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Y zeolite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3초

양이온 교환된 Faujasite형 Zeolite 촉매에서의 1-Butene의 반응 (Reaction of 1-Butene on Cation-Exchanged Faujasite Type Zeolite Catalysts)

  • 전학제;홍용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9-93
    • /
    • 1977
  • 고령토를 사용하여 합성한 faujasite형 zeolite를 $Zn^{2+},\;La^{3+},\;H^+(NH_4^+)$로 양이온 교환하고 Na-, Zn-, La- 및 H-faujasite의 1-butene의 분해 및 이성화반응에 대한 촉매활성을 조사하였다. $1-Butene{\rightarrow}2-butene$ 반응은 강한 산점이 별로 없는 zeolite에서도 쉽게 일어난다. Isobutene생성에 대한 활성은 La > H > Zn > Na-faujasite의 순으로 La-faujasite가 가장 컸다. Propylene 생성에 대한 활성도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여기서는 La-와 H-faujasite의 활성이 거의 같은 정도이었다. 본 실험결과를 보면 zeolite의 산성도(산의 강도 및 량)는 1-butene의 분해 및 이성화 반응에 대한 활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것 같다.

  • PDF

정수처리에서 암모니아성질소 제거를 위한 제올라이트 여과 (Zeolite Filtration for Ammonium Nitrogen Removal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김우항;김충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1-286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mmonia removal by zeolite adsorp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n generally,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is conducted coagulation/flocculation, sedimentation, sand filtration and disinfection. We tested feasibility with two method, one is powdered zeolite dosing to coagulation tank and the other is to substitute granular zeolite for sand of sand filter. In powdered zeolite test, raw water is used tap water with putting of 2 mg/l of NH$_4$$\^$+/-N. Filtration of granular zeolite was conducted with 80 cm of effective column high and 120 m/d of flow rate. At above 100 mg/1 of zeolite dosage, ammonia concentration was decreased below 0.5 mg/l of NH$_4$$\^$+/-N in powdered zeolite test. But, turbidity was increased to 30 NTU by powdered zeolite dosage. That turbidity was scarcely decreased in generally coagulant using condi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In granular zeolite test, ammonia was not detected in treated water until 8 days. This result suggest that using of granular zeolite in sand filter could be removal ammonia in winter. But we need regeneration at zeolite filtration for ammonia removal. So, it is to make clear that zeolite regeneration ability was compared KCl with NaCl. The result reveal that KCl was more excellent than NaCl. Optimum regeneration concentration of KCl was revealed 100 mM. Regeneration efficient was not increased at pH range 10∼12.5.

하동고령토의 Sodium Hydroxide 용액 처리에 의한 결정의 변화 (On Crystallization of Hadong Kaolin Treated with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 권이열;김면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9-256
    • /
    • 1972
  • 하동 kaolin을 NaOH용액으로 처리하여 그의 결정성을 X-선 분말회절법으로 조사하였다. 각 결정 생성의 최적 처리 조건은 다음과 같다. <표> Sodium A zeolite 결정 생성을 위해 적당한 $Na_2O 대 SiO_2$의 비는 0.5${\sim}$1.5이다. 생성된 Sodium A zeolite 의$ 25^{\circ}C$, 0.2N $CaCl_2$ 용액에서의 $Ca^{++}ion$ 교환능은 이론값의 65%였다.

  • PDF

카테콜의 선택적 합성을 위한(Fe, Co)/Zeolites 촉매상에서 페놀의 수산화 반응 (Hydroxylation of Phenol over (Fe, Co)/Zeolite Catalysts for the Selective Synthesis of Catechol)

  • 박중남;신채호;백진욱;이철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387-392
    • /
    • 2006
  • 이온 교환법으로 (Fe, Co)/NaY, (Fe, Co)/NaBeta (Fe, Co)/HUSY 등 (Fe,Co)/zeolite 촉매를 제조하였으며, 카테콜을 합성하는 과산화수소에 의한 페놀의 수산화 반응에서 이들의 촉매 성능을 조사하였다. (Fe, Co)/NaBeta 촉매에서는 반응온도가 $70^{\circ}C$, 페놀/과산화수소(몰) 비가 3, 페놀/촉매(무게) 비가 50, 용매(물)/페놀(무게) 비가 6인 조건에서 페놀의 전환율은 22%, 수산화 반응에 대한 선택도는 77%, 카테콜에 대한 선택도는 70%, 카테콜/하이드로퀴논의 생성비는 2.5로 가장 좋은 반응 결과를 얻었다. (Fe, Co)/zeolite 촉매는 재생하여 반복 사용해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았다. 반응 전후의 (Fe, Co)/zeolite 촉매를 XRD, UV-VIS DRS, XPS 등으로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촉매 반응 결과를 해석하였다.

화학처리 및 금속이온 교환된 천연 제올라이트의 질소 흡착특성 (Nitrogen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treated and Metal Ion-exchanged Natural Zeolite)

  • 이재영;심미자;김상욱
    • 공업화학
    • /
    • 제5권6호
    • /
    • pp.1024-1029
    • /
    • 1994
  • 경북 감포지역에서 산출되는 천연 제올라이트를 각기 다른 농도의 HCl과 NaOH로 화학처리한 시료와 금속양이온 교환한 시료를 제조 하였다. 이들 시료에 대한 질소의 흡착특성을 $25^{\circ}C$, 100~760 torr의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산처리한 시료의 질소 흡착량은 처리하기 전보다 감소하였으며, 알칼리 처리한 시료는 많이 증가하였다. 0.5N-HCl 처리 후 0.5N-NaOH로 연속처리한 경우 약 200% 정도 흡착량이 개선되었으나, 알칼리 처리 후 산으로 연속처리한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Na^+$, $K^+$, $Cs^+$를 이온교환한 경우 이온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흡착량은 감소했으며, $Mg^{2+}$, $Ca^{2+}$, $Ba^{2+}$를 이온교환한 경우는 이온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 PDF

고분산도의 백금이 담지된 Pt/NaY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메탄의 단일염소화 반응 (Monochlorination of Methane over Pt/NaY-zeolite Catalysts with High Platinum Dispersion)

  • 이동근
    • 공업화학
    • /
    • 제2권3호
    • /
    • pp.238-245
    • /
    • 1991
  • 메탄의 염소화 반응을 여러 Pt/NaY 제올라이트 촉매상에서 수행하였고, 백금입자의 분산도 및 위치에 따른 반응의 특성변화를 관찰하였다. 큰 백금입자가 제올라이트의 외부표면에 주로 존재하는 촉매에서는 4가지의 염화메탄이 모두 생성된 반면, 고도로 분산된 백금입자가 제올라이트내에 존재하는 촉매의 경우 유일하게 메틸염화물만이 생성되었다. 이는 고도로 분산된 백금입자의 역할뿐 아니라 한정된 공간을 지니는 담체내의 supercage에 의해 메틸염화물의 계속되는 염소화반응이 제한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소수성 NaY Zeolite의 합성과 탈알루미나의 특성 (Synthesis of hydrophobic NaY Zeolite and properties of dealumination)

  • 서동남;하종필;구상모;이해진;김익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38
    • /
    • 2000
  • NaY형 Zeoilte는 현재 그들의 촉매적 특성과 흡착성 그리고 이온 교환성들을 이용하여 산업에 중요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실험은 고온 스팀을 이용한 방법과 산처리에 의한 방법으로 탈알루미나의 효과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먼저 SiO₂/Al₂O₃ 몰비가 4-6인 합성 NaY zeolite를 분위기 소성로에 넣고 증기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500℃에서 고온 스팀을 분위기 소성로에서 일정하게 주입하였다. 에에 따른 결과는 탈알루미나 처리 후의 XRF와 BET의 결과로 탈알루미나 처리에 따라서 SiO₂/Al₂O₃의 몰비가 20.6에서 21까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BET의 결과에서 탈알루미나 처리에 의해서 비표면적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meso pore area의 증가는 탈알루미나에 의해서 zeolite의 골격구조가 일부 파괴되었음을 알 수 있다.

Na-Y 제올라이트가 첨가된 PVA/PAA 분리막의 아세트산 수용액에서 투과 증발 연구 (Pervaporation Dehydration of Acetic Acid Aqueous Solution using PVA/PAA Membrane with Na-Y Zeolite)

  • 권용성;;문명준;손민영;박아름이;김영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778-784
    • /
    • 2017
  • Poly(acrylic acid) (PAA)로 가교된 Poly(vinyl alcohol) (PVA)에 Na-Y 제올라이트 입자를 첨가하여 투과증발막을 제조하였다. 적외선 분광 분석(FT-IR), 팽윤 실험, 접촉각 측정, SEM 및 XRD 분석을 통해 분리막의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제조된 분리막은 물/아세트산 혼합물의 투과증발 분리에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분리막에 첨가된 Na-Y 제올라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리막의 친수성이 증가하였으며, 제올라이트가 첨가된 PVA/PAA분리막은 제올라이트가 첨가되지 않은 분리막에 비해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10 wt% 아세트산 수용액에서 8 wt%의 제올라이트가 포함된 PVA/PAA 분리막이 가장 높은 선택도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정수처리에서 제올라이트 여과를 이용한 암모니아성질소의 제거와 재생 (Ammonium Ion Removal and Regeneration for Zeolite Filtr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김우향;이승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7호
    • /
    • pp.661-665
    • /
    • 2004
  • As the concentration of ammonium nitrogen could be reached 2~3 mg/L in the winter in the river. It was clear that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chlorinated organics could be produced with the increase of chlorine addition to remove ammonium nitrogen. In the innovative ammonium nitrogen removal process, zeolite adsorption is very efficient as substitute for rapid sand filtration without other adverse quality change in the wat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ammonium nitrogen removal and regeneration by zeolite adsorp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Also, the reuse possibility of zeolite is evaluated to change the removal efficiency of ammonium nitrogen through several times of regeneration. The ammonium nitrogen was not removed in sand filter, but it was almost removed in zeolite filter during 7 days. The sand and zeolite filters have a similar result of turbidity removal. Therefore, zeolite filtration was confirmed the removal of turbidity and ammonium nitrogen as a media. When compared KCl with NaCl as a chemical for zeolite regeneration, it is demonstrated that KCl was more efficient than NaCl in the ability of zeolite regeneration. The adsorption rate of ammonium nitrogen was almost not decreased in the results of several times of regeneration. It is indicated that both zeolite and regeneration solution were possible to reuse without variation of regeneration rate through this study.

Removal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by Na-P1 Zeolite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 Mingyu Lee;D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67-175
    • /
    • 199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 efficient utilization of waste fly ash obtained from the power plant. Fly ash was used for synthesizing zeolite. Na-Pl zeolite could be easily synthesized from waste fly ash and showed the potential to remove heavy metal ions. The synthetic zeolite showed good adsorption property for heavy metal much better than raw fly ash and natural zeolites. Na-Pl exhibited the high adsorption efficiency with a maximum value of 260 Pb mg/g and strong affinity for Pb2+ ion. The metal ion selectivity of Na-Pl was determined in a decreasing order : $Pb^{2+}$>$Cd^{2+}$>$Cu^{2+}$+>$Zn^{2+}$>$Fe^{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