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solabial angl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5초

III급 부정교합자의 연조직 측모 감별에 관한 연구 (DIFFERENTIAL DIAGNOSIS OF CLASS III PROFILE)

  • 황병남;이승훈;이정근;이재봉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174-183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ft tissue profile of the class III malocclusion and to test the yardstick far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surgical and orthodontic patients. Initial lateral cephalograms of orthodontic group(30 patients) that have acceptable occlusion and profile by orthodontic treatment alone and surgical group(30 patients) that have favorable occlusion and profile by combined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were selected in Ajou university hospital. Powell and Burstone II analysis were made on the tracing. Descriptive, comparative, factor,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1.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had a more concave profile and a longer lower facial height than patients who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alone. 2. Nasolabial angle, ratio of vertical height, and mentolabial sulc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And facial protuberance, upper lip protuberance, mentocervical angle, nasofrontal angle, nasomental angle, mandibular vertical height, angle between cervix and lower face, ratio of mandibular vertical height divided by cervical depth, ratio of vertical height between upper and lower lip, and maxillary protuber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1% level. 3. 8 factors were extracted and factor 2, 3, and 8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factor analysis. 4. Orthodontic group (25) and surgical group (35)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5. Discriminant function was D = 0.079Nasomental angle + 0.081Sn-Gn + 3.343Sn-Gn/C-Gn + 1.734Sn-St/St-Me' -26.460, and cutting score was 0, so we can discriminate that orthodontic group has the score above 0, and surgery group below 0. And 91.7% of original grouped cases were correctly classified.

  • PDF

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 정규림;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81-889
    • /
    • 1997
  •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 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 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적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I'-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평면측모(GI'-Sn'-Pg') 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보다 리???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 보다 2 mm 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각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 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이차 구순비 변형 환자에서 Spacer Graft를 이용한 콧방울뒤당김(retracted ala)의 교정 (Correction of Retracted Ala Using Spacer Graft in Secondary Cleft Lip and Nose Deformity)

  • 한규석;최현곤;신동혁;김순흠;황은아;엄기일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376-382
    • /
    • 2011
  • Purpose: In patients with unilateral cleft lip and nose deformity, alar retraction is commonly seen on the non-cleft side after cleft side is corrected. Spacer graft was used to drag down the inferior border of the alar cartilage of the non-cleft side so as to match the cleft side. By performing spacer graft and septal extension graft together, symmetry and cosmetic improvements were achieved. Methods: Seven unilateral cleft lip and nose deformity patients underwent surgery for alar retraction correction. The median age was 24 years (ranged from 15 to 34 years), and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7.4 months (ranged from 6 to 12 months). The perpendicular length from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nostril to the alar rim, the nasolabial angle and the ala-labial angle were measured in the lateral view photo. The longest perpendicular length from the cephalic border of the alar rim to the parallel line of the alar base was measured in the frontal view photo. Results: Improvement in alar retraction was seen after the surgery. There were no specific complications during the follow-up and the symmetry of both nostrils was satisfactory. No increase in the nasolabial angle or exposure of the nostrils was seen after the tip projection via tip plasty. Conclusion: The fundamental factor in correcting alar retraction with secondary cleft lip and nose deformity is repositioning the alar rim with spacer graft, which seems to be more physiologic than other methods. The method combining spacer graft with septal extension graft will bring symmetry as well as more cosmetic improvement in correction of alar retraction with secondary cleft lip and nose deformity.

골격성 III 급 부정 교합자에서 양악 회전 수술 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SOFT TISSUE CHANGES AFTER DOUBLE JAW ROTATION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정미향;최정호;김병호;김성곤;남동석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6호
    • /
    • pp.559-565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simultaneous maxillary clockwise rotation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mprised of 16 adult patients who had anteroposterior skeletal discrepancy. These patients ha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which consisted of Le fort I Osteotomy and bilateral saggital split ramus osteotomy. The presurgical (T1) and postsurgical (T2) lateral cephalograms were evaluated. The computeriz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s demonstrated a decrease in the vertical dimension in the soft and hard tissue. The nasolabial angle was increased and the mentolabial angle was decreased. The results showed also m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p<0.05). The lower lip closely followed the skeletal movement of the B- point in the horizontal plane. The double jaw rotation surgery can afford a good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class III malocclusion cases.

E국민학교생 6~11세 아동에 있어서 악안면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누년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in 6 to 11 Years Children)

  • 박영철;손병화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3권6호통권193호
    • /
    • pp.527-538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ronologic changes of the soft tissue profile in 6 to 11 years children. The author analyzed 174 cephalometric roentgenograms of 13 boys and 16 girls taken from the ages of 6 to 11 to assess the growth changes of the soft tissue profil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Means,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children were obtained. 2. Items which showed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longitudinal study were prn. Sn. A', and Ls that were greater than females variation. 3. With age, thickness of the soft tissue were increased except Ls. 4. Nasolabial angle and facial convexity had no significant change with age and sex.

  • PDF

한국인에서의 분절골 절단술 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Evaluation of Soft Tissue Change after Segmental Osteotomy in Korean)

  • 박재억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75-979
    • /
    • 1998
  • 하악 전치부 근첨하 골전단술을 동반한 상악 변형 분절골 절단술 목적은 양치조성 혹은 양악 전돌 환자로부터 가장 좋은 치료 결과를 얻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 분석과 정면 사진을 비교 분석해 술 후 연조직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순 전돌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비순각은 증가하였다. 코가 약간 넓어졌으나 결과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절단된 골분절의 혈액공급은 잘 유지되었다. 이것은 많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법이다.

  • PDF

상악 완전무치악에서 지르코니아 framework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The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with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using a zirconia framework: A case report)

  • 변재준;장은선;공대룡;송주헌;이경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42-348
    • /
    • 2020
  • 우식 및 치주질환등의 여러원인으로 다수의 치아를 발거 후 안면 및 치조골의 해부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상악의 경우 치조골이 치근의 방향과 경사로 흡수되고 잔존치조골이 짧아지면서 악궁의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비순각(Nasolabial angle)이 커지면서 입술의 지지를 상실하게 되어 안면의 심미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를 재건하기 위해 다양한 수복 치료가 제안될 수 있다. 무치악 환자에게 보철적 재건 방법 중 전통적인 총의치 치료가 선택될 수 있지만 환자의 대부분은 의치에 의한 통증과 불편감, 안정성 부족으로 자연치를 갖는 사람들보다 저작능력이 20%미만이다. 또한 의치가 신체의 일부가 아님을 인지하고 심리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작기능 향상과 유지, 안정 그리고 치조골을 보존 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과 고정성 보철 치료가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다. 상악 무치악 부위를 위한 임플란트 치료방법 선택 시 심미성을 위해 보철물의 변연을 원치 않거나 적절한 입술 지지, 발음의 향상, 구개를 덮지 않아 환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이용한 fixed detachable prosthesis 치료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잔존치조골 흡수로 부적절한 악간관계와 입술지지를 잃은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지르코니아 framework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형 고정성 보철 치료를 진행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청소년 및 성인 환자에서 II급 부정교합 치료시 연조직 변화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f Soft Tissue Changes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in Class II Malocclusion Treatment)

  • 장나영;조진형;이유미;강경화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77-29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II급 청소년, 성인 환자에서 발치와 비발치 후 연조직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었다.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68명을 각각 청소년발치군, 청소년비발치군, 성인발치군, 성인비발치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하였다. 각 군의 치료 전후를 비교하고 각 군 간의 변화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들의 상관성과 회귀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청소년과 성인의 발치군에서 비순각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비발치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발치군에서는 vertical-U1과 E line-upper lip의 변화량 간에, vertical-U1과 E line-lower lip의 변화량 간에, vertical-L1과 vertical-Li의 변화량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발치군에서 회귀분석을 통해 E line-upper lip, E line-lower lip, Li에 대한 단순회귀방정식이 도출되었다.

상악 측절치 결손이 어린이 안면골격과 치열궁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xillary Lateral Incisor Agenesis on Skeletodental Characteristics in Mixed Dentition)

  • 남시연;신종현;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7-157
    • /
    • 2019
  • 이 연구는 상악 측절치 선천결손을 보이는 초기 혼합치열기 아동의 골격 및 치아치조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교정진단 및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초기 혼합치열기의 상, 하악 유견치가 모두 존재하는 아동 중, 상악 측절치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 결손이 없는 38명의 상악 측절치 결손군과 대상 기준을 만족시키는 동일한 치령의 대조군 38명을 선정하였다. 각 군의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분석과 모형 분석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악 측절치 결손군의 골격 및 치아치조 특성을 평가하였다. 성별에 따른 결손의 총 비율은 남아가 더 높았고 편측 결손군에서는 남아의 비율이 더 높았지만 양측 결손군에서는 여아의 비율이 더 높았다. 모형 분석에서 결손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악 전방부 폭경 대 장경 비가 크게 나타났고(p = 0.003), 총악궁둘레는 작게 나타났다(p = 0.04).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분석 결과, 골격 및 치아적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조직 외형에서 결손군이 대조군에 비해 nasolabial angle이 큰 값을 나타냈다(p = 0.039). 상악 측절치 결손 아동의 골격 및 치아치조 특징에 유념하여 뚜렷한 안모 및 기능 이상을 보이기 이전에 조기 진단 후 적절한 관리를 통해 기능적 결함의 가능성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추천된다.

교정의사가 선호하는 측모의 유형에 따른 특징적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ttractive profiles of Korean young women to orthodontists)

  • 김영진;김정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9-487
    • /
    • 2001
  • 교정 치료의 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여성의 아름다운 측모에 관한 정확한 이해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교정의사 간에 심미안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치과교정의사에 의해 선호되는 여성의 심미적인 측모를 선정하여, 이들이 facial convexity의 정도에 따라 심미적인 측모를 구성하기 위한 특징적인 양상을 보이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적 배경이 다른 5명의 치과교정의사로 하여금 133명의 20대 여성의 측모 사진을 이용하여 선호도에 따라 심미적인 측모를 채점하도록 하였다. 심미적인 측모를 가졌다고 판정된 35명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연조직 분석을 시행하였고, 이를 facial convexity의 정도에 따라 convex군(G-Sn-Pg${\geq}9^{\circ}$)과 straight 군(G-Sn-Pg<$9^{\circ}$)의 두 subgroup으로 세분화하였다. 심미적인 측모를 선정하는 데에 있어서의 객관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5명의 치과교정의사간의 심미안의 차이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시행하였는데 미의 기준이 주관적임에도 불구하고 치과교정의사간에 측모 선호 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안모 형태의 차이에 따라 세분된 두 subgroup간의 코의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N-Pg-Sn, N-Pg-Pn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nasolabial angle, labiomental angle, 그리고 수직적 분석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상하순 돌출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H-angle, Ls to E line, Li to E line, Pg to Sn per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n-Pg line와 Sn perp. 에서부터의 거리에는 차이가 없었다(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