm}$2.45, 11.87${\pm}$1.34 및 9.20${\pm}$1.50개였다. 또한 배란된 성숙난자의 채란 율은 각각 70.2, 74.7 및 54.3%로서 41~50시간째에 회수하였을 때가 가장 낮았다. 두당 회수율에 있어서도 8.25${\pm}$1.34, 8.87${\pm}$1.10 및 5.00${\pm}$1.30개로서 회수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회수한 난포내 미성숙 난자의 등급에 있어서 회수시간대별 1등급은 각각 24.2, 19.5 및 12.0%였으며, 2등급의 경우는 41~50시간이 4.0%로서 29~34시간과 35~40시간의 14.4% 및 16.2%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유 산양 (Saanen)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of Dairy Goats (Saanen)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3-322
    • /
    • 2007
  • 본 연구는 몇 가지 조사료원을 유 산양에 급여하였을 때 조사료의 중류에 따른 채식습성을 구명하고자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 (gr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 (혼합목초)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a, Trifolium repens, Melilotus officinalis 및 Vicia villosa의 5종, 수엽(browse)으로 Quercus serrata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aliena Blume, Robinia pseudoaccacia 및 Pinus densiflora의 5종과 잡초 (weeds)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rigeron canadensis, Alopecurus aegualis Sobolewski,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Roxb.) Wight 및 Rumex crispus의 5종을, 야초 (Weeds)는 Zoysia japonica Steudel, Agropyron tsuku- shiense var. transiens (Hack) Ohwi.,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및 Phragmites comunis Trin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Saanen종 유 산양(female) 10두를 공시하였으며, 평균체중은 31 kg이었다. 시료는 초종 당 건물기준으로 0.5 kg씩 급여하였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시험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시료의 조사료원별로 분석한 화학적성분과 건물소화율은 대체적으로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는 초종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고 건물소화율이 높은 조사료를 더 즐겨 채식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공시된 25 초종 중 perennial ryegrass, tall fescue, red clover 순으로 즐겨 채식하였으며, 소리쟁이가 가장 기호성이 낮았다. 유 산양 (Saanen)은 화본과목초 (33.3%) 및 두과목초 (25.7%)를 총 59.0% 채식하였던 반면에 수엽은 19.6%, 잡초는 15.9%, 야초는 5.5%를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채식습성은 초류채식형 (grazer type)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웅산양 혈청 및 정장중의 Progesterone 농도 (Progesteron Levels in the Seminal Plasma and Serum of Japanise Native Goats)

  • 강민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7-99
    • /
    • 1984
  • Progesterone level in the seminal plasma and serum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The average level of seminal plasma progesterone was 0.76$\pm$0.15 ng/ml, similar to that of serum: 0.64$\pm$0.08 ng/ml. Progesteron levels in the seminal plasma were higher in the breeding season than in the nonbreeding season.

  • PDF

A radiographic study of growth plate closure compared with age in the Korean native goat

  • Choi, Hojung;Shin, Heejae;Kang, Sangkyu;Lee, Heechun;Cho, Jongki;Chang, Dongwoo;Lee, Youngwon;Jeong, Seong Mok;Park, Seongjun;Shin, Sang Tae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5-289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growth plate closure time with aging in the Korean native goat. Radiographs of proximal and distal epiphysis of humerus, radius, ulna, femur and tibia were obtained at 2, 3, 4, 5, 6, 7, 8, 9, 11, 12, 13, 14, 17, 18, 20, 21, 30, 43 and 52 weeks after birth in 30 Korean native goats. The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s were scrutinized and assessed the maturity process on the basis of the criteria(stage 0 to 10). The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s of proximal and distal epiphysis of humerus, radius, femur and tibia and proximal ulna epiphysis appeared immediately after birth. While, that of distal ulna epiphysis appeared during the 1st to 2nd week of life. The fusion of distal humeral epiphysis occurred during the period from 8 to 12 months. The fusion of proximal radial epiphysis and distal tibial epiphysis were found at 1 year. The fusion of proximal and distal epiphysis of ulna and femur, proximal epiphysis of humerus and tibia and distal epiphysis of radius were found at 1 year or more than 1 year. As a result, growth plate closure was highly related to age in the Korean native goat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estimation of animal's age might be useful by illustration of maturity process of the secondary ossification centers in the Korean native goat.

광주지역 반추동물의 큐열 항체 보유율 조사 (Prevalence of antibodies to Coxiella burnetii in ruminants in Gwangju area, South Korea)

  • 오아름;고바라다;정보람;나호명;배성열;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7-33
    • /
    • 2021
  • Q fever is a worldwide zoonotic disease caused by Coxiella burnetii. Domestic ruminants are considered to be major source of human infection. The aim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seroprevalence of C. burnetii in ruminants in Gwangju area. A total of 1,000 samples (serum and lactoserum) were collected from 987 Korean native cattle, 5 Korean native goats, 2 beef cattle, 6 bulk-tank milk from each dairy farm in Gwangju area from January to October 2020 and analyzed by ELISA. The seroprevalence of C. burnetii in bulk-tank milk from each dairy farms was 50.0%. Korean black goat and beef cattle had negative antibody test results for C. burnetii. The seroprevalence of C. burnetii in Korean native cattle in Gwangju area was 7.1% and was higher in female (7.8%) than in male (3.4%) (P=0.024). The seroprevalence of C. burnetii in Korean native cattle appeared to increase with age (3.8% in 1 year-old, 7.1% in 3 year-old, and 10.7% in more than 5 year-old) (P<0.001). The seroprevalence of C. burnetii of Korean native cattle increased in spring and May was the highest in particular (P<0.001). As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tick-habitat are expected to increase due to climate crisis, this survey highlights the need for monitoring C. burnetii in domestic ruminants, including surveillance of C. burnetii infection in people working for livestock industry.

한국 재래 산양에 있어서 Prostaglandin $F_{2\alpha}(PGF_{2\alpha})$의 투여가 호르몬 함량 및 난포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staglandin $F_{2\alpha}(PGF_{2\alpha})$ Treatment on Hormone Concentrations and Follicular Development in Early Postpartum Korean Native Goats)

  • 변명대;함태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62
    • /
    • 2001
  • 본 실험은 한국재래산양에 있어서 분만 후 초기에 prostaglandin $F_{2{\alpha}}$(PG $F_{2{alpha}$)의 투여가 호르몬 농도 및 난포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만한 한국재래산양에 혈장중 PG $F_{2{\alpha}}$의 농도는 PG $F_{2{\alpha}}$처리 후 2일에 PG $F_{2{\alpha}}$처리군 (GR-1 및 GR-2)에서 각각 6.35$\pm$0.5 및 0.22$\pm$0.2pg/$m\ell$로서 저하한 후 점차 증가하여 4일 후 21.18$\pm$1.6 및 4.21$\pm$0.4 pg/$m\ell$로서 절정에 도달하였다. 2. 혈장중 PG $F_{2{\alpha}}$의 농도는 PG $F_{2{\alpha}}$ 처리 전 9.08$\pm$1.2 및 5.44$\pm$1.8 pg/$m\ell$였으며 처리후 농도는 다소 저하하였으나 처리 군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3. 혈장중 estradiol-l7$\beta$( $E_2$)농도는 PG $F_{2{\alpha}}$ 처리 후 2일까지 점차 감소한 후 3일에 증가하여 4일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4. 혈장중 luteinizing hormone (나T)의 농도는 PG $F_{2{\alpha}}$ 처리 후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혈장중 prolactin (PRL)의 농도는 PG $F_{2{\alpha}}$처리후 감소되었으나 저농도의 수준으로 남아 있었다. 6. PG $F_{2{\alpha}}$의 처리 후 소형 및 중형의 난포의 수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4mm 이상 대형 난포의 수는 숫적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PG $F_{2{\alpha}}$ 및 estradiol-17$\beta$는 난포의 직경과 관계가 있다고 암시되며 PG $F_{2{\alpha}}$는 난포발육을 촉진하였다고 생각된다.

  • PDF

석고를 이용한 한국재래산양 시삭상핵과 방실핵의 입체적 재구성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supraoptic and paraventricular nuclei of the Korean native goat using a plaster)

  • 이봉희;이흥식;이인세;이성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2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construct three-dimensional plaster model of the supraoptic and paraventricular nuclei of 3 Korean native goats. The representative coronal sections of the hypothalami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monoclonal antibodies to vasopressin and oxytocin simultaneously. Plaster models were reconstructed by schematic drawings which were made by tracing onto the tracing paper with the aid of a drawing attach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nfigurations of the models of 3 supraoptic nuclei were slender spherical shape at their cranial parts, and the highest and widest size at middle parts, and became lower and narrow at caudal parts in two models, hence one was directed dorsolaterally. The medial surfaces of the para ventricular nuclei were vertically flat, and lateral surfaces were more complex than medial with processes directed dorsolaterally at their cranial portion. They change positions dorsally at caudal portion,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tions in shape between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