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o space center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43초

레이더를 이용한 국제우주정거장 추적 및 궤도결정 (Tracking and Orbit Determination of International Space Station using Radar)

  • 유기영;정대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47-454
    • /
    • 2016
  • 우주파편의 증가는 지구궤도 환경을 날이 갈수록 복잡하게 만들고 있고 우주상황인식(SSA)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우주상황인식의 필수적인 분야인 우주물체 감시 및 추적은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레이더는 우주물체 감시 및 추적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센서이다. 한국은 현재 다목적실용위성 등 다수의 저궤도위성을 운영 중이지만, 위성과 우주물체간의 충돌 감시를 위한 전용레이더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로우주센터는 발사체 궤적을 추적하기 위한 레이더를 고흥과 제주에 각각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나로호 발사체 추적레이더를 국제우주정거장 추적에 사용하기 위해 운용개념을 개발한 내용과 국제우주정거장을 추적한 내용을 기술한다. 또한 추적결과 획득한 레이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제우주정거장을 궤도결정한 내용을 기술하고 TLE와 비교하여 궤도결정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DESIGN OF CORRUGATED HORN ANTENNAS FOR THE SPACEBORNE RADIOMETER (DREAM) ON STSAT-2

  • Chae Chun-Sik;Kim Sung-Hyun;Zhang De-Hai;Jiang Jing-Shan;Kim Yong-H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733-736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two antennas for the Dual-channel Radiometers for Earth and Atmosphere Monitoring (DREAM) the main payload, will be launched at NARO space center in Korea in 2007. The antennas are designed to meet stringent requirements of a very high beam efficiency, good pattern symmetry, and low VSWR, at 23.8 GHz and 37 GHz bands. Corrugated horn antennas are use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electrical performance are presented.

  • PDF

발사체 고체추진제의 저장 및 시험 시 안전거리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Minimum Safety Distance during Storage and Combustion Test of Solid Propellants for Launch Vehicles)

  • 신안태;박병문;변헌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180-185
    • /
    • 2021
  •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으로 우주발사체에 대한 고체추진제 사용 제한이 완전히 해제 됐다. 고체추진제는 1단형 과학로켓 KSR-1과 같이 고체추진제 로켓으로 활용 가능하고, 액체연료 발사체의 추력증강 부스터로도 활용 가능하다. 고체추진제는 액체추진제에 비하여 폭발 위험성이 낮은 장점이 있지만 브라질 알칸타라 발사장 폭발사고와 같이 사고가 일어나면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인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체추진제의 저장 및 시험 시 최소한의 안전거리에 대한 검토가 사업의 기획단계 부터 검토되고 반영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사체 고체추진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저장시설과 시험 시로 구분하여 산정 기준 및 사례를 제시하였다.

KSLV-III를 이용한 한국형 화성 탐사 임무의 설계 (KOREAN MARS MISSION DESIGN USING KSLV-III)

  • 송영주;유성문;박은서;박상영;최규홍;윤재철;임조령;최준민;김병교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355-372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KSLV-III(Korea Space Launch Vehicle-III)를 이용한 향후 우리나라의 화성 탐사 임무 설계를 제시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발사장인 '나로 우주센터(NARO Space Center)'를 발사장으로 가정하였으며, 현재 개발중인 KSLV 시리즈와 건설중인 우주센터의 완공기간 그리고 안정성 수립 기간을 고려하여 임무 수행 가능 기간을 약 2033년경으로 선정하였다. 화성 탐사 임무 수행시 각 단계에 따라 차별화 되어 요구되는 각종 기동(maneuver)의양 즉, 화성 천이(Trans Mars Injection, TMI)기동, 궤적 보정 기동(Trajectory Correction Maneuver, TCM), 화성 궤도 진입(Mars Orbit Insertion, MOI)기동 및 임무 수행 궤도를 이룩하기 위한 기동(Orbit Trim Maneuver, OTM)은 NPSOL 소프트웨어 이용하여 비선형 최적화 문제를 풀어 직접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최적 기동의 양을 바탕으로 KSLV-III를 이용하여 화성 탐사 임무를 수행할 경우에 대비, 구체적인 발사체 상단부(Upper stage)와 최대 탑재 가능한 탐사선의 질량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졌다. 임무 설계 결과 향후 우리나라는 2033년 4월 16일 12시 17분 26초(UTC)부터 약 27분간 나로 우주센터에서 화성 탐사선을 발사 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기동량을 바탕으로 계산된 최대 가능 탐사선의 총 질량은 탑재되는 추력기의 비추력을 290초로 가정하였을 때 약 206kg(추진제: 109kg + 구조체: 97kg)이며, 발사체 상단부는 비추력 및 구조비를 290초와 0.15로 가정하였을 때 약 1293kg(추진제: 1099kg +구조체: 194kg)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적의 기동량에 10%의 여유분을 고려한다면 탐사선은 약 148kg, 발사체 상단부는 약 1352kg의 질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각종 자료들은 향후 우리나라의 독자적인 화성 탐사선 개발을 위하여 많은 사전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KSLV-1 발사를 위한 원격측정신호 Link Margin 분석 (Link Margin Analysis on Telemetry for KSLV-I Launch)

  • 오창열;이성희;김동현;권순호
    • 항공우주기술
    • /
    • 제8권2호
    • /
    • pp.105-112
    • /
    • 2009
  • 위성발사체(KSLV)발사에 있어서 Telemetry data는 발사임무수행 및 비행안전통제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발사체의 전체 비행구간 동안에 Telemetry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우주센터에서는 고흥 센터, 제주추적소 및 해상의 다운레인지를 운용하고 있다. 본 문서에서는 발사임무설계에 따른 예상비행궤적 및 발사체 자세, 추적소 위치를 고려하여 각 추적소의 임무구간에 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Link Margin 및 통신신뢰도를 분석한다.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예상비행궤적 및 추적소 위치를 고려하여 발사체기준의 추적소방향(Aspect angle 및 roll angle)에 대한 탑재송신부 유효방사전력(EIRP: Effective Isotropic Radiation Power) 특성을 사용하여야 하나, 본 분석에서는 가용자료의 한계로 95% spatial coverage 유효방사전력을 사용하였다.

  • PDF

Studies on establishment rate of direct seeded rice in relay intercropping system

  • Maki, Natsumi;Yasumoto, Satoko;Kojima, Makoto;Ohshita, Yasu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86-186
    • /
    • 2017
  • Relay intercropping system of direct seeded rice and winter cereal is labor saving cultivation and has high land use efficiency in Japan. In this system, rice seeds are direct seeded into inter-row space of winter cereals (wheat or barley) in March or April. If the direct seeding of rice is conducted before stem elongation phase or using suitable seeder, these are little effect to yield of winter cereals. Though the seeds are generally thiuram treated, it's a matter that seedling establishment rate (SER) of direct seeded rice is low and unstable. The cause of low SER has not been revealed. In present study, with the aim to reveal causes of low SER, we conducted experiments and investigated the SER, and analyzed some factors that might affect SER. Experiment1: In 2015, 2016, we buried rice seeds underground, and investigated the transition of the seed survival rates (SSR). Seeds were thiuram-treated or non-treated. In 2 periods, SSR of thiuram-treated see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treated seeds. In 2016, thiuram-treated seeds were high in SSR (almost 75%) at April 30th, but low SER (10~27%) after harvest of winter cereals. Therefore, almost all of seed death might have been happen after germination. Analysis 1: We investigated the SER and cultivation conditions in Ibaraki pref. for several years. Meteorological factors were referred from the nearest point of AMeDAS. From mean temperature (MT) among 5days after and before the day, we divided the period of seeding ~June 20 to phase1~4. We defined each phase as below; Phase1: $MT{\leq}10^{\circ}C$, Phase2: $10^{\circ}C<MT{\leq}15^{\circ}C$, Phase3:$15^{\circ}C<MT{\leq}20^{\circ}C$, Phase4: $MT>20^{\circ}C$.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SER and meteorological factors by each phase. Total number of days in phase 1~4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SER. In phase1, total rain fall and number of soil wetting days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SER. In phase2~4, only MT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SER. This result suggested that rainfalls in phase1 declined seed vigor to emergence from soil surface, by repeated water absorption and re-dry. From these present studies, it was suggested that one of factors of low SER of direct seeded rice in relay intercropping system is changing of water condition by rainfalls in phase1 ($MT{\leq}10^{\circ}C$). To improve SER, it's necessary to consider something seed treatments such as prevent water absorption during phase1. However, 58~60% of seeds seemed to die during May. It's suggested that, if seeds are thiuram treated, almost all of seeds can germinate underground, but the seed vigor to emergence from soil surface are insuffici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reveal the rest causes that is happening during emergence from soil surface.

  • PDF

나로호(KSLV-I) 비행상태 감시를 위한 우주센터 원격수신자료전시시스템 구축과 운용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S for Monitoring KSLV-I Flight Status in Space Center)

  • 최경준;김정석;최용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9-3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나로호(KSLV-I) 비행상태의 실시간 감시를 목적으로 국내에서는 처음 개발된 우주센터 원격수신자료전시시스템(EDS)의 구축과 운용을 소개한다. EDS는 우주센터 발사통제시스템의 주요 시스템 중 하나이고 그 역할은 위성발사체의 비행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주요정보(QLM)와 궤적정보(TSPI)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처리함으로써 탑재 서브시스템별 전문가들이 위성발사체의 비행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EDS는 3회에 걸친 나로호 비행시험에서 그 역할에 따라 매회 8대가 운영되었으며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시스템을 기반으로 추후 발전된 형태의 한국형발사체(KSLV-II) 비행상태의 실시간 감시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나로호(KSLV-I) 1차 비행시험 비행안전 운영 (Flight Safety Operation for the 1st Flight Test of Naro(KSLV-I))

  • 고정환;최규성;심형석;노웅래;박정주;조광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0-287
    • /
    • 2010
  • 한국 최초의 위성발사체 나로호(KSLV-I)의 1차 비행시험이 2009년 8월 25일 전라남도 고흥의 나로우주센터에서 실행되었다. 다량의 연료를 싣고 장거리를 비행하는 우주발사체의 특성상 비행중의 비정상 상황에 대한 대비는 매우 중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KSLV-I 발사운영의 안전확보를 위해 진행된 비행안전 업무를 기술하였다. 비행시험 전, 비행시의 비정상 상황으로 인한 위험도 분석을 위한 비행안전 분석이 진행되어 정량적인 위험성을 평가하였으며, 발사시에는 비행안전시스템을 운영하여 위험에 대비하였다. 비행중 추적데이터를 이용한 순간낙하점 계산과 비행상황 감시는 정상적으로 운영되었으며, 비행종단시스템의 동작없이 비행시험을 완료하였다.

접촉점화성 추진제 안전기준 및 상호반응성 분석 (Analysis of Safety Regulation and Chemical Reactivity of Hypergolic Propellant)

  • 이응우;신안태;조상연;박병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8-115
    • /
    • 2023
  • 하이드라진은 우수한 액체추진제이지만 독성과 반응성이 높아 저장 및 취급 시 주의가 요구된다. 발사장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의 누출로 인한 상호반응성을 고려한 안전지침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발사장의 하이드라진 충전시설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 저장 및 취급과 관련된 안전기준을 검토하였으며, 발사장에서 주로 취급되는 화학물질과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유별 혼재기준에 따라 혼합 보관이 가능한 물질을 선정하여 하이드라진과의 상호반응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사장에서 취급되는 화학물질에는 연료유를 제외하고는 상호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혼재가 가능한 위험물과도 상호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발사장에 하이드라진 전용의 저장소 구축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충전작업 중에는 저장용기와 처리 장비에 사용되는 물질과의 상호반응성을 피하기 위한 세심한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발사장에서 하이드라진 저장 보관 및 취급 시 발사장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KSLV-I의 기술적 안전 관리 (Technical Safety Management for KSLV-I)

  • 조상연;김용욱;이정호;신명호;오승협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82-685
    • /
    • 2010
  • KSLV-I 나로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위성발사체로 러시아와 공동개발 되었다. 2009년 8월과 2010년 6월에 있었던 1, 2차 발사는 위성을 궤도로 올리려는 목표 달성에는 실패하였지만 발사를 안전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인명이나 시설 손상과 같은 사고 없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다. 안전한 발사를 이루기 위하여 우주발사체 사업단은 러시아의 카운터파트인 흐루니체프사와의 협력을 통해 발사체의 기술적 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KSLV-I에 적용된 기술적 안전 관리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