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coleps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초

학습부진 양상을 보이고 나태한 학생으로 오인된 기면증 환자 2 례 (Two Cases of Narcolepsy Patient Portraying a Tendency of a Dull Learning Ability and Mistaken as an Idle Student)

  • 이승환;김선국;김린;정영조;서광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8권2호
    • /
    • pp.138-143
    • /
    • 2001
  • Sleepiness is associated with many different conditions and, as a neglected topic, it can be the cause of serious psychological and social disadvantages. In the aspect of learning, additional problems may arise from poor progress in school caused by the effect of sleepiness on concentration, memory, and other cognitive functions. Narcolepsy is by no means the most common cause of excessive sleepiness. Nonetheless, it is not a rarity, especially in young people. The non-specific nature of early features of narcolepsy, combined with very limited awareness that the condition can start in various ways, leads to many misinterpretations. Misinterpretation of narcolepsy symptoms is not confined to the medical profession. Teachers may well be critical of a student with narcolepsy because of their perception of narcolepsy symptoms as laziness, poor motivation, or difficult behavior and dull learning ability. Inappropriate reactions by parents, teachers, and peers, based on misinterpretation of narcolepsy symptoms or the patient's reactions to them, make a difficult situation worse. Especially in Korea, where schooling is focus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the problem is very serious and intensified by inappropriate or delayed diagnosis and treatment. Therefore, psychiatrists should be aware that narcolepsy in young adolescents is not rare and that they need to be familiar with its clinical features in both its classic and less obvious forms. Narcolepsy should be suspected if a adolescent's excessive sleepiness can not be explained in other ways. Therefore, we report on two patients who portray the tendency of dull learning ability and are mistaken as idle students. We diagnosed narcolepsy through polysomnography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ing. We treated the students with methylphenidate and pemolin. The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learning ability and were able to adapt better to school.

  • PDF

소아에서의 기면병 (Narcolepsy in Children)

  • 서완석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1호
    • /
    • pp.17-22
    • /
    • 2011
  • Childhood narcolepsy is one of the underdiagnosed diseases even the first symptoms often appear in childhood. Making diagnosis through history taking is not always easy because the symptoms of childhood narcoleps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dulthood. Diagnostic laboratory tests such as sleep studies, tests for human leukocyte antigens, cerebrospinal fluid hypocretin measure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child has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without cataplexy. Treatment approach should be start as early as possible to avoid secondary academic, emotional difficulties. Both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anagement,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parents and school teachers should be maintained. In the near future, childhood narcolepsy can be a key to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narcolepsy.

기면증 : 임상 양상, 진단 그리고 치료 (Narcolepsy : Clinical Feature, Diagnosis and Treatment)

  • 신홍범
    • 수면정신생리
    • /
    • 제17권2호
    • /
    • pp.63-68
    • /
    • 2010
  • Narcolepsy is a central neurologic system disease. It begins early in life with disabling symptoms includ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taplexy, sleep paralysis, hypnagogic hallucination and nocturnal sleep fragmentation. Patient with typical symptoms of narcolepsy is diagnosed by objective data from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s. Narcolepsy is controlled with various medications. Nowadays, modafinil with favorable side effects profiles compared with traditional stimulant is mainly used. Gamma hydroxyl butyrate is effective in cataplexy. Cataplexy is also controlled with antidepressant such as Venlafaxine, SSRI, and TCA. As the knowledge of pathophysiology of narcolepsy expands, new treatment including immunological method, application of hypocretin and histamine systems have been tried.

  • PDF

기면병과 렘수면행동장애에서의 렘수면 뇌파 스펙트럼 분석 (Spectral Analysis of REM Sleep EEG in Narcolepsy and REM Sleep Behavior Disorder)

  • 김형일;정도언;박광석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1호
    • /
    • pp.33-38
    • /
    • 2008
  • 목 적 : 기면병과 렘수면 행동장애(RBD)에서 모두 신경 퇴행적 과정이 존재할 가능성과 함께 두 질환의 증상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는 제안이 많이 있었다. 이 연구는 두 렘수면 관련 질환에서 스펙트럼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렘수면 뇌파의 미세 차이에 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면병과 RBD 각 군에서 9명씩 성비를 맞추어 분석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각각의 분석대상자의 세 개의 렘수면 주기에서 각각 연속된 세 수면단위를 골라 한 사람당 9개의 수면단위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델타파 영역에서는 그 비율이 기면병군에서 RB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알파파(p=0.02)와 베타 2영역($20{\sim}50\;Hz$)에서는 RBD군에서 기면병보다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서파수면은 기면병에서 많았으나 양군간에 렘수면 분율의 차이는 없었다(p=0.93). 결 론 : 기면병의 렘수면에서 RBD에 비해 델타파의 비율이 높은 양상은 수면촉진기전이 기면병에서 좀 더 우세하게 작용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 PDF

소아 기면증 1예 (A CASE OF NARCOLEPSY IN A 11 YEAR-OLD BOY)

  • 최보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173-178
    • /
    • 1993
  • 기면증의 초발연령은 비교적 균일하여 15세 이전, 보통 30세이후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저자는 기면증의 4대 증상인 주간의 과도한 졸리움, 탈력 발작, 수면마비 및 입면환각을 보이며 수면다원 검사에 의해 진단된 11세 남아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청소년에서 기면병 증상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Gender Differences in Narcolepsy Symptomatology among Adolescents)

  • 한은경;신윤경;윤인영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33-138
    • /
    • 2005
  • 목 적:본 연구에서는 성남 용인 소재 고등학생 대상으로 기면병의 특징적인 증상인 주간졸림증,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의 비율을 조사하고 성별차이에 대한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성남 용인 지역의 35개 대상 고등학교 중 26개 학교가 연구에 협조하여 20,407명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학생들에게 한국어로 번안한 Ullanlinna 기면병 척도를 측정하였고, 14점 이상인 학생들에게 기면병의 증상에 대해서 전화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기면병 증상의 비율과, 성별에 따른 심한 정도의 차이, 수면마비와 입면시 환각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Ullanlinna 기면병 설문지에 응답한 학생은 20,407명 중 20,343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4점 이상 학생은 4,535명(22.2%)였다. Ullanlinna 기면병 설문지에 응답한 20,343명의 남녀 사이에 기면병 척도 평균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탈력발작과 주간졸림증의 평균점수도 남녀간의 차이가 있었다. Ullanlinna 기면병 설문지에서 14점 이상인 학생 4,535명 가운데 전화 인터뷰에 응답한 학생은 3,234명이었으며 수면발작, 주간 졸림증, 유사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이 남자보다 여자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심한 수면발작과 유사 탈력발작의 빈도에 있어서는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다. 수면마비와 입면시 환각은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었으며 두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수면마비가 일어나는 시기는 잠자기 전, 잠자는 동안, 잠에서 깨어난 후 중에 잠자는 동안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고 보고하였다. 결 론:기면병의 특징적인 증상인 주간졸림증,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에서 남자보다 여자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성별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체 증상에 좀 더 민감하다는 것과 연관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기면증 치료에 대한 중의학 임상연구 동향 (A Review on Clinical Research Trends in the Treatment on Narcoleps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홍민호;구병수;김근우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9-47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the treatment on narcolepsy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in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October 2009-September 2019. Keywords were 发作性睡病, 嗜睡病, and 嗜睡症. Results: Among a total of 81 articles, 12 articles were selecte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 diagnostic criteria. Feng Chi (GB20) and Baek Hoi (GV20) are the most commonly used acupoints in acupuncture treatment. Glycyrrhizae Radix (甘草), Atractylodis Rhizoma Alba (白朮), and Poria (Hoelen) (茯苓) are the most commonly used preparations in herbal medicine. The effective rate is most commonly used as an outcome measurement. Conclusions: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c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ymptoms of narcolepsy. In the future, this study could be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re clinical research on the treatment on narcolepsy in Korean medicine.

기면병 환자의 주의집중 저하와 주간졸음증 간의 상관관계 부재 (Decreased Attention in Narcolepsy Patients is not Rel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 김석주;류인균;이유진;이주영;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2호
    • /
    • pp.122-132
    • /
    • 2005
  • 배 경:본 연구에서는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청년기 기면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면 증상과의 관계도 관찰하였다. 방 법:17세 이상 35세 이하의 기면병 환자 18명과 정상대조군 18명을 모집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탈력발작이 있고, HLA $DQB_1$ *0602 양성인 경우만을 기면병 대상군으로 하였다. 기면병 대상군과 정상대조군에게 13종의 신경심리검사(Wisconsin 카드분류, Trail making, Stroop, Ruff,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숫자 외우기, 공간 외우기, Rey 기억력, California 언어학습, 통제단어연상, Boston 이름대기, 굽은 막대 검사)를 시행하여 양군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기면병 대상군의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Epworth 졸음증 척도, Ullanlinna 기면병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입면 잠복시간 반복검사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기면병 대상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2.0초 간격과 2.4초 간격의 청각순차합산, 바꿔쓰기, 공간 외우기 정방향 검사에서 수행능력이 저조하였다(t=3.86, p<0.001;t=-2.47, p=0.02;t=-3.95, p<0.001;t=-2.22, p=0.03). 다른 신경심리검사에서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면병 대상군에서 저하된 신경심리검사 결과는 Epworth 졸음증 척도나 Ullanlinna 기면병 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야간수면다원검사나 입면잠복시간 반복검사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군의 주의력이 저하되어 있음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기면병 환자의 주의력 저하는 주간 졸음증의 개선만으로 호전시킬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소아수면과다증과 수면무호흡 (Childhood Hypersomnia and Sleep Apnea Syndrome)

  • 손창호;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3권2호
    • /
    • pp.65-76
    • /
    • 1996
  • Natural sleep pattern and its physiology in childhood are much different from those in adulthood. Several aspects of clinical evaluation for sleepiness in childhood are more difficult than in adulthood. These difficulties are due to several factors. First, excessive sleepiness in childhood do not always develop functional impairments. Second, objective test such as MSLT may not be reliable since it is hard to be certain that the child understand instructions. Third, sleepiness in children is often obscured by irritability. paradoxical hyperactivity, or behavioral disturbances. Anseguently, careful clinical evaluation is needed for the sleepy children. Usual causes of sleepiness in children are the disorders that induce insufficient sleep such as sleep apnea syndrome, schedule disorder, underlying medical and psychiatric disorder, and so forth. After excluding such factors, we can diagnose the hypersomnic disorders such as narcolepsy, Kleine-Levin syndrome, and idiopathic central nervous system hypersomnia. Among the variety of those causes of sleepiness, I reviewed the clinical difference of narcolepsy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childhood compared with in adulthood. Recognition of the childhood narcolepsy is difficult because even severely sleepy children often do not develop pathognomic cataplexy and associated REM phenomena until much later. Since childhood narcolepsy give srise to many psychological, academical problem. Practicers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se aspects.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different from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too. Several aspects such as pathophysiology. clinical feature, diagnostic criteria, complication, management, and prognosis differ from those in the adult syndrome. An important feature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the variety of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behavioral disorders, cognitive impairment, cardiovascular symptoms, developmental delay, and ever death. Fortunately, surgical interventions like adenotosillectomy or UPPP are more effective for Childhood OSA than adult form. CPAP is a "safe, effective, and well-tolerated" treatment modality too. So if early detection and proper management of childhood OSA were done, the severe complication would be prevented or ever cured.

  • PDF

한국인 기면병 환자의 기질 및 성격 유형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Pattern of Korean Narcolepsy Patients)

  • 최종배;이유진;김석주;류인균;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1호
    • /
    • pp.45-49
    • /
    • 2005
  • 연구목적:기면병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생물유전적 기질 및 성격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국제 수면장애 분류에 따라 진단된 기면병 환자군 22명과 정상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군에게 한국어판 기질 및 성격 척도를 작성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정상 대조군에 비해 기면병 환자군은 유의하게 높은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경향(Novelty-Seeking)(ANCOVA, F=5.42, p=0.025), 낮은 완고한 경향(Persistence)(F=8.41, p=0.006), 그리고 낮은 자기중심성(Self-Directedness) (F=4.70, p=0.036)을 보였다. 결 론:기면병 환자들은 특유의 생물유전적 기질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기면병 환자들이 새로운 것에 대해 관심을 보이나 쉽게 포기하는 기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기면병 환자들이 비효율적이며, 무력하며, 상처 받기 쉬운 자아상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