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OH treatment

검색결과 848건 처리시간 0.032초

사용종료(使用終了) 비위생매립지(非衛生埋立地)의 순환적(循環的) 사용(使用)을 위한 선별물질(選別物質)의 활용(活用) 가능성(可能性) 평가(評價) (Reclaimed Products to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for Sustainable Use of Closed Non Sanitary Landfills through Reclamation Works)

  • 이병선;나경덕;한상국;배재근;오세은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1호
    • /
    • pp.17-29
    • /
    • 2012
  • 대전시 ${\bigcirc}{\bigcirc}$ 권역 택지발지구내 불법매립지 선별 정비사업과정에서 회수된 선별결과물의 재활용성 및 에너지전환 기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순환형 매립정비시스템(SLR-System, Sustainable Reclamation-System)은 수분함량 약 28.0%조건에서 약 91.4 $m^3/hr$ (about 130.61 ton/hr)의 처리 성능을 보였으며, 선별결과물의 회수율과 순도는 선별토사가 약 98.9%와 약99.66%, 선별가연물류가 약 91.8%와 약 92.0%로 각각 측정되었다. 특히, 선별토사의 경우, 입도크기가 ${\O}$35 mm이하로 유기이물질 함량이 0.31%(V/V)로 재활용법적 기준치를 만족하였으며, 최대 약 98.42%까지 재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선별가연물의 경우, 저위발열량이 약 3,636 kcal/kg으로 RDF 품질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최대 약 84.43%까지 RDF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흡착광산화 시스템을 이용한 효과적인 SSC 페수처리 (Efficient Spent Sulfidic Caustic wastewater treatment using Adsorption Photocatalysis System)

  • 김종규;이민희;정용욱;주진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0-520
    • /
    • 2016
  • 석유 화학공장에서 발생하는 spent sulfidic caustic (SSC) 폐수는 액화석유가스(LPG)나 천연가스(NG)의 정제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고농도의 sulfide와 cresylic, phenolic 그리고 mercaptan 등이 포함된 독성과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LPG나 NG의 정제과정에서 높은 산도를 가진 휘발성 황화합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NaOH가 $H_2S$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진한 갈색 또는 검은색을 띄는 SSC 폐수는 12 이상의 높은 pH를 가지고 있으며 5~12 wt%의 높은 염분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강한 부식성과 독성을 가진 황화합물의 농도가 1~4 wt%이며, 방향족 탄화수소 물질 (i.e. methanethiol, benzene, tolune and phenol)들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 물질들은 기존의 하수처리 공정으로 방류하기 전에 완벽하게 처리해야만 하수처리 공정의 오염 부하량을 줄일 수 있다. 습식산화공정은 SSC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고 있는 물리-화학적 처리 공정이지만 고비용, 고에너지가 필요하며, 고온 및 고압에서만 작동되어 안전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습식산화공정을 거친 폐수는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생물학적 2차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철-과산화수소를 이용하는 펜톤산화 공정, 그리고 sulfide를 sulfate로 전환시키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은 황화합물의 완전한 무기물화가 힘들며, 현장 적용 시 기술적 경제적 부담이 크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SSC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본 연구는, 높은 흡착력과 광산화력을 가진 흡착광산화 반응 시스템(Adsorption Photocatalysis System, APS)을 개발하였다. APS는 SSC 폐수를 시스템 내부로 유입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을 흡착광산화제로 구성된 반응구조체가 흡착하고, 흡착된 오염물질을 UV에너지와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의 광화학반응에 의해 최종적으로 무해한 물질로 환원시키는 폐수처리시스템이다. APS의 반응구조체는 태양에너지 및 인공에너지원에 의해 활용 가능하며,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질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소재로서 널리 쓰이고 있는 이산화티타늄 광촉매와 화력발전소의 높은 소성온도에 의해 연소된 후 발생되는 bottom ash를 이산화티타늄의 지지체로 사용하여 높은 흡착력과 광촉매 산화력을 가진 복합물이다. 개발된 APS에 의해 SSC 폐수를 처리한 결과, COD 86.1%, 탁도 98.4%, sulfide 99.9%의 높은 처리효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APS는 강한 부식성과 독성 그리고 높은 농도를 가지고 있는 SSC 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 PDF

실록산 이미드로 개질된 변성 에폭시 수지의 물성 (Properties of Epoxy Adhesive Modified with Siloxane-imide)

  • 김원호;공희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1호
    • /
    • pp.39-48
    • /
    • 2008
  • 상용 에폭시 수지의 접착력은 XNBR을 첨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나 이는 필연적으로 유리전이온도(Tg)의 감소를 수반하여 접착제의 내열성을 저하시킨다. 1,3-bis(3-aminopropyl) tetramethyldisiloxane과 hydroxy phthalic anhydride를 반응시켜 siloxane-imide를 합성하고, 이를 상용 에폭시 수지와 공중합시켜 변성 에폭시 수지를 합성하였다. 변성 에폭시 수지의 siloxaneimide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접착력 및 유리전이온도를 2관능성 에폭시 수지의 경우와 비교하여 조성비를 정하였다. Siloxane-imide와 공중합된 30% 변성 에폭시 수지는 5% XNBR을 첨가한 경우 0.42 N/mm의 박리 강도와 $155^{\circ}C$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어 die-bond용 접착제에 요구되는 물성 값인 0.3 N/mm 이상의 박리 강도와 $150^{\circ}C$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충분히 만족 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변성 에폭시 수지의 내 산성, 내 알칼리성 및 내습성을 평가한 결과 벤젠 링과 이미드 링의 영향으로 산, 염기 조건에서는 상용 에폭시 수지 대비 무게 변화폭이 감소하였지만 수분 조건에서는 무게 변화폭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5% XNBR을 첨가한 30% 변성 에폭시 수지의 경우, 인장응력과 신장률이 상용 에폭시 수지 대비 약 220% 향상되었는데 이는 siloxane의 유연한 성질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anghun;Bae, Hui-Su;Lee, Soo-Hwan;Oh, Yang-Yeol;Ryu, Jin-Hee;Ko, Jong-Cheol;Hong, Ha-Chul;Kim, Yong-Doo;Kim, Sun-Li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18-627
    • /
    • 2015
  • Soil salinity i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crop production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Subsurface drainage system is recognized as a powerful tool for the process of desalinization in saline soi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s on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The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etween 2012 and 2014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Buan, Korea. Subsurface drainage was installed with four treatments: 1) drain spacing of 5 m, 2) drain spacing 10 m, 3) double layer with drain spacing 5 m and 10 m, and 4) the control without any treatment. The levels of water table showed shorter periods above 60 cm levels with the deeper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ater soluble catio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exchangeable forms and soluble Na contents, especially in surface layer, were greatly reduced with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Subsurface drainage system improved biomass yield of corn and withering rate. Thus, the biomass yield of corn was improved and the shoot growth was more affected by salinity than was the root growth. The efficiency of double layer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drain spacing of 5 m. The economic return to growers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was the greatest by the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5 m drain spacing.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stallation of subsurface drainage system with drain space of 5 m spacing would be a best management practice to control soil salinity and corn development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saline soil.

Tumor Necrosis Factor-alpha 저해제가 결핵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hibitors on the Incidence of Tuberculosis)

  • 박현진;최보윤;손민지;한나영;김인화;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3-341
    • /
    • 2018
  • Objectiv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hibitors are used as a treatment in various immune-mediated inflammatory diseases (IMIDs). Tuberculosis (TB) risk is reported in several meta-analyses in patients treated with TNF-alpha inhib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review, and evaluate the TB risk in TNF-alpha inhibitors according to IMIDs indications and between soluble-receptor TNF-alpha inhibitor and monoclonal-antibody TNF-alpha inhibitor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on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was performed in PubMed, MEDLINE, Cochrane library, and EMBASE. We identified meta-analyses that evaluated TB infection risk of TNF-alpha inhibitors in IMIDs patients. Results: Thirteen meta-analyses including 41 study results were included in this umbrella review. IMIDs patients treated with TNF-alpha inhibitors had an increased risk of TB than control group (placebo with or without standard therapy patients) (relative risk ratio (RR) 2.057, 95% confidence interval (CI) 1.697 to 2.495). Among them, RA patients with TNF-alpha inhibitors had a higher risk of TB than control group (RR 1.847, 95% CI 1.385 to 2.464), and non-RA patients with TNF-alpha inhibitors had an increased risk of TB (RR 2.236, 95% CI 1.284 to 3.894). In subgroup analysis on TB risk between soluble-receptor TNF-alpha inhibitor and monoclonal-antibody TNF-alpha inhibitors in RA patients, the analysis indicated that monoclonal-antibody TNF-alpha inhibitors had higher risk of TB than soluble-receptor TNF-alpha inhibitor (RR 2.880, 95% CI 1.730 to 4.792). Conclusion: This umbrella review confirms that the risk of TB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NF-alpha inhibitor treated patients compared to control group.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Inhibits MUC5AC Expression by Smad3/HDAC2 Complex Formation and NF-κB Deacetylation at K310 in NCI-H292 Cells

  • Lee, Su Ui;Kim, Mun-Ock;Kang, Myung-Ji;Oh, Eun Sol;Ro, Hyunju;Lee, Ro Woon;Song, Yu Na;Jung, Sunin;Lee, Jae-Won;Lee, Soo Yun;Bae, Taeyeol;Hong, Sung-Tae;Kim, Tae-D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4권1호
    • /
    • pp.38-49
    • /
    • 2021
  • Airway mucus secretion is an essential innate immune response for host protection. However, overproduction and hypersecretion of mucus, mainly composed of the gel-forming MUC5AC protein,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patients with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 signaling pathway negatively regulates MUC5AC expression; however,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is not fully understood. Here, we showed that TGFβ significantly reduces the expression of MUC5AC mRNA and its protein in NCI-H292 cells, a human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 line. This reduced MUC5AC expression was restored by a TGFβ receptor inhibitor (SB431542), but not by the inhibition of NF-κB (BAY11-7082 or Triptolide) or PI3K (LY294002) activities. TGFβ-activated Smad3 dose-dependently bound to MUC5AC promoter. Notably, TGFβ-activated Smad3 recruited HDAC2 and facilitated nuclear translocation of HDAC2, thereby inducing the deacetylation of NF-κB at K310, which is essential for a reduction in NF-κB transcriptional activity. Both TGFβ-induced nuclear translocation of Smad3/HDAC2 and deacetylation of NF-κB at K310 were suppressed by a Smad3 inhibitor (SIS3).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GFβ-activated Smad3/HDAC2 complex is an essential negative regulator for MUC5AC expression and an epigenetic regulator for NF-κB acetyl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 that modulation of the TGFβ1/Smad3/HDAC2/NF-κB pathway axis can be a promising way to improve lung function as a treatment strategy for asthma and COPD.

Dysfunctional pancreatic cells differenti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ith mitochondrial DNA mutations

  • So, Seongjun;Lee, Song;Lee, Yeonmi;Han, Jongsuk;Kang, Soonsuk;Choi, Jiwan;Kim, Bitnara;Kim, Deokhoon;Yoo, Hyun-Ju;Shim, In-Kyong;Oh, Ju-Yun;Lee, Yu-Na;Kim, Song-Cheol;Kang, Eunju
    • BMB Reports
    • /
    • 제55권9호
    • /
    • pp.453-458
    • /
    • 2022
  • Diabetes mellitus (DM) is a serious disease in which blood sugar levels rise abnormally because of failed insulin production or decreased insulin sensitivity. Although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r the treatment or early diagnosis of DM, it is not fully understood how mitochondrial genome (mtDNA) abnormalities appear in patients with DM. Here, we induced iPSCs from fibroblasts, PBMCs, or pancreatic cells of three patients with type 2 DM (T2D) and three patients with non-diabetes counterpart. The mtDNA mutations were detected randomly without any tendency among tissues or patients. In T2D patients, 62% (21/34) of iPSC clones harbored multiple mtDNA mutations, of which 37% were homoplasmy at the 100% mutation level compared to only 8% in non-diabetes. We next selected iPSC clones that were a wild type or carried mutations and differentiated into pancreatic cells. Oxygen consump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ells carrying mutant mtDNA. Additionally, the mutant cells exhibited decreased production of insulin and reduced secretion of insulin in response to glucose.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screening mtDNA mutations in iPSCs from patients with T2D is an essential step before pancreatic cell differentiation for disease modeling or autologous cell therapy.

Comparison of Laparoscopic and Open Gastrectomy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Based on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Nationwide Survey

  • Seul Ki Oh;Chang Seok Ko;Seong-A Jeong;Jeong Hwan Yook;Moon-Won Yoo;Beom Su Kim;In-Seob Lee;Chung Sik Gong;Sa-Hong Min;Na Young Kim;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3권3호
    • /
    • pp.499-508
    • /
    • 2023
  • Purpose: Despite scientific evidence regarding laparoscopic gastrectomy (LG) for advanced gastric cancer treatment, its application in patients receiving neoadjuvant chemotherapy remains uncertain. Materials and Methods: We used the 2019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nationwide survey database to extract data from 489 patients with primary gastric cancer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we compared the surgical outcomes of 97 patients who underwent LG and 97 patients who underwent open gastrectomy (OG). We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 operative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OG group. Patients in the LG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blood loss than those in the OG group. Hospital stay and overal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cidence of Clavien-Dindo grade ≥3 complications in the LG group was comparable with that in the OG group (1.03% vs. 4.12%, P=0.21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s between the two groups (38.60 vs. 35.79, P=0.182).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body mass index (odds ratio [OR], 1.82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9-3.234; P=0.040) and extent of resection (OR, 3.154; 95% CI, 1.084-9.174; P=0.035)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overall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s: Using a large nationwide multicenter survey database, we demonstrated that LG and OG had comparable short-term outcome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미가열 병용 처리를 통한 원료 전처리 및 김치 저장 중 품질 확보 (Quality Enhancement of Kimchi by Pre-Treatment with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Mild Heating during Storage)

  • 박중현;김하나;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9-276
    • /
    • 2016
  • 본 연구는 김치의 원 부재료와 절임배추에 부착된 미생물을 저감화하기 위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살균 최적화 조건을 탐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조된 김치를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는 동안 나타나는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배추는 대조구에 비하여 $40^{\circ}C$에서 30 ppm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로 20분간 침지하였을 때 1.75 log CFU/g, 무채는 같은 조건에서 5분간 침지 시 1.68 log CFU/g, 파는 10분 침지 시 1.03 log CFU/g으로 각각 가장 높은 살균 효능을 나타내었다. 한편 10% 소금으로 절임한 배추를 세척할 때 $40^{\circ}C$에서 30 ppm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로 세척 시 2.91 log CFU/g 저감 효과를 나타내 수도수로 세척할 때 보다 1 log CFU/g 높은 살균 효능을 나타내었다. 반면 위생처리된 절임배추에 고춧가루, 젓갈 등 양념으로 제조된 김치에서는 이들 양념에 오염된 높은 농도의 총균수로 인하여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초기 총균수의 차이는 없었으나 대장균군은 $40^{\circ}C$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김치를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는 동안 미생물과 이화학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총균수는 저장 1주 후에 약 9 log CFU/g 증식하였으나, 대장균군은 완전히 사멸하였고 젖산균은 7.66~8.18 log CFU/g까지 증식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3주까지는 총균수와 젖산균 모두 약 9 log CFU/g까지 유지하였으나 4주째에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김치의 pH와 산도는 저장 2주째 pH 4.34~4.49, 산도 0.55~0.66%로 가장 좋은 품질지표를 나타냈으며 이후부터는 품질 저하가 서서히 나타났다. 경도도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나 처리구 간 경도 변화에 대한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김치 제조 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활용은 품질과 안전성 확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심장 점액종의 외과적 치료: 20년 임상경험 (Surgical Treatment of Cardiac Myxoma: A 20 Years of Experiences)

  • 서홍주;오삼세;김재현;이길수;백만종;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288-291
    • /
    • 2007
  • 배경: 심장 내의 점액종은 심장 내 모든 종양의 약 반수를 차지하며 그 중 75%는 좌심방 내에 발생하나 우심방, 드물게는 심실 내 점액종도 보고되고 있다. 대개의 증상은 혈행장애나 색전에 의한다. 진단은 다른 심질환을 합병하지 않는 한 심초음파만으로 가능하며 치료는 조기에 수술적인 제거로 거의 완치가 가능하다. 대상 및 방법: 1984년 7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심장 점액종을 수술한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 검토를 통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걸과: 환자의 연령은 12세에서 76세 사이로 평균 $53.5{\pm}14.0$세였고 여자가 38명(67%), 남자가 19명(33%)이었다. 술 전 증상으로는 운동 시 호흡곤란이 27예에서 있었고, 심계항진이 4예, 흉통이 9예, 실신을 경험한 경우가 4예 있었다. 진단방법으로 6예에서 심장초음파와 CT 및 혈관 조영술이 진단에 이용되었으며 나머지 51예에서는 심장초음파검사만으로 충분하였다. 수술 소견상 점액종의 부착 부위는 심방중격이 50예, 승모판막윤이 3예, 좌심방벽이 4예였으며 점액종의 크기와 형태는 다양하였다. 점액종을 제거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3예에서는 우심방 절개를 통한 중격절제를, 33예(58%)에서는 양심방 절개를 시행하였으며, 좌심방을 통해 15예(26%), inverted T incision을 통해 3예, 확장된 중격절제를 통해 3예를 수술하였다. 총 추적기간은 1개월부터 229개월까지로 평균 $84.0{\pm}71.3$개월이었고, 추적 관찰 도중 손실된 5명을 제외하고 수술로 인한 조기 및 만기 사망 예는 없었으며 외래 추적 중 재발도 없었다. 결론: 심장점액종은 판막질환이나 관상동맥질환 등 다른 질환 등과 구별하기 어려운 임상적 증상을 보이면서 색전에 의한 사망률 및 이환율이 높고 재발하는 경우도 있으며 진단과 동시에 특별한 부적응증이 없는 한 수술로써 근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함께 보다 완벽한 절제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