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ces in Narcolepsy Symptomatology among Adolescents

청소년에서 기면병 증상의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 Han, Eon-Ky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Shin, Yoon-Ky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Yoon, In-You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한은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신윤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 윤인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Objectives: Narcolepsy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sleepiness, cataplexy, sleep paralysis and hypnagogic hallucination. As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narcolepsy symptomatology in adolescents,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s and prevalence of narcolepsy tetrad among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Methods: Total 20,407 subjects, ages 14-19 years filled out Ullanlinna Narcolepsy Scale (UNS). Subjects whose UNS scores were equal to or more than 14 were interviewed by telephone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Variables included questions to evaluate tetrad of narcolepsy. Results: UNS scores were higher in female than male ($11.1{\pm}5.2$ vs. $9.6{\pm}4.5$, p<0.001). Subjects scoring the UNS equal to or more than 14 were 4,535 (22.2% of all the participant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female than in male (p<0.001).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taplexy-like symptoms, sleep paralysis and hypnagogic hallucination in subjects of UNS ${\geq}14$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ubjects than male ones. However,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frequencies of severe sleep attack and cataplexy-like symptoms. Sleep paralysis was most frequently reported during sleep.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paralysis and hypnagogic hallucination (r=0.235, p<0.01). Conclusions: Our findings were that female adolescents complained more frequently narcolepsy symptoms than male subjects. Female adolescents might be more sensitive than male ones to physical complaints such as sleepiness or muscle weakness.

목 적:본 연구에서는 성남 용인 소재 고등학생 대상으로 기면병의 특징적인 증상인 주간졸림증,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의 비율을 조사하고 성별차이에 대한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성남 용인 지역의 35개 대상 고등학교 중 26개 학교가 연구에 협조하여 20,407명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학생들에게 한국어로 번안한 Ullanlinna 기면병 척도를 측정하였고, 14점 이상인 학생들에게 기면병의 증상에 대해서 전화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기면병 증상의 비율과, 성별에 따른 심한 정도의 차이, 수면마비와 입면시 환각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Ullanlinna 기면병 설문지에 응답한 학생은 20,407명 중 20,343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4점 이상 학생은 4,535명(22.2%)였다. Ullanlinna 기면병 설문지에 응답한 20,343명의 남녀 사이에 기면병 척도 평균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탈력발작과 주간졸림증의 평균점수도 남녀간의 차이가 있었다. Ullanlinna 기면병 설문지에서 14점 이상인 학생 4,535명 가운데 전화 인터뷰에 응답한 학생은 3,234명이었으며 수면발작, 주간 졸림증, 유사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이 남자보다 여자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심한 수면발작과 유사 탈력발작의 빈도에 있어서는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다. 수면마비와 입면시 환각은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었으며 두 변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수면마비가 일어나는 시기는 잠자기 전, 잠자는 동안, 잠에서 깨어난 후 중에 잠자는 동안에서 가장 많이 일어난다고 보고하였다. 결 론:기면병의 특징적인 증상인 주간졸림증, 탈력발작, 수면마비, 입면시 환각에서 남자보다 여자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성별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신체 증상에 좀 더 민감하다는 것과 연관하여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