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no 입자

검색결과 1,078건 처리시간 0.031초

에폭시-실리카 나노 복합소재의 열화 특성 및 거동 분석 (Thermal Degradation Analyses of Epoxy-Silica Nano Composites)

  • 장서현;한유수;황도순;정주원;김영국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5호
    • /
    • pp.268-274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에 나노 실리카 입자의 농도가 열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약 12 nm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에폭시 수지에 세가지 무게비로 섞은 나노 복합소재를 제작하여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이용하여 여섯 가지의 서로 다른 승온률 하에서 열화거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등변환법(Isoconversional Method)에 기초한 Friedman, Flynn-Wall-Ozawa, Kissinger 그리고 DAEM(Distributed Activation Energy Method) 방식으로 활성화에너지를 정량적으로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에 의하면 순수 에폭시와 비교했을 때, 실리카 입자가 함유될 경우 활성화에너지가 상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10%와 18%의 활성화에너지 값이 유사함에 따라 반드시 함유랑에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방법에 의한 계산방식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세륨옥사이드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CNPs)를 첨가한 치면열구전색재의 물리적 특성 및 세포독성 (Physical Properties and Cytotoxicity of Dental Pit and Fissure Sealants Containing Cerium Oxide Nano Particles(CNPs))

  • 정미애;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86-592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의 치면열구전색재 ConciseTM에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CNPs)를 0-4.0 wt%를 첨가하여 새로운 치면열구전색재를 제조하여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물리적 성질은 중합깊이, 물흡수도와 용해도를 측정하였고 세포독성평가는 불멸화된 구강점막세포(Immortalized human oral keratinocyte (IHOK))를 이용하여 MTT assay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중합 깊이는 CNPs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용해도는 CNPs를 2.0 wt% 첨가된 실험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물흡수도는 각 실험군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세포독성 실험 결과는 모든 실험군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이는 CNPs가 물리적 성질을 크게 약화 시키지 않으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생체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CNPs의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CNPs의 효율적인 분산 기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졸란 혼화재의 입자 크기 및 비표면적에 따른 응결시간 발현 및 압축강도 특성 평가 (Experimental Study on the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Nano-Micro Pozzolanic Binders as Cement Composites)

  • 김원우;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69-27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포졸란 혼화재 혼입에 따라 응결시간과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응결시간 발현 특성은 포졸란 혼화재를 사용하였을 때 감소되는 효과와 압축강도가 증가되는 특성을 평가하였다. 포졸란 혼화재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마이크로 실리카가 초결 및 종결시간 단축 및 압축강도 발현에 효과적이였다. 두가지 이상의 혼화재를 사용하였을 때는 실리카흄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소량의 나노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OPC 대비 응결시간이 62~64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강도 수준이 약 1.17배 증가로 성능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나노 실리카가 소량의 혼입량으로 응결시간 감소 및 압축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은 포졸란 반응을 일으킴과 동시에 작은 입자크기로 상대적으로 큰 입자로 구성되어있는 실리카 흄과 시멘트 사이의 공극채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나노 소재의 경우 높은 비표면적으로 흐름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배합 설계 시 화학혼화제의 첨가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활성탄 또는 촉매가 장착된 배리어 유전체 방전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시스템의 나노입자 및 잔류 오존 제거 특성 (Nano Particle Precipitation and Residual Ozone Decomposition of a Hybrid Air Cleaning System Compri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and MnO2 Catalyst or Activated Carbon)

  • 변정훈;황정호;지준호;강석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4호
    • /
    • pp.524-533
    • /
    • 2003
  •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in air is well established for the production of large quantities of ozone and is more recently being applied to aftertreatment processes for HAPs(Hazardous Air Pollutants). Aim of this work is to determine design and operating parameters of a hybrid air cleaning system. DBD and ESP(Electrostatic Precipitator) are used as nano particle charger and collector, respectively. Pelletized MnO$_2$ catalyst or activated carbon is used fer ozone decomposition or adsorption material. AC voltage of 7~10 KV(rms) and 60 Hz is used as DBD plasma source. DC - 8 KV is applied to the ESP for particle collection. The overall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hybrid system is over 85 % under 0.64 m/s face velocity. Ozone decomposition efficiency with pelletized MnO$_2$ catalyst or activated carbon packed bed is over 90 % when the face velocity is under 0.4 m/s in dry air.

Trisodium Citrate을 이용한 은 나노입자의 합성 및 분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and Dispersion of Silver Nano Particle Using Trisodium Citrate)

  • 이종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72-779
    • /
    • 2016
  • 수용액에서 질산 은과 Trisodium Citrate(TSC)을 반응시켜 은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은 나노입자의 크기와 모양은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은 나노입자의 합성실험은 질산 은 수용액의 농도, TSC의 첨가량, 용제, 계면활성제, 초음파 파쇄, 분산제를 변수로 하여 수행하였다. 질산 은의 농도를 높이거나 TSC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입자의 크기가 커지거나 응집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사 전자 현미경(SEM) 분석 자료로부터 합성된 은 나노입자는 좁은 영역의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구형 또는 구형에 가까운 것을 확인하였다. 용제를 첨가하여 분산을 시도하였는데, 소수성 용제는 분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친수성 용제는 분산성을 향상시켜 주었다. 계면활성제(HPMC)를 첨가하면 은 나노입자의 크기가 50-100 nm로 커지며, 모양은 불균일하고 부분적인 응집이 발생하였다. 은 나노입자의 분산성은 분산제 첨가 후에 3 시간 이상의 초음파 파쇄에 의해 크게 향상되었다. 분산제의 첨가에 의해 완전한 분산이 일어났으며, 은 나노입자의 크기는 BYK-182(30-40 nm) < BYK-192(42-78 nm) < BYK-142 (51-113 nm)순으로 나타났다. 0.002 M 질산 은 용액에 2-4wt%의 TSC를 첨가하였을 때 38.45-46.28 nm의 은 나노입자가 합성되었다.

MOCVD로 성장된 ZnO 박막의 미세구조 변화 (Morphological Transitions of MOCVD-Grown ZnO Thin Films)

  • 박재영;이동주;이병택;김상섭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59-59
    • /
    • 2003
  • ZnO는 상온에서 3.37 eV의 넓은 밴드갭을 가지는 직접천이형 반도체이다. 상온에서 60 meV의 큰 엑시톤 결합에너지를 가짐으로 인해 엑시톤 재결합에 의한 강한 UV 레이저 발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ZnO 박막을 이용하여 광소자 등에 응용하기 위하여 양질의 ZnO 박막성장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MBE, MOCVD, PLD, rf magnetron sputtering 등 다양한 증착방법을 통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p형 불순물인 As과 N 도핑 및 Ga과 N의 co-doping 방법 등을 통하여 p형 ZnO 박막을 제조하였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재현성 문제 등으로 인해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CVD를 이용하여 A1$_2$O$_3$(0001) 기판 위에 ZnO 박막을 성장시켰다. Zn 전구체로 DEZn을 사용하였으며, 산소 source로 $O_2$를 사용하였다. 증착온도, Ⅵ/II 비율, 반응기 압력 등 MOCVD의 중요한 공정변수들의 체계적인 변화에 따른 박막성장 양상을 조사하였다. 증착 조건에 따라 ZnO 입자의 모양이 주상(column), nano-rod, nano-needle, nano-wire 등으로 급격하게 변화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입자의 모양과 결정성장 방향 및 광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 PDF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이용한 전기 집진부에서의 나노 입자 집진 효율 (Collection Efficiency of Nano Particles by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 강석훈;지준호;변정훈;황정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11호
    • /
    • pp.1542-1547
    • /
    • 2003
  • Althoug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in air has been applied to a wider range of aftertreatment processes for HAPs (Hazardous Air Pollutants), due to its high electron density and energy, its potential use as precharging dust particles is not well known. In this work, we measured size distributions of bimodal aerosol particles and estimated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articles by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using DBD as particle charger. To examine the particle collection with DBD charger, nano size particles of NaCl(20∼100nm) and DOS (50∼500nm) were generated by a tube furnace and an atomizer, respectively. For experimental conditions of 60㎐, 11㎸ and 60 lpm,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hybrid system was over 85%, based on the number of particles captured.

배리어 유전체 방전을 이용한 전기 집진부에서의 나노 입자 집진 효율 (Collection Efficiency of Nano Particles by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 강석훈;변정훈;지준호;황정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35-1440
    • /
    • 2003
  • Althoug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in air has been applied to a wider range of aftertreatment processes for HAPs(Hazardous Air Pollutants), due to its high electron density and energy, its potential use as precharging dust particles is not well known. In this work, we measured size distributions of bimodal aerosol particles and estimated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articles by electrostatic precipitator(ESP) using DBD as particle charger. To examine the particle collection with DBD charger, nano size particles of NaCl($20{\sim}100$ nm) and DOS($50{\sim}800$ nm) were generated by tube furnace and atomizer, respectively. For experimental conditions of 60 Hz, 11 kV, and 60 lpm,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hybrid system comprising DBD charger and ESP was over 85 %, based on the number of particles captured.

  • PDF

유전체 베리어 방전형 2단 전기집진기의 인가전압 파형별 나노 및 서브마이크론 입자 집진 특성 (Nano and Submicron Sized Particle Collection with Various Voltage Waveforms fo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Type 2-Stage ESP)

  • 박재홍;변정훈;황정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61-1266
    • /
    • 2004
  •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in air, which has been established for the production of large quantities of ozone, is more recently being applied to a wider range of aftertreatment processes for HAPs (Hazardous Air Pollutants). Although DBD has high electron density and energy, its potential use as precharging nano and submicron particles are not well known. In this work, we measured I-V characteristics of DBD and estimated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particles by DBD type 2-stage ESP. To examine the particle collection with various applied voltage waveforms of DBD for nano and submicron sized, bimodal particles were generated by a electrical tube furnace and an atomizer.

  • PDF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CdTe-Polymer의 합성과 전기 광학적 특성 (Optoelectronic characteristics of CdTe nanoparticles embedded in electrospun polymer nanofibers)

  • 김미현;조경아;김상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23-1324
    • /
    • 2007
  •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PVK-CdTe 용액으로 하이브리드 나노파이버를 제조하였다. 하이브리드 나노파이버 형상은 광학현미경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되었으며, 직경은 $300nm\;{\sim}\;30{\mu}m$이고, 길이는 $500\;{\mu}m$이상 이였다. PVK-CdTe 하이브리드 나노파이버의 Photoluminescence 측정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나노파이버내에 나노입자특성을 유지한 CdTe 나노입자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며, 대기와 진공 중에서의 I-V 측정을 통해 진공 상태에서보다 대기상태에서 약 2배 정도 전류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