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F varnish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8초

Silver diamine fluoride와 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 재광화 효과 (Effect of Silver Diamine Fluoride and Sodium Fluoride Varnish on Remineralization in Artificially Induced Enamel Caries: An in vitro Study)

  • 김소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6-27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 silver diamine fluoride (SDF)와 sodiun fluoride (NaF) 바니쉬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소의 절치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법랑질 초기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38% SDF와 5% NaF 바니쉬를 도포한 후 인공 타액에 3주동안 보관하면서 pH-cycling을 시행하여 법랑질 표면과 3개 층의 깊이에서 micro-CT를 이용하여 무기질 밀도를 측정하고 SEM-EDS를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미세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두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38% SDF군와 5% NaF 바니쉬군 모두 탈회된 법랑질의 무기질 밀도와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는 시간 경과에 따라 21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38% SDF군은 5% NaF 바니쉬군보다 법랑질의 모든 깊이와 경과한 시간대에서 무기질 밀도 증가량(△HUV) 및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 모두 컸다(p = 0.001). SEM을 이용해 관찰한 재광화된 법랑질 표면은 38% SDF군이 5% NaF 바니쉬군에 비해 더 부드러웠다. SEM 사진상에서 38% SDF를 도포한 법랑질 표면에서 은 화합물 침착이 관찰되었으며 EDS 분석에서는 은 이온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38% SDF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의 재광화 효과는 5% NaF 바니쉬보다 더 큼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SDF가 진행된 우식의 처치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불소바니쉬의 재광화 및 내산성 평가 (Evaluation of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effect in fluoride varnish by Micro-computed tomography)

  • 오한나;정성숙;이혜진;윤혜정;정은주;하명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947-953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in fluoride varnish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 CT). Methods : Specimens of bovine teeth enamel were embedded in resin, polished and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a control group, a NaF solution group, a fluoride varnish group). Each group has 3 specimens that was standardized according to Vickers hardness number (VHN). Specimens were immersed in demineralization solution for 72 hours.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NaF solution group was treated by a 5% NaF solution for 4 minutes, and the fluoride varnish group was treated by a fluoride varnish for one hour.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 chemical pH cycling method for 14 days. After a chemical pH cycling method, the density were measured using micro CT. Then, specimens were immersed in each demineralization solution for 72 hours. After demineralization processed, the density were measured using micro CT. Results : 1. The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luoride varnish and 5% NaF solution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14 days cycling (p<0.05). And the density value of the fluoride varnish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5% NaF soluti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differences of density after acid resistance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3 groups(p<0.05). Conclusions : It is suggested that fluoride varnish showed the remineralizing effect and acid resistance effect on the enamel, and micro CT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change of enamel lesion.

5%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고분자 접착필름의 법랑질 재광화효과 (Effect of Polymer Adhesive Film Supplemented 5% NaF on Enamel Remineralization)

  • 지명관;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8-224
    • /
    • 2014
  • 이 논문은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와 QLF의 ${\Delta}F$ 값의 변화를 분석하여 5%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이 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하였다. 시편을 탈회한 후 표면미세경도가 평균 50-100 KHN의 범위를 갖고 QLF의 ${\Delta}F$ 값이 -25에서 -15 범위를 갖는 60개의 시편들을 4그룹으로 나누었다 : 그룹1(대조군), 그룹2(NaF-PVA), 그룹3(불소바니쉬, FluoroDose$^{(R)}$ varnish), 그룹4(Casein phosphopeptide-amorphous calcium phosphate, Tooth mousse plus$^{TM}$). 시편들에 각 제제들을 적용하고 인공타액(artificial saliva)에 담근 후 표면미세경도계와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재광화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소를 함유한 고분자 접착 테잎(NaF-PVA)은 그룹1과 4보다 뛰어나며 그룹3과 견줄만한 재광화 효과를 나타냈다 (p<0.05).

불소도포제에 의한 치면열구전색제의 마모저항성과 표면 변화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Surface Changes and the Abrasion Resistance of Pit and Fissure Sealant by Fluoride)

  • 황수현;유지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3-378
    • /
    • 2010
  • 불소도포와 치면열구전색은 치아우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에서 널리 병용하여 사용되고 있지만, 불소가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를 변화시켜 미생물이 서식할 조건을 마련하여 수복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과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레진계 실란트 Concise와 Eco-S를 사용하였고, 대표적인 불소도포제재 1.23% APF gel과 5% NaF Fluoride Varnish가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제작된 치면열구전색제시편을 각각 5군으로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 APF gel 1분간 처리한 II군,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 Fluoride Varnish 1분간 처리한 IV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V군으로 분류하여 마모실험에 의한 무게변화를 측정하였고,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구조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면열구전색제 Concise를 이용한 마모실험에서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에 비하여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에 무게 감소가 증가하였으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V군에서 무게 감소가 적으며(p<0.05), Eco-S를 이용한 마모실험 결과 또한 같았다(p<0.05). 2. 광학현미경으로 표면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APF gel을 도포한 경우 기질의 소실로 필러가 두드러진 양상을 보였으며, 각 군 별로는 APF gel 4분간 처리한 III군, APF gel 1분간 처리한 II군, 불소제재를 처리하지 않은 I군, Fluoride Varnish 1분간 처리한 IV군, Fluoride Varnish 4분간 처리한 Ⅴ군의 순으로 표면 거칠기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치면열구전색과 불소도포를 당일 시행하는 경우, 불소도포제를 1.23% APF gel 사용 시 4분 보다 1분 도포하며, 1.23% APF gel보다는 5% NaF Fluoride Varnish 도포하는 것이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 구조에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영유아에서의 불소바니쉬 도포법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for children)

  • 조자원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6호
    • /
    • pp.454-458
    • /
    • 2010
  • Dental caries is one of the most common chronic diseases in the world, which are caused by complex actions of oral such factors as the bacteria, food, tooth, saliva and other factors. Although this is one of the typical oral diseases, we can acquire a high prophylactic effect by use of proper prophylactic measures and management. At the beginning of the 1940s, fluorine was first introduced to prevent dental caries which now is widely used. The fluorine application effects are varied from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categories of fluorine, and different application method and frequency, etc. There is great debate on the best application method at the present. Dental clinics use iontophoresis as the application method and use it clinically. It uses APF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APF) and uses 2% NaF so as to encourage more absorption of fluorine. Recently, fluoride varnish, which uses admixture mucus of colophony resin into 5% NaF, and a variety of forms that can be applied in the oral cavity are still being continuously researched. When using fluoride topical application on the enamel surface, it was highly recommended that fluoride varnish be used directly after fluoride iontophoresis rather than fluoride iontophoresis only or fluoride varnish by itself. The new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does not need repeated application.

Effect of fluoride varnishes on the surface hardness of bovine teeth under demineralization/remineralization cycling

  • Son, Ju-Lee;Shin, Yoon-Jeong;Jeong, Geon-Hee;Choi, Shin-Jae;Oh, Seunghan;Bae, Ji-Myung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6호
    • /
    • pp.324-335
    • /
    • 2020
  • We investigated whether fluoride varnishes recover the hardness of bovine teeth under 20 days of demineralization/remineralization cycling. The fluoride varnish groups (two commercial fluoride varnishes [V-varnish (Vericom, Korea) and CavityShield (3M ESPE, USA)] and an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 including 5 wt.% NaF were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without fluoride varnish.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at baseline, 3 days after immersion in caries-inducing solution, 24 hours after application of a fluoride varnish, and after 10 and 20 days of demineralization/remineralization cycling. Afterward, tooth surface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fter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and the cycling 10 and 20 days, the experimental varnish group showed the highest hardness, while the CavityShield and the control groups demonstrated the lowest hardness. The experimental varnish group recovered the hardness of the baseline at 24 hours after application of the varnish, while it was recovered after 20 days of the cycling in case of the V-varnish. However, the CavityShield and the control groups did not recover the hardness even after 20 days of the cycling. The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 with fast recovery in the hardness of the baselin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fluoride varnish to resist demineralization and to facilitate remineralization.

  • PDF

불화나트륨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이 Silver Diamine Fluoride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Fluoride Varnish and Potassium Iodide on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Silver Diamine Fluoride)

  • 이건호;안준용;김종수;한미란;이준행;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67-4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silver diamine fluoride(SDF)를 도포할 때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potassium iodide, KI)이 SDF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치의 법랑질 인공 우식 병소에서 미세경도의 변화를 통해 측정하고, 도포 전과 후의 표면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통해 관찰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발치된 유구치의 인접면에 법랑질 인공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한 후, 4개의 군으로 나누어 I군에는 SDF, II군에는 SDF와 NaF 바니쉬, III군에는 SDF와 KI, 그리고 IV군에는 증류수를 처리하였다. 8일 간 pH cycling을 시행한 후 비커스 미세경도를 다시 한번 측정하여 미세경도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치아 연마 후, 인공 우식 유발 후, 그리고 pH cycling 이후 각 군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시편을 이용하여 SEM를 촬영하여 표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미세경도는 III군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I군과 II군 모두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두 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V군에서도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변화 정도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SEM 관찰 결과 I, II, III군이 우식 유발 직후나 IV군과 비교하여 표면이 더 균일해지고 불규칙성이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며, III군에서 무정형의 피막 형태의 침착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SDF만을 도포한 군과 SDF와 NaF,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모두 표면 형태가 균일해지고 미세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도 재광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연구의 제한된 조건 하에서 NaF 바니쉬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SDF의 재광화 효과를 증가시키지 못했으며,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SDF의 재광화가 효과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추후 실제 구강 내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용 불소바니쉬가 우치의 비커스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 upon the Vickers Hardness of Bovine Teeth)

  • 김아진;손주리;오승한;배지명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1-8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and commercial fluoride varnishes on the Vickers hardness of bovine teeth. The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es with 5 wt.% NaF were fabricated using Bis-GMA or rosin as the resin base. The components were mixed with over-head stirrer under warming up in a double boiler for 30 minutes. Four commercial fluoride varnishes (V-varnish, Flor-opal, Cavity shield, Fluor protector)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es.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on the labial surface of bovine anterior teeth after applying fluoride varnish on 5th and 30th day. The surface of bovine teeth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before and after applying fluoride varnish and the change of the components on the bovine teeth surface was measured with EDX. In terms of hardness, the experimental rosin-based fluoride varnis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on the 5th and 30th day than the control (bovine teeth without fluoride treatment)(p<0.05). EDX results showed that the fluoride content on the surface of bovine teeth treated with the experimental rosin-based fluoride varnish was highest on the 1st and 10th day. The higher hardness and fluoride content of experimental rosin-based fluoride varnish can be consider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fluoride varnish to prevent dental caries.

불소 테잎 적용 후 시간변화에 따른 타액 내 불소농도 (A CHANGE OF THE SALIVARY FLUORIDE CONCENTRATION AFTER FLUORIDE-CONTAINING TAPE APPLICATION)

  • 박승효;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77-38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기저재에 불소를 분사하여 제작한 불소 테잎을 피실험자의 구강 내에 도포 후 잔류하는 불소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APF gel(60seconds $taste^{(R)}$, 1.23% APF gel, Group I), Fluoride varnish($CavityShield^{TM}$, 5% NaF, Group II), Fluoride tape(SCMC-T-5, 5% NaF, Trial product, Group III)을 군별로 9명씩 건강한 20대 남녀성인의 구강에 도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7시간, 1일, 2일, 3일 후 비자극성 전타액내 불소농도를 불소이온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 2, 3일 후와 비교하여 모든 그룹에서 7시간 까지 초기농도보다 유의하게 높은 불소농도를 보였다. 도포 후 1, 2, 3일에는 초기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도포 후 1, 3, 5, 7시간에 타액 내 불소농도는 모든 시간에서 2군, 3군, 1군 순으로 높았다. 3. 도포 후 1시간과 3시간 후에 2군의 불소농도는 3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1군과 3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불소 지속방출 및 생체적합성을 가진 불소 바니쉬의 개발 (Development of fluoride varnish with sustained fluoride release and biocompatibility)

  • 신경수;김아진;오승한;배지명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1-3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abricate a biocompatible fluoride varnish with sustained fluoride release, and to compare it with commercial fluoride varnishes. For the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 bis-GMA (BG) or two types of rosin (KR-610: K0, KR-612: K2) were used as bases. Either ethyl acetate or ethanol was added as solvent and 5 wt% NaF was used. 5 mg of experimental F- varnishes and 2 commercial products, Cavity shield (CS) and Flor-opal (FO), were applied on a labial surface of bovine teeth ($10mm{\times}7mm$).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was measured at 1 hr, 2 hrs, 3 hrs, 4 hrs, 8 hrs, 12 hrs, 1 day, 3 days, 5 days, 10 days, 15 days, 20 days and 30 days. MTT test was done with diluted F- varnishes using ethanol.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one-way ANOVA and Duncan multiple range test (${\alpha}=0.05$). BG showed the highest fluoride release at 1 hr (P<0.05), while that of K0 was highest at 2 hrs (P<0.05). From 1 day to 5 days,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es showed higher fluoride release than the commercial products (P<0.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5 days (P>0.05). For MTT test, K0 and FO showed higher cell viability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P<0.0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K2 (P>0.05). Considering the sustained fluoride release and cell viability of the experimental rosin-based fluoride varnishes compared with commercial products, it will be appropriate for clinical application.