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4,078건 처리시간 0.028초

Curriculum Reform Movement of Science Education in the US: A Case of Earth Science Curriculum

  • Park, Do-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30-744
    • /
    • 2006
  • The United States curriculum reform movement has recently started in each area of science education. The initiatives on curriculum reform stem from a notion that the low rate of science curricula offered in schools has been a serious problem. Th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re not only facing a lack of offerings within science curricula but also low enrollment in science courses, especially in physics, chemistry, and earth science. This trend resulted in low performances on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s including TIMSS and PISA. This paper introduces the efforts to solve existing problems through curriculum reform; including ChemCom, BioCom, EarthComm, and Active Physics. In this paper, a discussion is presented to show how the curricula can help address the status quo in science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curriculum reform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EarthComm), providing a closer look at the scope and sequence of the reform movement. EarthComm was chosen because it was releas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RC, 1996). Consequently, EarthComm became a curriculum that espoused the visions of the Standards, which has been guiding the reform of the US curriculum. At the end of this paper, two research outcomes of the EarthComm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hools are discussed in terms of student learning and differences from conventional curricula.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 (G Metropolitan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National-Level Curriculum)

  • 진상우;최미정;최성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71-179
    • /
    • 2020
  • 이 연구는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교사 124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 평균점수는 3.48점,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는 3.75점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자기평가 점수가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20학급 미만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31학급 이상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인식이 높고, 연구학교 경력이 있는 집단이 연구학교 경력이 없는 집단보다 높고, 연구 및 혁신학교 경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집단이 연구 또는 혁신학교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가수준 교유과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규모 변수가 13.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될 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ducational Objectives in Computing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 An, Sangji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81-18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ree elementary school computing curriculum - the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the computing programm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and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focusing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with the perspective of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STA K-12 computer science standards mainly addressed applying procedural knowledge and using digital technology is the main theme. The computing programme in England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factual and conceptual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such as algorithms.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lso addressed applying procedural knowledge, but the main focus is making softwares and robots. The finding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set up concrete educational objectives for lower grade and make them related to the secondary education to make more coherent elementary-level learning objectives. And elementary-level computing learning objectives are needed to be organized with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level.

A Comparative Analysis on Software Educati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im, Ji-Yun;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5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d comparison of software education unit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mparative analysis of 6 Practical Arts textbooks was conducted especially on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cided to be unit system, unit structure, learning objectives, the way of placing contents, activities, supporting materials, providing resources, and evaluation. As a result,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have secured a lot of quantity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units. And the affective domain of the learning objectives is shown to be lacking. All the textbooks were uniformly arranged the component of contents described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operative activities are strengthened compared to the previous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evaluations have a large variation among textbooks and some have fewer types.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만족도와 교육요구도 (Study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 김진현;김성재;방경숙;고진강;이남주;유주연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27-13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demands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of nurs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34 senior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clinical practicums.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The evaluation survey for the curriculum consisted of three parts: 1) academic achievement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2)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3) demands on th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um. Results: The mean scores on the achievement levels of educational objectives, care of subjects and skills of the students were $3.68{\pm}0.53$, $3.69{\pm}0.59$, and $3.77{\pm}0.56$, respectively. The low rated domains were 'understanding and delivering culturally competent nursing' and 'competence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their levels of achievements. Overall,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eir satisfaction scores for the hours and arrangements of the clinical practicum, and the ratios and arrangements of lectures and clinical practicum were relatively low.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to redesign nursing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graduates for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s. We need to try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ies of students by designing a curriculum based on social change and student needs.

  • PDF

한국의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 규준 CCSSM의 비교.분석 -초등학교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 for Mathematics(CCSSM) in the U.S.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Strand in Elementary School -)

  • 안지영;전영주;윤마병;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37-464
    • /
    • 2014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CCSSM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CCSSM에서 각각의 내용 영역명과 해당 영역의 학년 분포 및 내용 체계, 내용 규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기반으로 첫째, CCSSM 내용 영역명에 따른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해당 내용을 분류하여 학년군별로 취합하였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 과정에서 한국과 미국의 초등 수학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 PDF

2007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개선 (An Improvement of the Computer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through the Analysis of 2007 Revised Curriculum)

  • 하태현;신동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21-33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betwee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would initially apply from 2009 and then to suggest better ways to improve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 a comparison was made and a suggestion has been derived: Firstly, the computer subject should not be treated as a rival to others anymore, rather it should be considered as an essential subjects. Secondly, teachers who take computer subjects as their major should be allocated to middle schools. Thirdly, computer subjects should be taught systematically from elementary and be continued throughout in order to promote the level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urthly, the advantages of computer utilis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layout the computer curriculum that is practicable and learner-centered. Finally, teachers should recognise the main aim of computer education and teach computer subjects to be useful in education. Though the revised version is not perfect the more the curriculums are revised, the better they might be expected to be developed. Consequently, whenever the newly revised computer curriculum emerges, the defects should be identified and addressed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e computer curriculum.

  • PDF

학교 교육과정 컨설팅 모형의 시론적 개발 (The Developmental Study for Preliminary Model for Consulting School Curriculum)

  • 김분순;강현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537-552
    • /
    • 2010
  •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for preliminary model for consulting school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goal, the meaning of school-based curriculum, supervision of school curriculum, supervision of curriculum consulting are examined. Second, The condition for supervision of school curriculum is reviewed in line of curriculum context. They are discussed problem of supervision in Korea through the diagnosis of present condition. Third, Model development for the consulting in the school curriculum is attempted for building creative curriculum management. Finally, the conception of school curriculum consulting, feature of model, and the item of actual applications are discussed.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재난안전 교육내용 비교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성미영;김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92-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유치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초 중 고)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 대상 재난안전 교육내용은 신체운동 건강영역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내용범주에 '재난'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은 초등1~2학년과 3~6학년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1~2학년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안전한 생활' 대분류 영역 중 하나인 '재난안전'영역에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된 반면, 초등3~6학년은 체육, 과학, 실과 등의 관련 교과목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 안전교육내용이 분산되어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고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 역시 사회, 체육, 과학, 기술 가정 등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 분산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연속성과 체계성을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시 재난안전 교육내용의 연속성과 체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 내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Secondary Earth Science Curriculum between Mongolia and South Korea)

  • 간치멕;곽영순;차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21-630
    • /
    • 2020
  •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중등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지구과학과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지구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의 변천 및 현행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다른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둘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는 TIMSS 평가틀을 활용하였고, 고등학교는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GSS)과 한국의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혼합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분석을 거쳐서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몽골과 같이 러시아식 교육 체제를 따르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지구과학을 독립적인 과학과목으로 편성·운영하지 않았고, 지리교과의 자연지리 영역에서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몽골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구과학 내용을 분석한 결과 TIMSS 내용분석틀의 27개 내용 요소 중에서 몽골은 18개가 일치했고, 한국은 20개가 일치했다. 한국의 몽골의 고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내용은 한국보다 매우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었고, 다루지 않는 내용이 많았다. 특히, 몽골 지리 교과과정에서는 환경 관련 내용을 많이 다루었다. 몽골의 지구과학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환경 관련 내용의 강조는 한국의 과학과 사회 교과의 간학문적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시 참고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