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sphere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5초

RIE 공정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의 광 산란층 제작 (Fabrication of Scattering Layer for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OLEDs)

  • 배은정;장은비;최근수;서가은;장승미;박영욱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5-102
    • /
    • 2022
  • Since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as next-generation displays, it has been successfully commercialized as a flexible and rollable display. However, there is still wide room and demand to improve the device characteristics such as power efficiency and lifetime. To solve this issue, there has been a wide research effort, and among them,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techniques have been attracted in this research field by its fascinating characteristic of material independence. In this study, a micro-nano composite structured external light extraction layer was demonstrated. A reactive ion etching (RIE) process was performed on the surfaces of hexagonally packed hemisphere micro-lens array (MLA) and randomly distributed sphere diffusing films to form micro-nano composite structures. Random nanostructures of different sizes were fabricated by controlling the processing time of the O2 / CHF3 plasma. The fabricated device using a micro-nano composite external light extraction layer showed 1.38X improve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compared to the reference device. The results prove that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applying the micro-nano composite structure on conventional MLA fabricated through a simple process.

실리카 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다공성 중공형태를 갖는 LiMn2O4 합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Mesoporous Hollow Sphere Shape LiMn2O4 using Silica Template)

  • 류성현;류광선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84-190
    • /
    • 2011
  • 다공성 중공형태의 $LiMn_2O_4$는 실리카 템플레이트과 침전법에 의해 합성되었다. 합성한 $LiMn_2O_4$는 나노사이즈의 1차입자를 가지며 다공성 중공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실리카 템플레이트의 제거는 NaOH를 이용하여 화학적 에칭법이 사용되었다. NaOH의 농도를 높여줌에 따라 망간산화물 입자 크기가 증가 하며 다공성의 중공구가 형성되었다. X-선 회절 분석을 통하여 합성된 $LiMn_2O_4$는 Fd3m의 공간 그룹을 가지는 스피넬 구조가 형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리카와 망간염의 비율을 높여주었을 경우 합성된 $LiMn_2O_4$는 1차입자의 크기는 감소한다. 실리카와 망간염의 비율이 1 : 9 이상인 경우에서 마이크론 단위의 정방정계의 $LiMn_2O_4$가 합성되었다. 다공성 중공형태의 $LiMn_2O_4$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32형태의 코인셀을 제작하여 충/방전 테스트를 하였다. 나노사이즈의 1차입자를 가진 시료의 경우에는 마이크론 사이즈의 1차입자를 가진 시료보다 용량은 낮았지만 용량유지율은 향상되는 것 확인 할 수 있었다.

레조르시놀 비스-에틸헥사노에이트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유화제 종류에 따른 형성 (Formation of Nano-emulsions with Resorcinol bis-ethylhexanoate upon Type of Emulsifier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9-3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미백제인 RS White를 함유한 O/W 나노에멀젼의 형성 가능성을 유화제 종류별로 실험하였다. 친수성계면활성제로 Tween 80, 60, HCO 60 및 40과 친유성 계면활성제로 Span 80을 사용한 시스템에서는 적정한 농도에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으나 Myrj 52, Montanov L 및 Tegocare 450과 Span 80을 사용한 시스템에서는 형성되지 않았다. 형성된 나노에멀젼은 입자의 직경이 100 nm 미만의 반투명 외관을 보였으며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평가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이들의 경피흡수 정도를 마크로에멀젼과 비교한 결과 24 h 동안 피부 투과량은 나노에멀젼은 $70.84{\mu}g/cm^2$, O/W 마크로에멀젼은 $28.97{\mu}g/cm^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RS White 미백제를 함유한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기능성 소재의 효율적인 피부 전달체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Synthesis of Ceria Nanosphere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 Kim, Jong-Young;Kim, Ung-Soo;Cho, Woo-Seo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9-252
    • /
    • 2009
  • Nanocrystalline ceria particles were prepared by using the ultrasonic spray pyrolysis method. The prepared ceria particles were found to be spherical and non-agglomerated by the SEM and TEM analyses. It was found that carrier gas influences the size and morphology. It was found that the air stream of carrier gas results in porous agglomerated structure of ceria abrasives, whereas solid nano-sphere can be obtained in a more oxidizing atmosphere.

Temperature Effect on the Interface Trap in Silicon Nanowire Pseudo-MOSFETs

  • 남인철;김대원;허근;;황종승;황성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87-487
    • /
    • 2013
  • According to shrinkage of transistor, interface traps have been recognized as a major factor which limits the process development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traps occur through spontaneous generation process, and spread into the forbidden band. There is a large change of current though a few traps are existed at the Si-SiO2 interface. Moreover, the increased temperature largely affects to the leakage current due to the interface trap. For this reason, we made an effor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interface trap. The subthreshold swing (SS) was investiga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The simulated results show that the sphere of influence of trap is enlarged according to increase in temperatu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energy and surface potential, we extracted the average surface potential and thermal energy (k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spite an error rate of 6.5%, change rates of both thermal energy and average surface potential resemble each other in many ways. This allows that SS is affected by the trap within the range of the thermal energy from the surface energy.

  • PDF

원적외선 온열효과를 위한 나노탄소타일 개발 (Development of Nano Carbon Tile for Far-Infrared Thermotherapy Effect)

  • 윤달환;엄우용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4-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접착제를 주성분으로 스틸렌 모노머(stylene monomer)와 메틸올 아크릴아미드 모노머(methylol acrylamide monomer)를 경화시키고, 여기에 산화환원제와 점도 조절을 통한 나노 탄소타일을 개발한다. 이때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접착제(45 %)와 300~500메시(mesh) 코코넛 숯(55%) 파우더를 일정비율로 25~30분간 혼합 교반하면, 직경 1~3mm 구형체가 형성된다. 성형된 조성물은 소성온도 $90{\sim}300^{\circ}C$에서 30~90분가량의 소성과정을 거친 후 상온에서 건조시키면, 숯 성형물은 95% 이상 순수한 고형활성탄이 된다. 친환경 숯 성형물을 입증하기 위해 원적외선 비율, 에너지 분석, 가스농도 및 항균실험을 실시해 안정성을 확보한다.

Novel Nickel Catalysts Containing Tetradentate Chelating Ligands for the Polymerization of Norbornene

  • Lee, Dong Hwan;Lee, Jun Yong;Ryu, Ji Young;Kim, Youngmee;Kim, Cheal;Lee, Ik-M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7호
    • /
    • pp.1031-1037
    • /
    • 2006
  • New nickel complexes containing novel tetradentate ligands, 4,5-substituted-1,2-bis(pyridine-2-carboxamide)-benzene ligands but lacking alkyl or halide ligands in the coordination sphere have been prepared. They were activated with MMAO (modified methylaluminoxane) to be proven as efficient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 norbornene. Both electron-donating and -withdrawing substituents on the benzene ring and polar solvents enhance the catalytic activity for olefin polymerization. Improvement in thermal stability of the complexes was observed. Some of these complexes were crystallographically determined to have square planar geometry. A plausible mechanism involving dissociation of ligands is proposed.

나노-스피어 리소그라피를 위한 질화갈륨 표면 친수성 개질 (Modification of GaN surface into hydrophilic property for nano-sphere lithography)

  • 여종빈;김준형;이현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4-33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질화갈륨 (GaN) 표면에 나노-스피어 리소그라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친수성으로 개질을 시도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공정 변수인 공정 파워, 처리시간을 변화시키면서 표면을 개질하였으며, 친수성 개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접촉각 및 표면 자유 에너지 변화를 측정 계산하였다. 또한 FT-IR 분석을 통하여 표면 작용기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실험의 결과로 얻어진 친수성이 질화갈륨 표면의 나노-스피어 리소그라피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표면 모폴리지를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O/W 용매 증발법을 이용한 PLGA와 덱스트란의 이중층 미립구 제조 (Fabrication of PLGA/Dextran Double-Layered Microspheres by Oil-in-Water Solvent Evaporation Method)

  • 고종태;이재호;이창래;신형식;육순홍;김문석;강길선;이종문;이해방
    • 폴리머
    • /
    • 제29권6호
    • /
    • pp.543-548
    • /
    • 2005
  • 이중층 미립구는 단일층 미립구에 비해서 낮은 초기 방출량과 국소 지항성, 및 약물 방출량 제어 등의 장점 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포접 방식이 까다롭고 2단계 이상의 제조 과정이 필요하며 특히 미립구 제조 시 크기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PLGA)와 덱스트란의 서로 다른 고분자를 초고주파 분쇄 유무에 따른 수중유형(O/W) 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이중층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또한 PLGA의 농도에 따라 미립구 크기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중층 미립구는 전자주사현미경, 동초점 형광 레이저현미경(CFLM), 캠스코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제조된 이중층 미립구의 외부층이 매끄러운 구형의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절단시 내부층과 외부층의 형태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었다. 이에 외부층과 내부층의 구성 물질을 확인하고자 플루오르신-5-이소시아네이트-덱스트란(FITC-덱스트란)을 이용해 CFLM을 관찰한 결과 형광을 띠는 덱스트란으로 구성된 내부층과 형광을 띠지 않는 PLGA 외부층을 관찰하였다. 또한 PLGA의 함량에 따른 미립구의 크기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비교적 간단한 수중유형 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PLGA와 덱스트란의 이중층 미립구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mogenizer를 사용한 W/O 에멀젼법하에 나노크기 알루미나 분체 제조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n the Possibility of Preparation of Nanosized Alumina Powder under W/O Emulsion Method Using Homogenizer)

  • 이융;함영민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488-494
    • /
    • 2010
  • W/O 에멀젼법하에 homogenizer를 사용하여 ${\alpha}$-알루미나 분체 제조 시 O : W 부피비, 교반속도, 계면활성제 사용량과 조성 및 종류 등의 변화에 의하여 분체의 입자형상, 응집성, 평균입경과 입도분포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었고 단일 및 혼합계면활성제로는 SP80 및 [SP80 & TW80]을 사용하였고 보조계면활성제로는 n-부탄올을 사용하였다. SP80을 사용하였을 경우, 분체의 입자형상은 구형에 근접하였고 평균입경은 주어진 O : W 부피비 변화 및 16000 rpm 이상의 교반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P80 & TW80]을 사용하였을 경우, 구형에 가까운 분체의 입자간 응집 및 합체현상은 $HLB_m$ = 5일 때 낮았고 평균입경은 단일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을 때 비하여 다소 감소하였다. $HLB_m$ = 5인 [SP80 & TW80]와 함께 0.1 vol% n-부탄올을 사용하였을 경우, 입자간 응집성이 상대적으로 낮고 나노크기의 입도를 갖는 분체 분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